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몸값이 올라가는 소리가 들린다.
실무진과 경영진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다르다.
내용도 다르지만 그 전달 방식도 다르다. 우리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지난 주말에 보았다. 바로 현대차가 27일 모터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해 토요타와 함께 용인 스피드웨이에서 개최한 '현대 N x 토요타 가주 레이싱(Hyundai N x TOYOTA GAZOO Racing) 페스티벌'이다.
이 글을 진행하기 전에 한 가지 전제를 두겠다. 나는 이번 행사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전술적 목표를 구체적으로 갖고 있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네 회사의 (오너 가문 출신의) 최고 경영자 등장했다는 것에 집중하여 거시적인, 그러나 확실한 메시지를 읽어보려는 것이다. 지금은 전략적 움직임이 더욱 중요한 자동차 산업의 시대적 전환기의 후반전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오너 가문 출신’이라는 말을 굳이 덧붙이는 것이 바로 ‘전략적’이라는 부분과 통한다. 이 글에서는 자세하게 다루지 않겠지만 실적 중심의 ‘빈 카운터 경영’이 지금과 같은 시대의 전환기에서는 바뀐 시대의 테마를 담아내지 못하고 기업을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경우를 적잖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점이 크기 때문이다. 이제는 책임감을 갖고 장기적 전략을 추진하는 경영 방법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그런 면에서 무려 네 명의 그룹 총수가 한 자리에 모인 이번 행사는 결코 모터스포츠 이벤트 하나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1. 현대차가 레거시 브랜드의 좌장이 되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달 현대-GM 공식 협력 발표식에서 매리 바라 GM 회장과 함께 한 데에 이어 이번 달에는 토요타 아키오 회장과 두 브랜드 최초의 연합 이벤트에서 만났다. 공식 발표는 아니지만 현대차와 토요타는 수소차 기술 개발과 생산에 관하여 협력할 영역이 존재한다는 의견이다.
GM은 과거의 세계 1위, 토요타는 현재 세계 1위의 전통적 자동차 제작사, 일명 ‘레거시 브랜드’의 대표 주자들이다. 그런데 이들을 연달아 만난 현대는 21세기 유일하게 성공한 레거시 브랜드이자 전기차 시대에 이르러서 지금까지의 성공적인 패스트 팔로워로서의 자리를 뛰어넘어 퍼스트 무버 또는 리더의 자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것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 일단 과거의 리더 GM, 오늘의 선두주자 토요타가 미래의 리더가 될 잠재력을 가진 현대차를 인정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리고 이것은 일종의 레거시 브랜드 연합 전선의 골격이다. 특히 전기차와 미래차 분야에서 약진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공장이자 시장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서방 자동차 산업의 전선이기도 하다. 그래서 라이벌이었던 동북아의 최강자 현대차와 토요타가 연합하는 것이다. 안타깝께도 서유럽 자동차 레거시 브랜드는 이 연합에 참여하지 못할 듯 하다. 독일은 중국 시장에 중독, 또는 깊게 발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즉,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대결에서 레거시 브랜드와 서유럽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지탱하는 핵심으로 인정받았다는 뜻이다.
그런데 도대체 현대차의 무엇이 그런 인정을 가져왔을까?
2. 한국 자동차 산업 컨소시엄의 현실화
그것은 바로 한국의 미래차 산업 역량이다. 솔직히 중국의 파상 공세에 굳건하게 버텨내고 실적을 만들어내고 있는 레거시 자동차 브랜드는 현대차가 거의 유일하다. 북미와 서유럽의 자동차 산업은 보호 무역의 구태에 다시금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다시 맞닥뜨리고 있다.
이번 행사에 토요타 아키오 회장과 자리를 함께 한 공동 주최자인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외에도 우리 나라 기업의 총수 두 명이 자리를 함께 했었다. 삼성 이재용 회장, 그리고 한국앤컴퍼니의 조현문 회장이었다. 물론 이 두 명이 우리 나라 자동차 산업의 전부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삼성과 한국앤컴퍼니 만으로도 핵심 역량을 상징하기에는 충분하다.
삼성은 자동차 전장 부문과 배터리에서 자동차 산업의 핵심 부품 기업이다. 현재 기존의 반도체 산업에서 창사 이래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삼성의 입장에서 볼 때, 자동차 산업은 삼성의 사업 영역을 본격적으로, 그리고 즉각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업 영역이다.
한국앤컴퍼니는 타이어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자동차 관련 소재 및 부품을 제공한다. 물론 이 날은 자동차 레이싱 팀의 오너이면서 레이스 애호가의 입장에서 참여했다고는 하지만 그룹 회장이 그렇게 가볍게 움직이고 언론 앞에 노출하는 일은 없다. 실질적인 이유는 최근 인수 절차를 진행중인 한온시스템일 것이다. 과거에 ‘한라공조’였던 한온시스템은 일본 덴소에 이어 차량용 공조 장치 및 열 관리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 2위다. 즉, 전기차 배터리 냉각 시스템과 히트 펌프, 수소 연료 전지차의 냉각 장치 등 미래차에서 핵심적인 분야에 진출하게 된다는 뜻이다. 덴소가 토요타 계열사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과 일본이 전기차와 수소차에서 매우 중요한 자동차 냉각 장치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이렇듯 이번 이벤트는 단순한 모터스포츠 이벤트가 아니다. 또한 두 거대 기업의 일회성 회합도 아닐 것이다. 겉으로는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가슴 뜨거운 모터스포츠를 주제로 함께 모였지만, 그 뒤에는 치밀하게 합이 맞추어진 기업 간의 미래 사업 협력의 플랜이 자리잡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그룹 총수들이 한가하게 언론의 카메라 앞에 스스로를 노출하는 일은 절대 없다.
글 / 나윤석 (자동차 전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파워링크
핫클릭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가 G80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강조해 존재감을 더욱 강화한 'G80 블랙' 국내 판매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G8
조회수 4,424
2025.01.08.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로터스코리아가 하이퍼 GT '에메야' 신규 모델의 국내 환경부 인증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인증이 완료된 모델은 기본형인 '에
조회수 2,041
2025.01.07.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차와 기아가 소형 SUV 격전장 미국에서 투싼과 스포티지를 앞세워 2024년 한 해 역대급 판매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조회수 1,878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독특한 외관과 실내 구성으로 1990년대 북미 및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도요타 미니밴 '프리비아(Previa)'가 전동화 버전
조회수 2,038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올해부터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제도가 다시 도입되고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과 셀 제조사 정보 표시 및 제공이 의무화된다. 한국자동차모
조회수 2,219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 ||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회장 최대열)는 지난해 하반기에 출시된 신차(부분변경 포함) 17개 브랜드 26대를 대상으로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올해의 차(Ca
조회수 374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현대자동차의 대형 SUV '팰리세이드'가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AIMM 조사(1월 1주차 기준)에서 신차 구입의향 1위를 기록했다. S
조회수 378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BMW코리아가 고성능 M 하이 퍼포먼스 세단 최초로 전기화 기술을 도입해 향상된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뉴 M5'를 국내에 공식 출시
조회수 1,988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볼보자동차코리아가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선언했다. 볼보코리아는 9일, 순수 전기 SUV EX30을 1분기 출시하고 서비스 및 제품
조회수 723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한국 고객만을 위해 큐레이팅한 럭셔리 비스포크 SUV '올 뉴 레인지로버 SV 비스포크 모닝 캄 에디션'을 국내
조회수 776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 ||
토요타자동차가 2025년 1월 7일, 크라운 컨버터블 프로토타입을 최초로 공개했다. 크라운은 1955년 일본 내 최초의 양산 승용차로 탄생했다. 현재의 16 세
조회수 973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포르쉐가 더 강력한 파워트레인을 바탕으로 화려한 주행 보조 시스템이 기본 탑재된 '카레라 S' 쿠페와 카브리올레를 911 라인업에 추
조회수 2,023
2025.01.10.
|
오토헤럴드 | |
현대차그룹은 지난 9일(한국시각) 미국 네바다주(州)에 있는 퐁텐블로 라스베이거스(Fontainebleau Las Vegas) 호텔에서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
조회수 331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지난해 전세계 신차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한 색상은 하얀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색과 은색, 회색 등 무채색 계열이 80% 이상
조회수 1,976
2025.01.10.
|
오토헤럴드 | |
볼보그룹(Volvo Group)은 CES 2025에서 전 세계 운송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속 가능한 기술과 전략을 공개하며 주목받았다. 지속 가능성과 기술
조회수 261
2025.01.09.
|
글로벌오토뉴스 | |
최신 시승기 | ||
BMW 2세대 M2의 부분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내외장에서의 디테일에 변화를 주고 엔진 성능을 증강시킨 것이 포인트다. 최대출력이 상급 모델 수준으로 올라갔다.
조회수 1,600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미니 4세대 쿠퍼 S를 시승했다. 미니만의 독창성을 유지하면서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군더더기를 없앤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원형 디스플레이의 그래픽이 어필하
조회수 2,507
2024.12.23.
|
글로벌오토뉴스 | |
토요타 캠리 9세대 모델을 시승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만을 라인업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폭스바겐 골프와 함께 글로벌 패밀리카로 존재감이 강한 모델이자 토요
조회수 3,056
2024.12.19.
|
글로벌오토뉴스 | |
기아 5세대 스포티지의 부분 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기아의 다른 모델들이 그렇듯이 내외장은 풀 체인지에 가까운 변화다. 인테리어에서는 ccNc를 통해 소프트웨어
조회수 5,035
2024.12.13.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앞서 E-TECH 하이브리드에서 만났던 정숙성보다는 덜하지만, 동급 경쟁 모델 대비 준수한 수준의 N.V.H. 성능이 인상적이다. 여
조회수 9,547
2024.12.13.
|
오토헤럴드 | |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 ||
제너럴 모터스(이하 ‘GM’)와 TWG 모터스포츠는 캐딜락 포뮬러 1 팀을 "풀 워크스 팀(Full Works Team, 레이싱 차량 및 파워 유닛을 자체적으로
조회수 496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 이하 TGR)은 2025년 1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마쿠하리 멧세(일본 치바시 소재)에서 개최
조회수 2,065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JLR 코리아(대표 로빈 콜건)는 브리티시 어드벤처 브랜드 디펜더가 세계에서 가장 험난한 오프로드 모터스포츠 대회인 다카르 랠리에 디펜더 웍스 팀으로 참가하며
조회수 982
2025.01.07.
|
글로벌오토뉴스 | |
람보르기니가 2025년 FIA 세계 내구 챔피언십(WEC) 시즌을 쉬겠다고 발표한 지 한 달 만에, 2025년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 제한적으로 참가할 계
조회수 613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F1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Ayrton Senna)의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세나(Senna)’가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며 뜨거운
조회수 3,162
2024.12.27.
|
글로벌오토뉴스 | |
전기차 소식 | ||
중국 장청자동차(Great Wall Motor에서 분사한 배터리 제조업체인 에스볼트 에너지(Svolt Energy)가 2025년 1월 8일, 새로 개발한 고속
조회수 728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일본 시장의 2024년 배터리 전기차 판매대수가 일부 발표됐다. 기징 많이 판매한 업체는 닛산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3만749대였다. 다음으로 테슬
조회수 851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2024년은 분명 전기차로의 전환에서 전환점이 되는 해였다. 테슬라 178만대, BYD는 약 176만대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역전은 하지 못했다. 그보다는
조회수 540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현대자동차가 10일(현지시각) 일본 도쿄 마쿠하리 멧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일본 최대 자동차 튜닝 박람회 ‘2025 도쿄 오토살롱’에서 ‘아이오닉 5 N DK
조회수 2,331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가 2025년 판매 라인업에 3개의 신모델 추가 계획을 밝힌 가운데
조회수 1,917
2025.01.10.
|
오토헤럴드 | |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 ||
BMW 가 CES 2025 를 통해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을 공개했다. 2001년 4세대 7시리즈를 통해 처음 선보였던 다이얼식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디
조회수 1,116
2025.01.08.
|
글로벌오토뉴스 | |
2025년 새해를 맞으면서 우리나라의 클래식 카에 관해 정리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앞으로 다섯번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글을 쓰고자 합니다.
조회수 838
2025.01.06.
|
글로벌오토뉴스 | |
2024년을 마무리하면서 너무나 큰 항공 사고로 모든 분들의 마음이 무거우신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뉴스를 보면서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금하기 어려웠습니다. 자동
조회수 908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자율주행 기술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2025년에 본격화될 전망이다. 맥킨지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시장은 2035년까지 약 4,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
조회수 1,173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BMW가 올해 7월에 공개했던 고성능 쿠페 M2를 이번에 공식 출시했습니다. BMW에서 짝수를 쓰는 모델은 쿠페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3시리즈 세단의 2도어
조회수 1,309
2024.12.30.
|
글로벌오토뉴스 | |
테크/팁 소식 | ||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2024년 1월 7일, 내부적으로 비지도 자율 주행 시험을 시작했다고 X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주장했다. 스티리밍 게임 중에 한 말이
조회수 1,104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CES 2025에서 엔비디아가 토요타, 콘티넨탈, 오로라가 엔비디아의 드라이브 기술을 탑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것은 자율 주행 전기차와 전기 트럭에 관한 것
조회수 800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중국 라이다업체들의 진화가 경쟁적으로 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최대 업체인 로보센스가 최대 1,080개의 채널을 가진 EM4를 발표한 직후, 허세이(Hesai G
조회수 682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자동차 기술 선도 기업이자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하만(HARMAN)이 CES 2025에서 지능형 상황 인식 기술을 통해 차량 내 경험을 새롭게 정의했다. 이번 발
조회수 272
2025.01.09.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자동차 앞 유리(윈드실드)는 물론 모든 유리창에서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동영상 등의 구현이 가능한 혁신 기술이 등장했다. 차량의
조회수 949
2025.01.09.
|
오토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