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 vs 르노 그랑콜레오스 하이브리드, 비교 분석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1,776 등록일 2025.06.18.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국내 SUV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KGM이 하반기 출시예정인 신형 ‘액티언 하이브리드’와 르노코리아의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E-Tech Hybrid)’가 중형 SUV 세그먼트 내에서 직접적인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두 차량은 각기 다른 설계 철학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바탕으로 시장 내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가격과 성능, 편의 사양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점을 보인다.



파워트레인 및 주행 성능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듀얼모터 기반의 전동식 하이브리드 전용 변속기(e-DHT)를 결합한 시스템을 탑재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총 9개의 주행 모드를 지원하며, 도심 주행 시 최대 94%까지 전기(EV) 모드로 주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효율성과 정숙성을 강조하고 있다. 복합 연비는 리터당 15.8km 수준으로 발표되었다.

반면, 르노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는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듀얼모터를 결합한 E-Tech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최고 출력은 약 245마력에 달하며, 복합 연비는 15.7~15.8km/ℓ로 액티언과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 EV 모드 주행 비율은 도심 기준 약 75%로, 실제 주행 조건에 따라 높은 연료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차체 및 공간 설계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쿠페형 SUV 디자인을 적용하여 역동적인 외관을 갖추었으며, 중형 SUV에 준하는 실내 공간을 확보하였다. 반면, 그랑 콜레오스는 전장 4,780mm, 휠베이스 2,820mm의 차체를 기반으로 넉넉한 적재 공간과 2열 거주성을 제공하여 패밀리 SUV로서의 활용도를 높였다.

편의 및 안전 사양
편의 사양 측면에서 두 차량은 각각의 특징을 갖는다.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KGM의 최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아테나 2.0’을 탑재하고 있으며,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듀얼맵 클러스터, 디지털 계기판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서스펜션과 정숙성 향상도 주요 개선 요소로 꼽힌다.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는 르노의 차세대 디지털 인터페이스인 ‘openR’ 3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Bose 프리미엄 사운드, 5G 연결망 기반의 실시간 커넥티비티 서비스, 그리고 레벨2 수준의 주행 보조 시스템을 전 트림에 기본 적용하여 기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가격 경쟁력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단일 트림으로 구성되며, 개별소비세 3.5% 및 세제 혜택을 적용한 실 구매가는 약 3,700만 원대로 책정되었다. 이는 동급 하이브리드 SUV 모델 중에서도 비교적 가격 경쟁력이 있는 수준이다.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는 Techno 트림 기준 3,819만 원부터 시작하며, 최상위 트림인 Esprit Alpine은 4,419만 원에 달한다. 다양한 트림 구성을 통해 선택 폭을 넓히는 대신, 상대적으로 가격대는 높은 편이다.



​#KGM #액티언하이브리드 #르노그랑콜레오스 #하이브리드SUV #중형SUV비교 #전동화전략 #연비비교 #가격경쟁력 #하이브리드대전 #OTA #openR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김흥식 칼럼] 폭스바겐 中 난징 공장 폐쇄 결정이 남긴 의미와 교훈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한때 중국 승용차 시장을 지배했던 폭스바겐이 결국 생산기지를 닫는다. 글로벌 최대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상징하던 난징 공장이 지난
조회수 640 2025.07.14.
오토헤럴드
[칼럼] 대변화의 길목에 선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국내 중고차 시장이 구조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연간 250만~260만 대 수준의 소비자 간 거래가 이뤄지는 이 시장은 약 30조
조회수 562 2025.07.14.
오토헤럴드
[기자수첩] 변호사님, 이제 배 부르십니까? 자동차 집단 소송의 민낯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제너럴모터스(GM)의 5.3ℓ V8 LC9 엔진과 관련된 집단소송이 미국 3개 주에서 합의에 도달했다. 소송은 2011~2014년식
조회수 530 2025.07.14.
오토헤럴드
356. 중국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본격화되나?
6월 중국의 승용차 소매 판매는 18.1% 증가한 208만대를 넘었다. 올 해 상반기 전체로는 10.8% 증가한 1,090만대였다. 수출을 포함한 전체 신차 판
조회수 1,129 2025.07.11.
글로벌오토뉴스
쥬지아로의 포니와 드로리언, 그리고 레간자
이탈리아의 자동차 디자이너 조르제토 쥬지아로(Girogetto Giugiaro; 1938~)는 한국 최초의 고유모델 ‘포니’ 승용차의 디자이너로 우리나라 사람들
조회수 1,258 2025.07.11.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트랙과 일상을 넘나드는 고성능 EV, 아이오닉 6 N의 모든 것
현대자동차가 선보인 고성능 전동화 세단 '아이오닉 6 N'은 단순한 전기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조용하고 효율적인 이동 수단으로 인식돼 온 전기차의 이미지를
조회수 524 2025.07.11.
글로벌오토뉴스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허황된 정치 실험인가?
일론 머스크가 또 한 번 정치판을 뒤흔들고 있다. 이번에는 소셜미디어 X 여론조사를 통해 새로운 정당 ‘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을 전격 예고하며
조회수 364 2025.07.09.
글로벌오토뉴스
355. CATL, 화웨이에 이어 또 다른 티어 0.5 의 길을 간다
중국 부품업체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5월 화웨이 관련 칼럼에서 바이두와 텐센트, 알리바바, 그리고 CATL도 언급했다. 티어 0.5에 관한 것이다. 완성차
조회수 261 2025.07.08.
글로벌오토뉴스
버티거나 무너지거나, 기로에 선 한국 배터리 산업
한때 한국의 배터리 산업은 '제2의 반도체'로 불리며 국가 대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았다.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2차전지 산업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조회수 276 2025.07.08.
글로벌오토뉴스
“피아트의 귀환?” 스텔란티스 새로운 CEO 인사에 숨은 진짜 의미
자동차 업계의 관심이 스텔란티스에 쏠리고 있다. 2021년 PSA(푸조·시트로엥)와 FCA(피아트 크라이슬러)가 합병하며 탄생한 세계 4위 자동차 그룹 스텔란티
조회수 934 2025.07.07.
글로벌오토뉴스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
    구매 비용 서비스 OPEN
    쏘렌토, 어떻게 사는게 가장 유리할까? 내 상황에 맞는 최적의 구매법은? 비용 비교하고 합리적인 선택하자! 쏘렌토 구매 비용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