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풀체인지에 가까운 변화, 2025 기아 스포티지 1.6T 2WD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6,110 등록일 2024.12.13.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기아 5세대 스포티지의 부분 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기아의 다른 모델들이 그렇듯이 내외장은 풀 체인지에 가까운 변화다. 인테리어에서는 ccNc를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시대로의 전화를 반영하고 있다. 파워트레인에서 7단 DCT 대신 토크 컨버터 방식의 8단 AT를 조합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 스포티지 1.6T-GDi 2WD의 시승 느낌을 적는다.

글 / 채영석 (글로벌오토뉴스 국장)



스포티지는 데뷔한 지 31년이 지났다. 큰 차를 좋아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쏘렌토나 K7, K9 등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에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2023년까지 누계 700만 대를 돌파하며 500만 대에 육박하고 있는 쏘렌토보다 존재감이 높다. 프라이드에 이어 두 번째로 밀리언 셀러카로 오른 모델이다.

스포티지 1세대는 모노코크 차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당시 도심형 SUV라는 이미지로 높은 인기를 끌었다. 승용형 SUV라고 했었다. 보디 온 프레임으로 오늘날의 크로스오버와는 달랐지만, 시대를 앞서가는 컨셉을 창조했었다. 하지만 그에 대한 개념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스포티지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특히 리콜이 국내에 처음 소개되면서 스포티지는 악의적인 보도 등에 의해 도중에 단종되고 말았다. 그로 인해 일본차에 주도권을 빼앗겼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기아의 입지를 굳히는데 크게 기여했던 모델이다. 미국의 딜러들은 기아자동차에 스포티지의 부활을 강하게 요구했고 2004년 2세대 모델로 부활했다. 1세대와는 달리 세단형 승용차 플랫폼을 유용한 모노코크 차체였다. 혼다 CR-V와 토요타 RAV4 등이 앞서가고 있는 상황에서 재출발했다.입지 회복을 위해 기아자동차는 3세대 모델의 디자인과 상품성으로 다시 공략에 나섰다. 포인트는 프리미엄 브랜드에 비해 훨씬 낮게 책정된 판매 가격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뒤질 게 없다는 것이었다. 실용성과 가격 대비 상품성을 중시하는 유저들이 더 많다는 점을 내세웠다.

4세대 모델에서는 아예 '우리가 먼저다.'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소비자들은 좋은 제품 못지않게 내가 그 제품을 사야 하는 이유를 제시해 주기를 바란다. 국내시장에서와는 달리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는 기아 브랜드의 인지도 상승폭이 컸다. 미국 시장에서는 쏘렌토와 스포티지가 현대 브랜드의 SUV보다 더 많이 팔렸다.

복잡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스포티지는 존재감이 여전하다. SUV가 대세인 시대에 사실상 기아의 볼륨 모델이다. 큰차의 선호도가 높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모든 것을 분석해서는 안 된다.



현대차와 기아의 부분 변경 모델은 종종 풀 체인지와 가까운 변화를 한다. 스포티지도 그렇다. 전체 이미지에 가장 중요한 앞 얼굴에서 헤드램프 유닛의 변화가 변화를 주도한다. 그런데 이 시대 기아의 앞 얼굴은 헤드램프 유닛으로 변화를 이끈다. 큰 틀에서는 사선을 아이콘으로 하고 있다.

모든 모델이 독일 프리미엄 3사들의 그것처럼 똑같은 그래픽은 아니다. 모델체인지를 할 때마다, 부분 변경을 할 때마다 그 얼굴은 꽤 크게 바뀐다. 그런데 그 컨셉을 주도하는 사선의 주간 주행등은 존재감이 강하다.



도로 위에서 가장 도드라진다. 운전 중 룸미러를 통해 뒤쪽에 보이는 모델 중 기아 모델들의 얼굴이 가장 강조되어 보인다. 과거처럼 라디에이터 그릴이 아니라 주간주행등 중심을 잡고 있다. 그릴이 더 크지만, 이미지는 램프가 좌우하고 있다. 그것이 범퍼 아래쪽 에어 인테이크 주변의 그래픽이 약간 복잡한 듯한 것도 커버해 준다.

2박스카의 한계로 측면의 실루엣에서는 독창성을 만들어내기가 쉽지 않다. 뒤쪽으로 경사진 루프라인과 도어 패널을 중심으로 하는 캐릭터라인 들도 사실은 전혀 다르다고는 할 수 없다. 뒤쪽에서는 큰 변화는 없다. 램프 유닛 안의 그래픽에 변화를 주었지만,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 시대 대부분의 모델이 그렇다.

그래서 차체 전체의 형상(폼)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추세다. 디자이너들의 고민이 느껴진다.



인테리어에서 변화도 크다. 대시보드의 레이아웃은 수평 기조가 더 강조됐다. 좌우로 길게 가로지르는 에어벤트가 그 이미지를 주도한다. 간결한 이미지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인 것은 같은데 베젤 부분의 그래픽에 변화를 주었다. 위아래를 직선으로 처리한 반영한 더블 D컷 형태의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 변화도 눈길을 끈다.



운전석 앞 디스플레이창은 표현 방식이 아날로그 개념을 완전히 없애고 숫자로 사용하는 것이 더 부각된 구성이다. 센터패시아 디스플레이 창과 함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는 무선 업데이트 기능의 강화 등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시대로 가는 과정임을 주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익숙해진 무선 업데이트가 자동차에서 어떤 식으로 구현할지가 과제다.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신선했으나 다른 브랜드들이 그렇듯이 아날로그 시대의 정감 있는 그래픽은 아니다. 디지털 원주민과 유목민들 사이에 시각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센터 스택 부분의 실렉터 다이얼과 단축 버튼의 디자인이 더 간결해졌다.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HoD)와 위험 상황을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경고 스티어링 휠을 기본 적용했다.



파워트레인은 1.6 터보차저와 2.0LPi 두 가지. 1.6T-GDi에는 하이브리드 사양이 있다. 엔진은 1,598cc 직렬 4기통 DOHC 터보차저로 최대출력 180마력, 최대토크 27.0kgm를 발휘한다. 하이브리드 버전은 각각 230마력 35.7kgm로 아직 출시 전이다. 시승차는 1.6T-GDi.

변속기는 7단 DCT에서 토크 컨버터 방식 8단 자동변속기로 바뀌었다. 소비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것이다. 구동 방식은 앞바퀴 굴림방식을 기본으로 네바퀴 굴림방식 사양이 있다.

우선은 기어비 점검 순서. 100km/h에서의 엔진 회전은 1,700rpm. 풀 가속을 하면 5,800rpm에서 시프트 업이 이루어진다. 50km/h에서 2단, 75km/h에서 3단, 115km/h에서 4단으로 변속이 진행된다.



발진 감각은 보통이다. 발진시의 느낌도 배기량에 비해 크게 무리가 없다. 그런데 가속 시 부밍음이 커진다. 그런데 그것이 사운드보다는 노이즈로 느껴진다. 앞쪽에서 들어오는 소음이 있다. 통상적인 주행역에서 가속을 심하게 하지 않으면 문제가 없다. 앞 스트럿에 2방향 댐퍼를 장착해 로드 노이즈를 줄였으며 B필러, 크래시패드 언더커버에 흡음·차음재를 추가하고 도어 트림의 흡음재 밀도를 증대해 실내 정숙성을 더욱 강화했다고 한다. 배기량이 적은 차의 특성이라고는 하지만 높은 토크의 전기차를 자주 시승해서인지 차이가 느껴진다.

EV3 시승기에서도 언급했지만, 저 배기량 가솔린차는 전기차와 비교가 될 수밖에 없다. 언덕길 등에서는 오른발에 스트레스를 피할 수 없다. 이 차의 공차 중량이 1,615kg 안팎으로 무거운 편은 아니다. 출력 대비 중량도 8.97kg/PS로 보통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족하지는 않다. 그래도 전기차가 등장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8단 AT의 감각은 7단 DCT와 뚜렷하게 비교된다. 이것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그러니까 무리하지 않는 운전을 하는 사용자라면 이 변속기가 다른 자잘한 문제를 상쇄할 수도 있다.



서스펜션은 앞 맥퍼슨 스트럿, 뒤 멀티링크. 댐핑 스트로크는 짧은 편이다. 출렁거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댐퍼 용량이 상급 모델에 비해 적다는 핸디캡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노면의 요철은 대부분 흡수한다.

안전 장비로는 국내 출시된 기아 모델 중 처음으로 운전자 전방 주시 경고 카메라가 탑재됐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눈에 띄는 장비다. 과거에 비해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 30주년 에디션에서 채용한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좋은 장비다.

ADAS 장비는 대부분 채용된다. ACC는 ON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면 10초 후에 노란 경고등, 다시 10초 후에 빨간 경고등, 그리고 약 20초 후에 기능이 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이 해제된다. 정속 주행은 그대로 유지된다.



기아 스포티지는 전기차를 제외한다면 분명 이 시대에 최적화된 가솔린 모델이다. 소음이 거슬린다면 하이브리드 버전을 기다릴 수도 있다. 8개의 에어백이 말해 주듯이 상품성에서도 부족함이 없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장점이다.


주요제원 2025 기아 스포티지 1.6T-GDi 2WD

크기
전장×전폭×전고 : 4,485×1,865×1,660mm
휠 베이스 2,755mm
트레드 앞/뒤 : 1,627/1,622mm
공차중량 : 1,615kg
연료탱크 용량 : 45리터
트렁크 용량 : 358리터

엔진
형식 : 1,598cc 스마트스트림 D
압축비 : 16.0:1
보어Ⅹ스트로크 : ---
최고출력 : 180ps /5,500rpm
최대토크 : 27.0kgm /1,500~4,500rpm

트랜스미션
형식 : 8단 AT
기어비 : ---
최종감속비 :

섀시
서스펜션 앞/뒤 : 맥퍼슨 스트럿 / 멀티링크
브레이크 : V 디스크 / 디스크
스티어링 : 랙&피니언
타이어 앞/뒤 : 245/55R19
구동방식 : FF

성능
0-100km/h : --- 초
최고속도 : ---km/h
최소회전반경 : ---m
연비 : 11.5km/L(도심 10.4/고속 13.1)
CO2 배출량 : 144g/km

시판 가격
1.6 가솔린 터보
▲프레스티지 2,836만 원
▲노블레스 3,195만 원
▲시그니처 3,460만 원
▲X-Line 3,525만 원

(작성 일자 2024년 12월 11일)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핫클릭

어! 전기차가 아니네? 기아, EV3 쏙 빼닮은 내연기관차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새로운 글로벌 전략 모델인 콤팩트 SUV ‘시로스’의 본격 양산에 돌입했다. 인도 안드라프라데시(AndhraPradesh)주에
조회수 2,373 2025.01.17.
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수출국의 견제와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에도 지난해 자동차 산업은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자동차 수출액이 2
조회수 2,463 2025.01.17.
오토헤럴드
작년 5배,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KG 모빌리티(KGM)가 튀르키예 현지에서 토레스 EVX 등 제품력과 판매 성장세를 앞세워 지난 2024년 가장 빠르게 성장한 브랜드
조회수 2,380 2025.01.17.
오토헤럴드
최고출력 510마력, 포르쉐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포르쉐코리아 신형 파나메라 GTS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그란 투리스모 스포츠(Gran Turismo Sport)를
조회수 2,795 2025.01.17.
오토헤럴드
[영상] BYD 한국 진출, 지나친 경시도, 경계도 피해야
BYD 코리아 승용차 부문 조인철 대표는 2025년 1월 15일 서울에서 BYD 승용 브랜드의 한국 시장 공식 런칭 행사를 열고 국내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조
조회수 2,653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2025 대한민국 올해의 차 최종 심사에 12개 브랜드 15대 신차 경합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025 대한민국 올해의 차(K-COTY: Korea Car Of The Year) 최종 심사 1차 평가를 진행한 결과, 완성차 및 수입차
조회수 170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KGM, ‘2025 렉스턴’ 라인업 출시  온라인 전용 스페셜 에디션 동시 공개
KG 모빌리티가 고객 선호도에 맞게 트림을 재구성한 ‘2025 렉스턴’ 라인업을 출시하고, 온라인 전용 스페셜 에디션도 함께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새롭게
조회수 186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볼보트럭코리아, 특장차 경정비 서비스 도입으로 ‘원스톱 고객서비스’ 강화
볼보트럭코리아(대표이사: 박강석)는 고객 편의와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볼보트럭이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트럭샵’을 통해 한중특장에서 제작된 윙바디 및
조회수 369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BMW 코리아, 1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4종 출시
BMW 코리아(대표 한상윤)는 16일 오후 3시, BMW 샵 온라인을 통해 1월 한정 판매 모델 4종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온라인 한정 에디션은 BMW 코
조회수 479 2025.01.16.
글로벌오토뉴스
중국 전기차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 2025 글로벌 경쟁 구도 심층 분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 신년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글로벌 자동차 시장 주요 이슈’를 주제로, 국내외 자동차 시장을 조망하
조회수 1,518 2025.01.15.
글로벌오토뉴스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포드, 퍼포먼스 모델 머스탱 RTR 공개
포드가 2025 디트로이트 오토쇼(Detroit Auto Show)에서 최초의 ‘머스탱 RTR(Mustang RTR)’을 공개했다. 오토쇼에 앞서 실시된 공개
조회수 173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초고성능 퍼포먼스 타이어 ‘벤투스 에보’ 글로벌 출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플래그십 타이어 브랜드 ‘벤투스(Ventus)’의 초고성능 퍼포먼스 타이어 ‘벤투스 에보(Ventus evo)’를 1월 20일(현지시간)
조회수 152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기아 미국 ‘2024 굿디자인 어워드’ 대거 수상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의 권위있는 디자인상을 대거 수상하며 혁신적인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현대차기아는 총 19개 제품이 미국 ‘2024 굿디자인 어워드(2
조회수 403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기아, 인도 공장에서 시로스 양산 개시
기아가 인도 공장에서 새로운 글로벌 전략 모델 ‘시로스(Syros)’의 생산을 시작하며 본격 양산에 나선다. 기아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조회수 394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이수일, 이하 한국타이어)가 국제자동차연맹(FIA)이 주관하는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
조회수 527 2025.01.16.
글로벌오토뉴스

최신 시승기

풀체인지에 버금가는 변화, 2025 BMW M235 시승기
BMW 2시리즈 그란쿠페를 시승했다. 미국 스파르탄버그 BMW 공장 내에 있는 신차 출고시험장에서의 짧은 경험이었다. 통상적인 시승과는 달리 노이어 클라쎄의 택
조회수 804 2025.01.14.
글로벌오토뉴스
달리는 즐거움, 2025 BMW M2 시승기
BMW 2세대 M2의 부분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내외장에서의 디테일에 변화를 주고 엔진 성능을 증강시킨 것이 포인트다. 최대출력이 상급 모델 수준으로 올라갔다.
조회수 2,571 2024.12.31.
글로벌오토뉴스
여전한 고카트 감각, 미니 4세대 쿠퍼 S 3도어 시승기
미니 4세대 쿠퍼 S를 시승했다. 미니만의 독창성을 유지하면서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군더더기를 없앤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원형 디스플레이의 그래픽이 어필하
조회수 3,415 2024.12.23.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다움이란 이런 것, 토요타 9세대 캠리 시승기
토요타 캠리 9세대 모델을 시승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만을 라인업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폭스바겐 골프와 함께 글로벌 패밀리카로 존재감이 강한 모델이자 토요
조회수 4,032 2024.12.19.
글로벌오토뉴스
[시승기] 그랑 콜레오스 2.0 가솔린 터보 4WD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앞서 E-TECH 하이브리드에서 만났던 정숙성보다는 덜하지만, 동급 경쟁 모델 대비 준수한 수준의 N.V.H. 성능이 인상적이다. 여
조회수 11,521 2024.12.13.
오토헤럴드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제이미 데이, 애스턴마틴 레이싱 드라이버 아카데미 최우수 졸업생 선정
영국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 애스턴마틴은 최근 영국 GT 챔피언십 GT4 실버 클래스에서 챔피언 자리에 오른 제이미 데이(Jamie Day, 영국)가 애스턴마틴
조회수 1,534 2025.01.14.
글로벌오토뉴스
진짜못지않은 현실감 심 레이싱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현대 N'이 개최한 글로벌 심 레이싱 e스포츠 ‘2024 현대 N 버츄얼 컵’ 결승전에서 폴란드 도미닉 블레어
조회수 2,206 2025.01.13.
오토헤럴드
한국타이어 후원, 포뮬러 E ‘2025 한국 멕시코시티 E-PRIX’ 종료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이수일, 이하 한국타이어)가 오피셜 스폰서로 활동하는 국제자동차연맹(FIA) 주관 세
조회수 572 2025.01.13.
글로벌오토뉴스
캐딜락 포뮬러 1 파워 유닛 회사 설립
제너럴 모터스(이하 ‘GM’)와 TWG 모터스포츠는 캐딜락 포뮬러 1 팀을 "풀 워크스 팀(Full Works Team, 레이싱 차량 및 파워 유닛을 자체적으로
조회수 1,069 2025.01.10.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 가주 레이싱, 2025 도쿄 오토살롱 참가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 이하 TGR)은 2025년 1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마쿠하리 멧세(일본 치바시 소재)에서 개최
조회수 3,565 2025.01.10.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 소식

전기차 스타트업
7년 전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 카누(Canoo)가 파산을 신청하며 즉각적인 운영 중단을 선언했다. 회사는 델라웨어 파산 법원에 챕터 7 절차에 따라 자산을 청
조회수 76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폴스타, 신차 출시로 반등 모색하지만 난관 여전
폴스타가 2024년 실적 발표와 함께, 2025년에도 어려움이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폴스타는 2024년 매출이 2023년의 24억 달러보다 줄어들 것으로
조회수 74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트럼프 행정부, 전기차 도로 사용료 도입 논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교통부 장관으로 지명한 션 더피는 전기차(EV) 소유자들이 도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피는 지난 수요일 상원 상무
조회수 61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중국 친환경차 브랜드 BYD가 한 번에 9200대 자동차를 실어 나를 수 있는 로로선(Ro-Ro선) '선전호(Shenzen)' 본격
조회수 902 2025.01.20.
오토헤럴드
중국산 우습게 보지마! 겨울철 EV 주행거리 상온 대비 손실률 평균 20%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전기차의 경우 겨울철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며 주행가능거리가 줄어드는 특성을 지닌 가운데 특히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선 이를 우려
조회수 881 2025.01.20.
오토헤럴드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한국의 클래식 카-3: 1980년대
앞의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클래식 카의 기준을 30년 이상 된 차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2025년 현재를 기준으로 1995년 이전의 차들을 클래식 카 라고 구분할
조회수 168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칼럼] 문턱 사라진 전기차 시장, 파운드리 산업으로 2라운드 시작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전기차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로 차량 가격을 좌우한다. 제조사들은 내연기관차 대비 비싼 전기차 가격을 낮추기 위해 다
조회수 1,093 2025.01.20.
오토헤럴드
[김흥식 칼럼] 푸조보다 못한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으로 노리는 반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일본은 수입차에 잔인한 시장이다. 지난해 신차 판매량 예상치는 약 460만 대, 이 가운데 수입차는 22만 5000대에 불과하다. 일
조회수 1,928 2025.01.14.
오토헤럴드
한국의 클래식 카-2: 1970년대
1950~60년대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시작되는 시기였다면 1970년대는 발전의 첫 걸음을 뗀 시기였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진자동차는 차체가 더 커진
조회수 2,394 2025.01.13.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332. 새로운 인터페이스 혁명 BMW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이 온다
BMW 가 CES 2025 를 통해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을 공개했다. 2001년 4세대 7시리즈를 통해 처음 선보였던 다이얼식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디
조회수 1,911 2025.01.08.
글로벌오토뉴스

테크/팁 소식

콘티넨탈, CES 2025에 E 잉크 기술 활용한 이모셔널 콕핏 공개
콘티넨탈이 CES 2025를 통해 E 잉크 기술을 활용한 이모셔널 콕핏을 공개하며, 자동차 디스플레이 기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모셔널 콕핏은 기술과
조회수 464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美 도로교통안전국, 엔진 결함 의심 GM 트럭과 SUV 90만 대 결함 조사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제너럴 모터스 차량 약 90만 대와 관련된 엔진 결함 조사에 착수했다. 해당 차량은 6.2리터 L8
조회수 576 2025.01.20.
오토헤럴드
美 자동긴급제동장치 의무화에 자동차 제조사 단체 소송으로 맞대응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조 바이든 현 미국 행정부에서 도입한 자동긴급제동장치(AEB) 의무화에 반발하고 있는 제조사들이 급기야 소송으로 대응에 나섰다. GM
조회수 884 2025.01.20.
오토헤럴드
미국, 중국·러시아 스마트카 수입 금지…2027년부터 본격 시행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2025년 1월 14일, 중국과 러시아의 스마트카 및 관련 기술의 수입과 판매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9월 확정된 규칙에
조회수 957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포르쉐, AI로 자동차 개발 효율성 혁신…LLM 활용 확대
포르쉐 엔지니어링이 자동차 개발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르쉐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통해 개발 프로세
조회수 1,018 2025.01.17.
글로벌오토뉴스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