홈 뉴스/커뮤니티 뉴스 기획/칼럼 공유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카카오톡라인페이스북X밴드 복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기획/칼럼 제목 내용 작성자 [기자 수첩] 일본, 아세안 최대 車 생산국 태국 시장 장악력 흔들 태국은 아세안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다. 연간 생산 대수가 250만 대에 근접한 때도 있었다. 2011년 대홍수, 2020년 코로나 사태 때 140만 대까지 떨어 오토헤럴드 조회수 7,485 2023.07.10. 264. 토요타도 기가 캐스트 도입, 생산비 절감 전쟁 불붙는다. 토요타자동차가 새로운 생산기술 기가캐스트를 2026년 출시 예정인 배터리 전기차부터 채용한다. 핵심은 생산 방식의 혁신으로 비용을 50% 줄이는 것이다. 지금 글로벌오토뉴스 조회수 6,007 2023.07.10. 14년 전, 지엠 파산의 결정적 원인을 지금 현대차 노조가 요구했다 자동차 산업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다.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빠른 데 따른 부작용을 우려해야 할 정도다. 무엇보다 일자리 걱정이 크다. 새로운 오토헤럴드 조회수 3,848 2023.07.10. 역대 메르세데스-벤츠 E-Class의 디자인 W214 라고 알려진 2024년형 벤츠 E-클래스 11세대 모델이 얼마 전에 독일에서 공개됐다. 아직 국내 출시 전이지만, 우선 역대 E-클래스에 대해 살펴보고 글로벌오토뉴스 조회수 5,737 2023.07.07. [기자수첩] 픽업의 나라 미국에서 전해온 섬뜩한 경고 '국내는 괜찮은가?' (1) 미국을 비롯한 북미권에서 매년 베스트셀링카 목록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모델 중 하나가 바로 픽업트럭이다. 포드 F-시리즈를 비롯해 쉐보레 실버라도, 램 픽업 오토헤럴드 조회수 6,204 2023.07.05. 전기차 배터리용 흑연, '탈 중국화' 가능할까? 테슬라와 메르세데스-벤츠 등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용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흑연의 공급처를 중국 이외의 시장으로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전기차 보 글로벌오토뉴스 조회수 6,573 2023.07.05. [김흥식 칼럼] 지금까지 알려진 도요타 차세대 배터리 제원...달랑 '10분, 1200km'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솔리드 스테이트 배터리(Solid state battery.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전고체 배터리는 오토헤럴드 조회수 4,975 2023.07.05. [기자 수첩] 전기차는 부자들을 위한 차...美 계층과 정치 갈등으로 비화 전기차가 미국의 새로운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 소득 수준에 따른 계층간, 지역별, 지지 정당에 따른 정치적 갈등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대선까지 임박하면서 급진 오토헤럴드 조회수 6,230 2023.07.04. [공수전환] '모닝 Vs 캐스퍼' 레이는 넘사벽 그래서 볼만해진 넘버 2 대결 (1) 연간 판매 대수가 10만 대 이하로 떨어지며 종말의 시대로 접어든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던 경차 수요가 현대차 캐스퍼 출시 이후 제법 늘었다. 2012 오토헤럴드 조회수 12,034 2023.07.03. 263. 르노그룹의 '암페어'와 르노코리아 전기차 생산 전망은? 르노코리아가 한국에서 연산 20만 대 규모의 배터리 전기차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 8월 중국 길리홀딩스그룹과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생산하기로 한 데 이 글로벌오토뉴스 조회수 8,027 2023.07.03. 12345678910다음 페이지로 총 276페이지 최근 2년 내 뉴스 보기 보기 레이어 닫기 최근 2년 내 글이 궁금하신가요? 다나와 커뮤니티에서는 보다 안정되고 빠른 성능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커뮤니티 글을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최근 2년 내 작성된 글은 해당 버튼을 클릭하신 후 최근 2년 내 글 목록에서 확인 및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파워링크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