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플랫폼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끼다 - 도쿄 오토살롱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4,671 등록일 2025.01.31.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아주 오랜만에 도쿄 오토살롱을 다녀왔다. 개인적으로도 오래 전에 튜닝 사업을 했던 적도 있었지만 솔직히 요즘은 관심을 크게 갖고 있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두 가지. 사업의 관점에서는 전망이 밝지 않다는 생각, 그리고 개인적 취미의 관점에서는 이전보다 제한된 튜닝의 범위 때문이었다.

최근 자동차는 완성도 및 일체화 수준이 매우 높아졌고 CAN 등의 내부 네트워크 연결 확대로 심지어는 오디오의 튜닝도 까다로워졌다. 성능 튜닝의 경우에는 엄격해진 배출가스 규제가 가장 큰 걸림돌. 그런데 이제는 전동화 트렌드까지 더해지면서 이전처럼 가슴을 울리는 배기음을 기대할 수도 없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완성된 제품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튜닝은 이제 일부 매니아층의 전유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래서 도쿄 오토살롱도 이니셜 D가 없었다면 어떻게 했을까 싶을 정도로 토요타 86이 명맥을 이어왔다고 할 정도로 어려웠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올해 도쿄 오토살롱을 다시 방문하면서 이제는 튜닝 산업이 새로운 방향성으로 활로를 찾을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이에 앞서 우리가 해결하기 어려울 것부터, 즉 공략 방향으로 선택해서는 안 될 점도 이번에 오토살롱에서 느낄 수 있었다. 그것은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세월의 두께’다. 일본도 서유럽이나 미국에 비해서는 빠르게 자동차 산업을 성장시킨 나라다. 하지만 우리 나라와 비교하면 세월의 두께가 두 배 이상이다. 더욱이 우리 나라는 자동차 산업이 고도화된 1990년대 이후 급성장한 케이스이기 때문에 시간을 갖고 다양성을 추구할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했다. 이런 것이 자동차의 감성적 만족도를 최고의 양식으로 삼는 튜닝 시장에도 커다란 벽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세월의 벽을 느낄 수 있는 포인트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번째는 클래식카부터 최신 모델까지 다양한 시대의 차종이 전시된 만큼 다양한 연령층이 오토살롱을 방문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런 다양성은 튜닝 산업의 안정성을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요소다. 세월의 변화에도 견딜 수 있는 튜닝 산업의 저력이 엿보였다. 지극히 감성적인 노스텔지아(향수) 마켓부터 GT-R의 전기차 버젼과 같은 미래 비젼의 탐구까지 다채로운 주제가 바로 이와 같은 다양성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다양한 플랫폼이다. 여전히 86은 일본 튜닝의 핵심 플랫폼이었다. 일본 고성능 튜닝의 상징인 GT-R도 전통적인 플랫폼이다. 그런데 SUV의 득세로 인한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스즈키 짐니를 디펜더나 G바겐 형태로 튜닝하는 미니 오프로더로의 변신이었다. 또 다른 하나는 도요타 랜드크루저 250의 클래식하면서도 모던한 디자인으로, 폭넓은 고객층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 도요타 랜드크루저 250은 클래식한 드레스업부터 하드코어 오프로더 튜닝까지 폭넓은 고객층을 소화할 수 있는 거대한 플랫폼이었다. 더군다나 경차 천국인 일본에서 이렇게 큰 차가 커다란 지분을 차지할 수 있는 시장이 있다는 것 자체가 플랫폼의 힘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이 이외에도 경차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르의 다양한 모델들이 튜닝의 플랫폼으로 빽빽한 그물을 이루고 있는 것 역시 일본 자동차 및 튜닝 산업이 가진 세월의 두께의 힘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우리 나라도 이 방향은 장기적으로 추진했으면 하는 부분이었는데, 그것은 ‘브랜드화’였다. 튜닝이 성능 뿐만 아니라 감성적 만족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통적 튜너들이 브랜드로서 굳건히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베일사이드는 단순한 자동차 튜닝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의류, 액세서리 등 다양한 굿즈를 통해 팬들과의 교감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는 튜닝 산업이 단순한 기술적 향상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였다. 물론 이 또한 세월의 두께가 만들어 준 브랜드의 힘이 바탕이므로 우리는 장기적으로 추진해야만 성공할 수 있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긴밀한 협업 체제가 인상적이었다. 브랜드에서 직접 운영하는 팩토리 튜너들, 그리고 베일사이드와 같은 대규모 튜너들이 작은 전문 회사들과 협업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미쓰비시의 랠리아트 전시관에서 유명 부품업체들 사이에 위치한 작은 오일 브랜드 'Fortec'을 발견한 것은 그러한 협업의 좋은 예였다. 작은 회사도 실력이 있다면 공정한 경쟁을 통해 합류시켜 최종 튜닝 제품이나 레이싱 머신의 성적에 기여하는 모습은 튜닝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한 가지 형태라고 생각되었다. 전시장에서 만난 Fortec의 대표는 자사의 제품이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더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도전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다. 이는 작은 기업들이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였다.

한국의 튜닝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점들을 생각해보면 어려움이 많다. 쌓인 헤리티지도 두텁지 않고, 플랫폼도 다양하지 않으며, 브랜드 수준까지 성장한 전문 튜너도 거의 없다. 첫 번째 방법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전동화 튜닝 혹은 컨버전의 활성화이다. 이번에 아이오닉 5N의 DK 에디션이 출품된 것처럼, 일본의 대표적인 자동차 애프터마켓 브랜드인 Autobacs와 협업하는 것도 중요한 측면이다. 전동화는 현재 자동차 산업의 큰 흐름이므로, 이를 제대로 활용하여 튜닝 산업과 결합시킬 수 있다면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포르텍의 예처럼 현대, 특히 N 브랜드가 다양한 튜너 혹은 스페셜리스트들과 협업하여 튜닝 혹은 커스터마이징의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튜닝 산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협업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이 결합되어 더 나은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도쿄 오토살롱에서 느낀 이러한 점들은 한국의 튜닝 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과 새로운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일본의 사례를 보며, 한국도 튜닝 산업을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과 규제 완화, 기업들의 협업과 혁신이 필요할 것이다. 튜닝 산업이 단순한 기술적 향상을 넘어, 사람들의 감성과 문화를 담아낼 수 있는 분야로 성장하길 기대해 본다.
감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감성을 자양분으로 하는 튜닝 산업이 중요한 이유다.

글 / 나윤석 (자동차 전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핫클릭

슈퍼레이스,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로 네이밍 변경 새출발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슈퍼레이스가 국내 최상위 클래스인 슈퍼 6000 클래스의 공식 명칭을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로 변경하며, 2025 시즌
조회수 2,889 2025.03.14.
오토헤럴드
전기차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기술… KG 모빌리티 ‘토레스 하이브리드’ 공개
KG 모빌리티가 성장하는 하이브리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며 첫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선보였다. 이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토레스 하이브리드
조회수 3,556 2025.03.14.
글로벌오토뉴스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2025년 첫 두 달 동안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모델 판매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수 2,960 2025.03.14.
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폭스바겐코리아가 8세대 '골프'의 부분변경모델 '신형 골프(The New Golf)'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조회수 4,338 2025.03.14.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135.5kWh 블레이드 배터리 탑재, 양왕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지난해 베이징 모터쇼를 통해 최초 공개된 BYD의 럭셔리 브랜드 양왕(YangWang)의 세 번째 플래그십 모델 'U7'이 오는 27
조회수 3,086 2025.03.14.
오토헤럴드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벤틀리, 8년 만에 돌아 온 오픈톱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벤틀리코리아가 8년 만에 돌아 온 궁극의 럭셔리 오픈톱 그랜드 투어러 ‘더 뉴 컨티넨탈 GTC’를 미리 만나 볼 수 있는 스페셜 프리
조회수 352 2025.03.18.
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혼다코리아가 '골드윙(GoldWing)' 출시 50주년을 기념해 '골드윙 50주년 기념 에디션(GoldWing 50th ANNIVER
조회수 1,020 2025.03.18.
오토헤럴드
다임러 트럭 코리아, 초고하중 트랙터 악트로스 SLT 국내 출시
다임러 트럭 코리아가 최대 250톤까지 견인할 수 있는 초고하중 트랙터 악트로스 SLT(Actros SLT)를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국내 최초
조회수 231 2025.03.17.
글로벌오토뉴스
렉서스 플래그십 SUV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렉서스코리아는 플래그십 SUV '디 올 뉴 LX 700h(THE ALL-NEW LX 700h)'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17일
조회수 737 2025.03.17.
오토헤럴드
폭스바겐코리아, 4종의 신차 출시로 2025년 상반기 수입차 시장 적극 공략 나선다
폭스바겐코리아가 3월을 시작으로 상반기 동안 매달 신차를 출시하며 공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폭스바겐코리아는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니
조회수 325 2025.03.17.
글로벌오토뉴스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현대차그룹, ‘202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총 26개 상 휩쓸어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일 국제포럼디자인(International Forum Design)이 주관하는 ‘2025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
조회수 463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마세라티, ‘2025 밀라노 디자인 위크’서  하이엔드 가구 죠르제띠와 완성한 그레칼레 및 인테리어 컬렉션 공개
마세라티가 ‘2025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이탈리아의 유명 가구 브랜드 ‘죠르제띠(Giorgetti)’와 협업한 ‘그레칼레 폴고레(Grecale Folgor
조회수 130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포르쉐, 2030년대에도 내연기관·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병행
포르쉐가 2030년대를 대비한 신차 계획을 발표했다. 포르쉐는 내연기관 차량을 포함해 배터리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세 가지 파워트레인을 조합한 제품
조회수 139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EQUIP AUTO Paris 2025, 50주년 기념 전시회… 자동차 애프터마켓 및 서비스 혁신 조명
국제 자동차 산업 전문가들을 위한 전시회인 EQUIP AUTO Paris가 2025년 10월 14일부터 18일까지 파리 포르트 드 베르사유에서 50주년 기념 행
조회수 82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수첩] 러-우 전쟁 끝나면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우크라이나를 침공(2022년 2월)한 직후 외국 브랜드가 모두 철수하면서 부진했던 러시아 신차 시장은 작년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조회수 1,358 2025.03.17.
오토헤럴드

최신 시승기

[시승기] 너무 편한데 미친듯 잘 달려, 뼛속까지 바꾼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감탄을 자아내는 주행 성능은 저속은 물론 중고속 영역까지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 차체는 더 커지고 무게도 늘었지만 오히려 이전
조회수 1,475 2025.03.17.
오토헤럴드
[시승기] BYD 아토 3, 저렴한 가격이 강력한 매력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저속에서 두드러지는 둔감한 핸들링 성능과 예상보다 응답성이 떨어지는 브레이크 반응을 제외하면 익숙하진 않지만 중국 색채가 강한 내외관
조회수 1,427 2025.03.17.
오토헤럴드
[시승기] 미니 에이스맨...예전에 없던 롤링까지, 아쉬운 고-카트 감성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미니(MINI)는 고급 소형차 브랜드다. 독특한 외관과 실내, 일반적인 차들과 다른 주행 감성으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다. 그런데도
조회수 1,915 2025.03.14.
오토헤럴드
[시승기] 혼다 2025년형 뉴 오딧세이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1994년 1세대 모델 출시 후 북미 시장에서 약 300만 대 누적 판매 기록으로 미니밴 부문 1위 타이틀을 줄곧 유지하는 혼다 '오
조회수 2,192 2025.03.12.
오토헤럴드
더 커진 패밀리 SUV, 현대 2세대 팰리세이드 2.5T AWD 7인승 시승기
현대자동차 2세대 팰리세이드를 시승했다. 차체는 5미터를 넘었고 엔진은 2.5리터로 다운사이징 됐다. 파라메트릭 픽셀이라는 아이콘을 베이스로 했지만, 시각적으로
조회수 3,065 2025.03.07.
글로벌오토뉴스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한국타이어 후원, 2025 WRC 최고 난이도 오프로드 ‘사파리 랠리 케냐’ 개최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공식 타이어 공급사로 참여하는 국제자동차연맹(FIA) 주관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 ‘2025 월드 랠리
조회수 898 2025.03.18.
오토헤럴드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 아반떼 N TCR 선택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이 ‘2025 TCR 유럽’에 풀시즌 출전한다. 지난해 TCR 이탈리아에서 팀 종합 2위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조회수 463 2025.03.17.
오토헤럴드
애스턴마틴, 레이싱 드라이버 크리스티안 크로그네스 영입하며 유럽 GT 시즌 대비 본격화
영국 스포츠카 브랜드 애스턴마틴의 공식 레이싱 드라이버 라인업에 2025년부터 노르웨이 출신의 크리스티안 크로그네스(Christian Krognes)가 합류한다
조회수 511 2025.03.14.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벤투스 독점 공급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2025 시즌 개막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레이싱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는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주관 레이싱 대회 ‘람보르기니 슈퍼
조회수 2,075 2025.03.12.
오토헤럴드
애스턴마틴 발키리, 세브링 12시간 레이스에서 북미 무대 데뷔
영국 울트라 럭셔리 퍼포먼스 브랜드 애스턴마틴의 새로운 역사가 이번 주말에도 이어진다. 애스턴마틴의 최신 하이퍼카 발키리(Valkyrie)가 북미에서 가장 극한
조회수 624 2025.03.12.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 소식

테슬라,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반대 입장 표명… “자동차 산업에 부담”
테슬라가 2025년 3월 13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해 경고하는 서한을 보냈다. 테슬라는 이번 조치가 미국 자동차 업체들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조회수 91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영국 자동차업계, 정부에 전기차 구매 인센티브 확대 촉구
영국 자동차업계가 정부에 전기차 구매 인센티브를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영국자동차제조무역협회(SMMT)는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칠 경우 전기차 시장이
조회수 87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BYD, ‘슈퍼 e 플랫폼’ 공개… 5분 충전에 400km 주행 가능
BYD가 17일, 가솔린 차량의 주유 속도와 거의 동일한 충전 속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기차(EV) 플랫폼 ‘슈퍼 e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중국 전역
조회수 146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MINI코리아가 순수전기 고성능 모델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더 뉴 올-일렉트릭 MINI JCW’ 및 ‘더 뉴 올-일렉트릭 MINI
조회수 890 2025.03.18.
오토헤럴드
현대차, 미국서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무료로 가정용 충전기 제공
현대차는 미국시장에서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6 구매 및 리스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 홈 충전기를 제공하는 새로운 혜택을 추가하며 전기차 판매 확대에 나섰다. 현
조회수 870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칼럼] 벌써 잊었나, 아파트 지하 주차장 충전기가 여전히 불안한 이유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작년 여름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시작된 '전기차 포비아'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정부가 서둘러 대책을 마련했지만 매우
조회수 1,455 2025.03.17.
오토헤럴드
[영상]
지난 CES 2025에서 가장 주목받은 자동차 기술 중 하나는 BMW의 ‘파노라믹 비전(Panoramic Vision)’이었다. 아래 영상을 통해 소개하기도 했
조회수 2,017 2025.03.11.
글로벌오토뉴스
이 모든 것은
이제는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행보가 결국 테슬라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12월 17일, 테슬라 주가는 479.86
조회수 1,843 2025.03.11.
글로벌오토뉴스
모빌리티로의 연결 고리, 현대 아이오닉 9
전기동력 대형 SUV모델 아이오닉(IONIQ) 9이 공개됐습니다. 아이오닉 9의 차체 제원은 전장ⅹ전폭ⅹ전고가 5,060ⅹ1,980ⅹ1,790(mm) 이고 휠베
조회수 1,188 2025.03.10.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
중국이 전기차 시장을 지배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산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규제를 완화하며, 구매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또한, 저
조회수 3,092 2025.03.10.
글로벌오토뉴스

테크/팁 소식

테슬라, 중국에서 FSD 무료 체험 진행… 4월 16일까지 한정 제공
테슬라가 중국에서 3월 17일부터 4월 16일까지 한 달간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FSD, 풀 셀프 드라이빙)의 무료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
조회수 69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테슬라, 중국 시장 겨냥한 저가형 모델 Y 출시 계획… 2026년 양산
테슬라가 중국 상하이에서 보다 경제적인 모델 Y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중국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테슬라가 시장 점유율을 방어하기 위한 전
조회수 74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 화재 획기적으로 진압하는 르노의
자동차 산업에서 ‘안전’은 단순한 기술적 요소가 아니라 제조사의 철학과 비전을 반영하는 중요한 가치다. 르노 그룹은 ‘휴먼 퍼스트(Human First)’라는
조회수 118 2025.03.18.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오트론 인수 5년 만의 성과,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 속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모비스가 지난 2020년 현대오트론으로부터 반도체사업을 인수한지 5년만에 자체 설계한 차량용 반도체 양산 성공 사례를 늘리면서 내
조회수 350 2025.03.18.
오토헤럴드
가짜 벽에 그대로 돌진... 카메라 센서 기반 테슬라 오토파일럿의 한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테슬라가 자율주행 시스템이라고 주장하는 '오토파일럿'의 한계를 보여주는 영상이 공개됐다. 전직 나사(NASA) 엔지니어 출신으로 과학
조회수 1,075 2025.03.18.
오토헤럴드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