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모빌리티 넥스트] 무한 에너지, 태양이 만든 휘발유로 달린 할리 데이비슨

오토헤럴드 조회 수1,026 등록일 2025.06.16.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태양은 46억 년 동안 지구를 비롯한 우주의 에너지원이자 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존재해왔다. (오토헤럴드 DB) 태양은 46억 년 동안 지구를 비롯한 우주의 에너지원이자 모든 생명의 근원으로 존재해왔다. (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초신성 폭발로 형성된 가스와 먼지에서 태어난 태양은 약 46억 년 동안 지구 생명의 에너지원이자 우주의 중심으로 존재해왔다. 그리고 끝이 없는 미래에도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생존을 위협받기 시작한 인류는, 오래전부터 이 무한한 태양의 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노력을 이어왔다. 세계 최초의 실리콘 태양전지가 등장한 것은 1883년, 지금으로부터 140여 년 전의 일이다.

이후 1954년, 미국 벨 연구소가 실용성을 갖춘 태양광 셀을 개발하면서 태양에너지는 과학에서 산업으로 확장됐다. 오늘날에는 태양광 기술을 통해 태양빛을 직접 전기로 전환하거나, 태양열 기술을 이용해 고온의 열을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 흔히 쓰이고 있다.

스위스 기반 청정에너지 스타트업 신헬리온(Synhelion)은 재생 가능한 '태양열 연료(Solar Fuel)'로 휘발유와 같은 연료를 생산하는 연구를 해 왔다. (신헬리온)

전통적인 화석연료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장 활발한 변화는 자동차 산업에서 시작됐다. 휘발유와 디젤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대신 배터리와 전기 모터로 구동하는 전기차는 탈탄소화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전기가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로부터 생산된다는 점은 전기차 전환에 대한 회의론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람, 물, 태양광과 태양열처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청정에너지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열을 활용해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연료를 만드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단순한 개념에 그치지 않고, 태양열로 실제 휘발유를 만들어 이륜차를 주행시키는 데 성공하면서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스위스 기반 청정에너지 스타트업 신헬리온(Synhelion)은 재생 가능한 '태양열 연료(Solar Fuel)'로 세계 최초의 오토바이 주행에 성공했다. 연료를 공급받은 차량은 다름 아닌 할리데이비슨, 운전자는 이 기술의 창시자이자 ETH 취리히 교수인 알도 스타인펠드(Aldo Steinfeld)였다.

이 주행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기존 인프라와 내연기관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탄소중립에 가까운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신헬리온의 태양 연료는 고온 태양열을 이용한 열화학 반응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거대한 반사 거울(헬리오스탯)로 태양빛을 한 점에 집중시켜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 태양열을 얻고 이 열을 활용해 이산화탄소(CO₂)와 물(H₂O)로부터 합성가스(Syngas, CO와 H₂)를 생성한 후, 이를 다시 휘발유, 디젤, 항공유 등으로 전환하는 구조다.

이렇게 생산된 연료는 기존 내연기관 엔진에서 별도의 개조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드롭인 연료가 된다. 연료 생산에 사용된 CO₂만큼만 배출되기 때문에 운행 과정에서의 순 탄소배출은 사실상 '제로(0)'에 가깝다.

이번 주행에 사용된 연료는 독일 율리히(Jülich)에 위치한 신헬리온의 첫 산업용 데모 플랜트 ‘DAWN’에서 생산됐다. 이 플랜트는 하루 수 리터 규모의 연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기술의 산업적 성숙도와 상용화 가능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신헬리온은 태양열로 실제 휘발유를 만들어 이륜차를 주행시키는 데 성공하면서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신헬리온)

DAWN에서 생산된 휘발유는 이 기술의 기반을 설계한 스타인펠드 교수의 애마인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에 그대로 주입됐다. 그의 할리는 어떤 개조도 이뤄지지 않은 순정 상태였다.

신헬리온 공동 창립자인 필립 푸를러(Philipp Furler)와 잔루카 암브로제티(Gianluca Ambrosetti)는 “이번 시연은 단순한 기술 검증을 넘어, 연구자의 오랜 꿈과 비전을 실현한 상징적인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주행은 기술적으로 이미 연료의 안정성과 호환성이 입증된 상황에서 기술의 현실 적용 가능성과 상업화 수준을 대중에 알리기 위한 목적이기도 했다. 신헬리온의 태양 연료는 앞으로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앞두고 있다.

신헬리온은 수년 내 상업용 플랜트를 가동할 계획이며 2027년 전후로는 유럽을 중심으로 항공, 자동차, 해운 등 다양한 산업에 재생 연료 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가 유일한 해법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번 성과는 더욱 주목된다. 특히 수십 억대의 자동차와 이륜차, 항공기 등이 사용하는 기존 내연기관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즉시 사용 가능한 전환 기술로서 태양열 연료는 새로운 해법이 되고 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현대차, 차량 내비게이션에
현대자동차가 고객 편의성과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해 차량 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구글 플레이스(Google Places)를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c
조회수 158 16:44
글로벌오토뉴스
테슬라 로보택시, 법적 책임 논란 가열…사고시 책임 소재 문제 본격 점화
테슬라의 로보택시가 2025년 6월 24일 사소한 접촉사고와 함께 법적 책임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내 복수의 미디어들은 모델 Y가 주차된 토요타 캠리를 들이받
조회수 128 16:44
글로벌오토뉴스
우버, 루시드에 3억 달러 투자… 자율주행 로보택시 시장 본격 진입
우버(Uber)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Lucid Motors)에 3억 달러(약 4,150억 원)를 투자하며 자율주행 로보택시 시장 재진입을 선언했다.
조회수 184 16:44
글로벌오토뉴스
미 상무부, 중국산 EV용 흑연에 93.5% 반덤핑 관세 부과
미국 상무부는 7월 17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EV) 배터리용 핵심 소재인 양극재급 흑연(anode-grade graphite)에 대해 93.5%의 잠정
조회수 173 16:44
글로벌오토뉴스
TIER IV, 일본 전역에 레벨4+ 자율주행 도입 예고
일본의 오픈소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사 TIER IV가 오는 2026년 초부터 일본 내 50개 지역에서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조회수 155 16:44
글로벌오토뉴스
영국, 10년간 35억 파운드 투입 ‘DRIVE35’ 프로그램 발표
영국 정부가 전기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전환 가속화에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2025년 7월 18일(현지시간), 영국은 총 35억 파운드(한화 약
조회수 172 16:44
글로벌오토뉴스
볼보 XC60, 미국 리지빌 공장서 2026년 말부터 본격 생산
볼보자동차가 대표적인 중형 SUV 모델 XC60의 미국 현지 생산을 본격화한다. 2025년 7월 18일(현지시간), 볼보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리지빌(Ridgev
조회수 148 16:44
글로벌오토뉴스
“혁신 없는 휠베이스 연장?” 테슬라 모델 Y L, 中 시장서 통할까
중국에서 테슬라의 새로운 3열 전기 SUV, ‘모델 Y L’의 출시가 임박했지만, 현지 시장 반응은 기대보다는 우려에 가깝다. 기존 모델 Y의 롱 휠베이스 버전
조회수 152 16:44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 스타트업 스카우트, 美 자동차 판매법에 ‘정면 도전’
아직 단 한 대의 차량도 판매하지 않은 신생 전기차 브랜드 ‘스카우트(Scout Motors)’가 미국 자동차 유통 생태계의 근간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미국 법
조회수 165 16:44
글로벌오토뉴스
볼보자동차, 美 고율 관세에 휘청...2분기 영업손실 1조 4000억 적자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볼보자동차 2025년 2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935억 스웨덴 크로나(약 13조 원)를
조회수 169 13:35
오토헤럴드
2406페이지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
    구매 비용 서비스 OPEN
    쏘렌토, 어떻게 사는게 가장 유리할까? 내 상황에 맞는 최적의 구매법은? 비용 비교하고 합리적인 선택하자! 쏘렌토 구매 비용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