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사이버 캡과 밴의 디자인
최근에 테슬라가 자율주행 차량 두 종류를 발표했습니다. 바로 사이버 밴(Cyber Van)과 사이버 캡(Cyber cab), 혹은 로보 택시(Robo-taxi) 등으로 불리는 완전자율주행 차량입니다. 테슬라의 발표에 의하면 2027년에 시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3년 후 인 것입니다.
이들 두 차량 사이버 밴과 사이버 캡은 이번에 공개된 이미지로는 양산형이기보다는 콘셉트 카에 가까운 이미지로 보입니다. 물론 사이버 캡 차량은 3도어 해치백 구조이면서 패스트 백 형태의 차체로 일견 양산형처럼 보이는데요, 여기에 양쪽의 출입문이 마치 걸 윙 도어 구조로 열리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보통의 해치백 차량처럼 테일 게이트가 열리는 구조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뒤 유리는 없습니다.
이미 뒤 유리가 없는 전기차도 나오고 있으므로, 이 정도의 차체 구조는 당장 양산해도 되는 걸로 보이는 정도이긴 하지만, 바퀴가 조금 특이해 보입니다. 고무 타이어가 있어야 할 부분까지 모두 차체 색으로 돼 있는 것이 조금 의아합니다. 실제로 타이어가 차체 색으로 나오는 것인지는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만, 과거에 콘셉트 카 중에서도 저런 식의 바퀴가 있었던 것 같아서 양산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하지만 사이버 캡의 전체 디자인은 우리가 봐 왔던 패스트 백 쿠페의 전형적인 모습인데요, 이런 걸 클리셰(clishe)라고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일종의 판에 박힌 모습을 의미하거나 진부한 표현, 또는 고정관념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의 단어(cliché)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본래는 과거의 활판 인쇄 시대의 기술에서 납을 녹여서 만든 인쇄 활자판의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1980년대까지는 일간 신문이 모두 이렇게 납으로 만든 ‘통짜’ 인쇄 활자판으로 인쇄됐습니다. 그런데 이런 구조의 인쇄 판에서는 이미 만들어진 뒤에 잘못된 글자가 발견돼도 그 부분만 고칠 수가 없습니다. 통째로 잘라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고정관념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한편 사이버 캡의 실내 이미지를 보면 2인승 좌석에 수평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있고 중앙에 커다란 모니터만 붙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율주행차량이라는 특징을 보여주듯 스티어링 휠이 없습니다. 그야말로 앉아 있으면 저절로 데려다 주는 공간입니다. 그리고 물론 사진 상으로는 좌석 안전띠도 없습니다.
이론 상으로 본다면 완전 자율주행 차량은 당연히 교통 사고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안전띠가 필요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런 조건이 성립되려면 도로 위에는 모두 자율주행차량만 다녀야 합니다. 과연 도로 위의 모든 차량들이 완전한 자율주행차량으로만 이루어진 날이 2027년까지 실현될 것인지는 의문이 드는 게 솔직한 생각입니다.
정말로 도로가 인공지능 제어에 의해 움직이는 완전자율주행 차량으로만 채워진다면 교통사고나 교통체증이 사라질까요?
테슬라는 사이버 캡 이외에도 여러 사람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콘셉트의 사이버 밴의 이미지도 공개했습니다. 사이버 밴은 마주 보는 배치로 7인승의 좌석이 양쪽으로 배치된 14인승 차량으로 보입니다. 좌석에서 앞 줄에는 1인석과 2인석이 배치돼 있으면서 머리 받침이 없고, 2열은 4인석이 벤치 형태의 좌석이면서 머리 받침이 있는 구조입니다.
즉 1열은 단거리 승객용 좌석, 2열은 그보다는 긴 거리를 이동하는 승객용 좌석으로 보입니다. 역시 모든 좌석에는 안전띠가 없습니다. 그리고 팔걸이도 없습니다.
사실상 현재의 차들도 운전석은 팔걸이가 없어도 되겠지만, 승객석은 좌석에 앉아 있는 동안에는 팔걸이, 혹은 팔을 기댈 수 있는 구조물이 있어야 자세가 편안해지는 게 보통인데요, 그런 구조물이 전혀 없다는 건 아무리 부드러운 자율주행이 실현된다고 해도 과연 승객들이 저 의자에 앉아서 편안해 할 것인지는 의문이 듭니다.
게다가 2인 좌석은 개인의 공간이 없는 크기, 즉 두 사람이 앉아서 어깨가 부딪힐 정도의 폭이니 이건 그저 꽂꼿이 않아있어야 하는 좌석이군요. 그야말로 자리에 앉아서 영화 관람만 하는 극장에서도 옆에 앉은 사람과 팔걸이를 서로 쓰다가 시비가 벌어지기도 한다는말이 있는데요, 저런 팔걸이로 구분되지도 않은 좌석에 편안히 앉을 수 있을까요?
사이버 밴은 차체 전체에 다섯 줄의 긴 램프가 둘러쳐져 있습니다. 뒤쪽은 빨간색이고 앞쪽은 백색 램프로 전후 구분을 해 놓았고, 앞쪽의 기울기는 경사가 있습니다. 이 경사진 외부 형태를 제외하면 이 차는 실내 구조는 앞뒤가 대칭적인 형태입니다.
그리고 테슬라가 제시한 사진 중에는 이 사이버 밴을 마치 캠핑카처럼 사용한 걸로 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반려견과 함께 저녁 노을을 바라보고 앉아 있는 모습인데요, 이 차량이 단순한 밴으로도 쓰이지만, 캠핑카로도 쓰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물론 공간 중심의 차량이므로 캠핑카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한편으로 이런 이미지는 서구의 유목문화의 한 단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전통적으로 동양은 농경문화(農耕文化)에 기반한 정주(定住) 중심의 문화이고, 그에 대비되어 서양은 대체로 유목문화(遊牧文化)에 기반한 이동(移動) 중심의 문화라는 점은 보편적으로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오늘날의 모빌리티(mobility)의 개념이 단지 완성돤 한 대의 자동차라는 이동 기계의 개념에서, 이동이 결합된 주거 공간의 개념으로 바뀌는 것을 보여주는, 즉 공간의 사용성이 이동성과 결합된 도구라는 점이 두드러지고 있고, 이러한 기능은 서구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라는 점입니다. 테슬라의 사이버 캡은 그러한 서구 문명의 디지털 기술적 해석이라고 보이기도 합니다.
글 / 구상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교수)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파워링크
핫클릭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가 G80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강조해 존재감을 더욱 강화한 'G80 블랙' 국내 판매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G8
조회수 4,515
2025.01.08.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로터스코리아가 하이퍼 GT '에메야' 신규 모델의 국내 환경부 인증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인증이 완료된 모델은 기본형인 '에
조회수 2,074
2025.01.07.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차와 기아가 소형 SUV 격전장 미국에서 투싼과 스포티지를 앞세워 2024년 한 해 역대급 판매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조회수 1,890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독특한 외관과 실내 구성으로 1990년대 북미 및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도요타 미니밴 '프리비아(Previa)'가 전동화 버전
조회수 2,069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올해부터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제도가 다시 도입되고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과 셀 제조사 정보 표시 및 제공이 의무화된다. 한국자동차모
조회수 2,256
2025.01.06.
|
오토헤럴드 | |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 ||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회장 최대열)는 지난해 하반기에 출시된 신차(부분변경 포함) 17개 브랜드 26대를 대상으로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올해의 차(Ca
조회수 399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현대자동차의 대형 SUV '팰리세이드'가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AIMM 조사(1월 1주차 기준)에서 신차 구입의향 1위를 기록했다. S
조회수 401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BMW코리아가 고성능 M 하이 퍼포먼스 세단 최초로 전기화 기술을 도입해 향상된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뉴 M5'를 국내에 공식 출시
조회수 2,032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볼보자동차코리아가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선언했다. 볼보코리아는 9일, 순수 전기 SUV EX30을 1분기 출시하고 서비스 및 제품
조회수 736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한국 고객만을 위해 큐레이팅한 럭셔리 비스포크 SUV '올 뉴 레인지로버 SV 비스포크 모닝 캄 에디션'을 국내
조회수 789
2025.01.09.
|
오토헤럴드 | |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 ||
토요타자동차가 2025년 1월 7일, 크라운 컨버터블 프로토타입을 최초로 공개했다. 크라운은 1955년 일본 내 최초의 양산 승용차로 탄생했다. 현재의 16 세
조회수 1,008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포르쉐가 더 강력한 파워트레인을 바탕으로 화려한 주행 보조 시스템이 기본 탑재된 '카레라 S' 쿠페와 카브리올레를 911 라인업에 추
조회수 2,088
2025.01.10.
|
오토헤럴드 | |
현대차그룹은 지난 9일(한국시각) 미국 네바다주(州)에 있는 퐁텐블로 라스베이거스(Fontainebleau Las Vegas) 호텔에서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
조회수 353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지난해 전세계 신차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한 색상은 하얀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색과 은색, 회색 등 무채색 계열이 80% 이상
조회수 2,041
2025.01.10.
|
오토헤럴드 | |
볼보그룹(Volvo Group)은 CES 2025에서 전 세계 운송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속 가능한 기술과 전략을 공개하며 주목받았다. 지속 가능성과 기술
조회수 271
2025.01.09.
|
글로벌오토뉴스 | |
최신 시승기 | ||
BMW 2세대 M2의 부분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내외장에서의 디테일에 변화를 주고 엔진 성능을 증강시킨 것이 포인트다. 최대출력이 상급 모델 수준으로 올라갔다.
조회수 1,618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미니 4세대 쿠퍼 S를 시승했다. 미니만의 독창성을 유지하면서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군더더기를 없앤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원형 디스플레이의 그래픽이 어필하
조회수 2,525
2024.12.23.
|
글로벌오토뉴스 | |
토요타 캠리 9세대 모델을 시승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만을 라인업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폭스바겐 골프와 함께 글로벌 패밀리카로 존재감이 강한 모델이자 토요
조회수 3,074
2024.12.19.
|
글로벌오토뉴스 | |
기아 5세대 스포티지의 부분 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기아의 다른 모델들이 그렇듯이 내외장은 풀 체인지에 가까운 변화다. 인테리어에서는 ccNc를 통해 소프트웨어
조회수 5,060
2024.12.13.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앞서 E-TECH 하이브리드에서 만났던 정숙성보다는 덜하지만, 동급 경쟁 모델 대비 준수한 수준의 N.V.H. 성능이 인상적이다. 여
조회수 9,593
2024.12.13.
|
오토헤럴드 | |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 ||
제너럴 모터스(이하 ‘GM’)와 TWG 모터스포츠는 캐딜락 포뮬러 1 팀을 "풀 워크스 팀(Full Works Team, 레이싱 차량 및 파워 유닛을 자체적으로
조회수 515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 이하 TGR)은 2025년 1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마쿠하리 멧세(일본 치바시 소재)에서 개최
조회수 2,160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JLR 코리아(대표 로빈 콜건)는 브리티시 어드벤처 브랜드 디펜더가 세계에서 가장 험난한 오프로드 모터스포츠 대회인 다카르 랠리에 디펜더 웍스 팀으로 참가하며
조회수 989
2025.01.07.
|
글로벌오토뉴스 | |
람보르기니가 2025년 FIA 세계 내구 챔피언십(WEC) 시즌을 쉬겠다고 발표한 지 한 달 만에, 2025년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 제한적으로 참가할 계
조회수 619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F1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Ayrton Senna)의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세나(Senna)’가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며 뜨거운
조회수 3,175
2024.12.27.
|
글로벌오토뉴스 | |
전기차 소식 | ||
중국 장청자동차(Great Wall Motor에서 분사한 배터리 제조업체인 에스볼트 에너지(Svolt Energy)가 2025년 1월 8일, 새로 개발한 고속
조회수 757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일본 시장의 2024년 배터리 전기차 판매대수가 일부 발표됐다. 기징 많이 판매한 업체는 닛산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3만749대였다. 다음으로 테슬
조회수 877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2024년은 분명 전기차로의 전환에서 전환점이 되는 해였다. 테슬라 178만대, BYD는 약 176만대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역전은 하지 못했다. 그보다는
조회수 562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현대자동차가 10일(현지시각) 일본 도쿄 마쿠하리 멧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일본 최대 자동차 튜닝 박람회 ‘2025 도쿄 오토살롱’에서 ‘아이오닉 5 N DK
조회수 2,448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가 2025년 판매 라인업에 3개의 신모델 추가 계획을 밝힌 가운데
조회수 1,979
2025.01.10.
|
오토헤럴드 | |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 ||
BMW 가 CES 2025 를 통해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을 공개했다. 2001년 4세대 7시리즈를 통해 처음 선보였던 다이얼식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디
조회수 1,138
2025.01.08.
|
글로벌오토뉴스 | |
2025년 새해를 맞으면서 우리나라의 클래식 카에 관해 정리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앞으로 다섯번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글을 쓰고자 합니다.
조회수 848
2025.01.06.
|
글로벌오토뉴스 | |
2024년을 마무리하면서 너무나 큰 항공 사고로 모든 분들의 마음이 무거우신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뉴스를 보면서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금하기 어려웠습니다. 자동
조회수 920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자율주행 기술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2025년에 본격화될 전망이다. 맥킨지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시장은 2035년까지 약 4,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
조회수 1,184
2024.12.31.
|
글로벌오토뉴스 | |
BMW가 올해 7월에 공개했던 고성능 쿠페 M2를 이번에 공식 출시했습니다. BMW에서 짝수를 쓰는 모델은 쿠페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3시리즈 세단의 2도어
조회수 1,319
2024.12.30.
|
글로벌오토뉴스 | |
테크/팁 소식 | ||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2024년 1월 7일, 내부적으로 비지도 자율 주행 시험을 시작했다고 X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주장했다. 스티리밍 게임 중에 한 말이
조회수 1,133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CES 2025에서 엔비디아가 토요타, 콘티넨탈, 오로라가 엔비디아의 드라이브 기술을 탑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것은 자율 주행 전기차와 전기 트럭에 관한 것
조회수 837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중국 라이다업체들의 진화가 경쟁적으로 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최대 업체인 로보센스가 최대 1,080개의 채널을 가진 EM4를 발표한 직후, 허세이(Hesai G
조회수 716
2025.01.10.
|
글로벌오토뉴스 | |
자동차 기술 선도 기업이자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하만(HARMAN)이 CES 2025에서 지능형 상황 인식 기술을 통해 차량 내 경험을 새롭게 정의했다. 이번 발
조회수 281
2025.01.09.
|
글로벌오토뉴스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자동차 앞 유리(윈드실드)는 물론 모든 유리창에서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동영상 등의 구현이 가능한 혁신 기술이 등장했다. 차량의
조회수 964
2025.01.09.
|
오토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