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BYD 전기차 공장 건설 사실상 거부… 트럼프 행정부 압력 영향

* 사진은 BYD브라질 공장
멕시코 정부가 중국ㅍBYD의 멕시코 내 신규 공장 건설 계획을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북수의 외신이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 어려움을 겪는 멕시코가 중국 기업과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으로 분석했다.
BYD는 2024년 상반기 멕시코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할 잠재적 후보지를 3곳으로 압축했으며, 미국과 가까운 북부 지역이 유력하게 거론되어 건설 현장 발표가 임박한 상황이었다. 신규 공장 건설 비용은 브라질 공장과 유사한 규모로 예상됐으며, 1만 명 고용을 목표로 하는 핵심 기지로 개발될 계획이었다.
지난 5월 24일, BYD는 멕시코시티에서 중국 외 지역 최초의 신모델 출시 행사를 개최하며 멕시코 시장 진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압력으로 멕시코 정부는 공공 토지에 대한 비용 지불, 세금 감면 혜택 제공, 멕시코 진출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거부하기로 결정하면서 공장 건설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4년 미국 대선 유세에서 중국이 미국 시장용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멕시코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다며 중국을 맹비난한 바 있다. BYD는 멕시코 신공장이 남미 생산 거점이라고 주장하며 상황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계획 동결이 유력해지고 있다.
멕시코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 기업의 멕시코 진출을 환영하는 인상을 줄 경우 협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멕시코 신임 대통령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틀을 우선시하고 중국 기업과 거리를 두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지난 3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겨냥해 관세를 부과했을 때, 당시 멕시코 대통령 당선인은 BYD와의 협력을 부인하며 BYD의 가입은 공식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멕시코 정부는 소량 수입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와 불법 수입된 중국산 생필품 단속을 통해 중국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 역시 세계 최고 전기차 기업으로 성장한 BYD의 기술 유출을 우려하여 승인 없이 BYD의 멕시코 진출을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멕시코 시장 내 BYD의 판매량은 급증하고 있다. BYD의 멕시코 판매량은 2024회계연도에 약 4만대에 달했다. 혼다, 스즈키와 유사한 수준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파워링크

![]() |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포르쉐 AG가 전기 스포츠 보트 ‘프라우셔 x 포르쉐 850 팬텀’으로 평균 속도 약 92.3km/h (49.84노트)를 기록하며 제
조회수 204
2025.07.17.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내 주요 완성차 및 수입차 브랜드가 7월 22일부터 26일까지 일제히 무상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번 행사는
조회수 215
2025.07.17.
|
오토헤럴드 |
![]() |
포르쉐가 전기 스포츠 보트 ‘프라우셔 x 포르쉐 850 팬텀’으로 평균 속도 약 92.3km/h (49.84노트)를 기록하며 제12회 모나코 에너지 보트 챌린지
조회수 195
2025.07.17.
|
글로벌오토뉴스 |
![]() |
미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 제너럴 모터스(GM)가 전기차 중심 전략에서 다소 선회해 가솔린 차량 생산 확대에 나선다. GM은 최근 공식 성명을 통해, 미시간주
조회수 250
2025.07.17.
|
글로벌오토뉴스 |
![]() |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자사의 R1T 픽업트럭과 R1S SUV에 구글 맵 기반의 차세대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공식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
조회수 195
2025.07.17.
|
글로벌오토뉴스 |
![]() |
2025년형 볼보 EX90이 시장에 등장한 이후, 기대와 동시에 논란도 함께 커지고 있다. 특히 차량 내부에 탑재된 운전자 모니터링 카메라 시스템은 운전자의 주
조회수 246
2025.07.17.
|
글로벌오토뉴스 |
![]() |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의 신차 인증 과정에서 포드가 자사의 신형 전동화 SUV를 전격 공개했다. 이번에 포착된 모델은 ‘브롱코 EV’ 및 ‘브롱코 ERE
조회수 263
2025.07.17.
|
글로벌오토뉴스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제너럴 모터스(GM)과 레드우드 머티리얼즈(Redwood Materials)가 미국산 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구
조회수 138
2025.07.17.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인도에서 새로운 전기차 ‘카렌스 클라비스 EV(Carens Clavis EV)’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소형 크로스오버로 인
조회수 286
2025.07.17.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새로운 모듈형 차체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앞세운 중형 PBV(Platfor
조회수 314
2025.07.17.
|
오토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