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성능과 실용성의 완성형, 포르쉐 3세대 파나메라4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22,075 등록일 2024.07.05.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포르쉐 3세대 파나메라를 시승했다. 911이 그렇듯이 포르쉐만의 라인은 여전하다. 엔진을 두 가지로 축소했지만 파워는 증강됐다. 인테리어도 신세대 포르쉐의 어드밴스드 콕핏이 중심이다. 21세기 럭셔리 스포츠 쿠페와 패밀리 세단의 성격은 실내 공간에서 더욱 강조되어 있다. 카이엔은 배터리 전기차 버전이 개발되고 있지만 파나메라는 아직 소식이 없다. 203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에는 변함이 없다. 포르쉐 3세대 파나메라4의 시승 느낌을 적는다.


글 / 채영석 (글로벌오토뉴스 국장)

파나메라가 데뷔했던 2009년 포르쉐 판매 대수는 연간 10만 대밖에 판매되지 않았다. 1990년대 초반 1만 5,000대에 불과했던 포르쉐는 카이엔으로 볼륨을 크게 증대했고 파나메라로 라인업을 확대해 2023년 판매 대수는 32만 221대까지 증가했다. 북미에서 8만 6,059대, 중국에서 7만 9,283대, 유럽 7만 229대로 주요 시장에서 고른 판매를 보인다. 본국인 독일에서는 3만 2,430대가 팔렸다. SUV인 카이엔도 그렇고 4도어 그란투리스모를 표방하는 파나메라도 포르쉐의 전략이 얼마나 치밀했는지는 잘 보여주는 모델이다.

브랜드 내 판매 순위는 2023년 기준 카이엔이 8만, 7,553대, 마칸이 8만 7,355대로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브랜드 아이콘인 911은 5만 146대, 배터리 전기차 타이칸이 4만 629대, 718시리즈가 2만 518대가 팔렸다.

포르쉐는 좋은 차의 범주에 들고자 하는 브랜드다. 잘 팔리는 차는 숫자로 순위 매김은 가능하다. 큰 틀에서의 포지셔닝은 페라리나 람보르기니 등 산업적인 분석이 개입할 수 없는 하이엔드, 그리고 독일 프리미엄 3사의 M이나 AMG, S 등 스포츠 세단의 중간이다.



파워트레인 레이아웃이 RR이 아닌 FR로 좀 더 접근이 쉬운 차라는 것을 강조했다. 엔진을 앞쪽에 탑재하고 뒷바퀴를 구동하는 모델이다. 포르쉐 라인업에 FR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77년 데뷔한 928이 있었다. 그 모델을 베이스로 1987년에 제작된 928H50 콘셉트카가 4도어 스포츠카의 첫 시도였다. 페르디난트 포르쉐의 장남 페리 포르쉐는 실용적인 스포츠카에 대한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로 4도어 모델의 개발을 추진했었다. 그의 꿈이 그의 탄생 100주년인 2009년 파나메라를 통해 구현된 것이다.

파나메라의 기본 컨셉은 클래식 스포츠 쿠페와 럭셔리 세단, 그리고 스태이션 왜건의 성격을 겸비한 모델이다. 장르 상으로 4 도어 그란투리스모, 4인승 스포츠카, 4도어 4인승 스포츠 쿠페 등 다양한 구분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GT, 즉 그랜드 투어러다. 4인 가족이 넉넉하게 여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포르쉐의 DNA인 성능과 역동성, 정확성, 타협 없는 스포츠성 등은 손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포르쉐의 주행성을 실현하면서 실내 공간에 대해 배려한 모델이라는 얘기이다.

파나메라의 판매 대수는 타이칸보다는 적다. 이는 포르쉐의 전기차로의 전환과 맥을 같이 한다. 포르쉐는 2021년에 203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이야기는 미래의 포르쉐 라인업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전기차로 바꾼다는 것이다. 전동화에 대해 포르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20세기 초에 가장 먼저 개발한 역사가 있지만 2014년 2인승 슈퍼 스포츠카 918스파이더를 통해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고 저 유명한 독일 뉘르부르크링 북코스를 6분 57초에 주파해 마의 7분 벽을 넘어선 모델이다. 0~100km/h 가속 성능 2.6초라는 가공할 만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누군가 바꾼다. 선구자들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면 나머지는 그를 따른다. 물론 그마저 거부하며 도태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금 세상은 그야말로 급변하고 있다. 그것을 직시하고 공부하며 대비하는 측과 이대로가 좋다고 강변하는 측과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루 이틀 사이에 그 결과가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부지불식간에 세상은 한 참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회학자, 미래학자, 사회사상가들의 말이 뇌리를 친다.

그때만 해도 속도(Velocity)를 브랜드 이미지로 하는 포르쉐가 연비 성능을 중시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모델로 성능을 통해 그들의 기술력을 입증해 보인다는 것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당시에는 실험, 혹은 모험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미래의 방향에 대해 뚜렷한 답이 없는 상황에서 일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에너지 상황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차세대 파워트레인에 대한 공감대가 미약한 상태였다.

그러나 포르쉐는 과감한 전진을 택했다. 전동화에 대한 미래를 낙관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해도 연비성능 향상, 유해 배기가스 저감이라는 시대적인 과제는 물론이고 포르쉐의 DNA인 속도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는 것이다.



같은 4도어 모델인데 타이칸은 브랜드 내에서 911과 함께 스포츠카로 분류된다. 파나메라는 날렵하면서도 편안함을 중시하는 럭셔리 스포츠카를 지향한다. 플랫폼은 기존 MSB의 개선된 버전인 MSBw다. 포르쉐는 다른 브랜드와 달리 모델체인지에서 스타일링 익스테리어의 극적인 변화는 없다. 디테일을 통해서 변화를 표현한다. 그것을 포르쉐 마니아들은 안다.



앞 얼굴에서는 사각 형상의 헤드램프 유닛에 배열된 4개의 LED 모듈의 그래픽이 달라졌다. 더 날카로워진 매트릭스 LED 헤드라이트가 눈길을 끈다. 아래쪽에서는 싱글 프레임의 개구부가 훨씬 커졌다.



측면에서는 2세대에서 좀 더 강조된 파나메라만의 플라이 라인으로 독창적인 실루엣을 만들고 있다. 2세대 모델부터 더 짧아진 앞 오버행과 길어진 뒤 오버행이 웨이스트 라인과 어울려 경쾌한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뒤쪽으로 흐르는 라인은 특히 911을 연상케 한다. 이런 장르의 모델에서는 숄더라인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도어가 닫히는 소리가 차체의 높은 강성과 정숙성을 강조하고 있다.



뒤쪽에서는 리어 컴비내이션 램프가 연결된 것이 눈에 띈다. 범퍼 아래의 배기 파이프는 트림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타이칸이 그렇듯이 인테리어의 레이아웃은 911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 왼쪽에 푸시 타입의 시동 버튼이 있는 것은 같다. 오른쪽의 토글 타입의 R, N, D가 있는 실렉터 레버 위치가 약간 오른쪽 위로 이동했다. P 버튼이 오른쪽이 아닌 위쪽에 배치됐다. 스틱 레버는 물론 AT의 실렉터 레버도 점차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전체적으로도 풀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포인트다. 포르쉐 어드밴스드 콕핏의 계기판은 곡면형 12.6인치다. 그리고 센터패시아 위 10.9인치, 아래 8.4인치, 그리고 옵션으로 동승석 쪽에 10.9인치 등 모두 네 개의 디스플레이 창이 설정되어 있다. 동승석 디스플레이 창에서는 주행 관련 조작을 제외하고는 유튜브 등 대부분을 즐길 수 있다. 무엇보다 작동 중에는 특별한 설정이 없어도 운전석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있다. 공조 시스템 패널부터 센터 콘솔까지 이어지는 공간이 훨씬 간결해졌다.

각 디스플레이창의 조절 방법은 내연기관 포르쉐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 내용도 알기 쉽고 조작도 간편하다. 아예 태블릿 PC 개념이기 때문에 스마트폰보다는 복잡하지만 그렇다고 머리를 써야 할 정도는 아니다. 그래픽의 해상도도 충분하다.



운전석 앞쪽의 디스플레이는 포르쉐의 아이콘인 3연, 5연 방식의 클러스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배치하고 있다. 기본 화면에는 당연히 엔진 회전계가 가운데 있다. 오른쪽 스티어링 스포크상의 버튼 등으로 조작해 내비게이션만 지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지도와 속도계, 엔진 회전계를 나열할 수도 있다. 간단히 속도만 수치로 표현하는 창도 선택할 수 있다.



모든 버튼은 디스플레이 창으로 통합됐고 스티어링 휠 스포크에만 계기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치가 좌우에 하나씩 있다. ADAS 기능을 위한 레버가 칼럼 왼쪽에 있다. 911시리즈 및 타이칸과 같다. ADAS 기능 등 일부 전자 장비는 그룹 내의 것들을 공유하고 있다.



시트는 4인승, 스포츠카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하이백 일체형 헤드레스트를 채용한 시트의 디자인이 우선 운전자를 자극한다. 착좌 위치는 스포츠카답게 낮다. 운전석과 동승석 모두 18웨이 전동 조절식. 착좌감이 부드럽다. 시트와 맞닿는 부분의 혈액순환에 문제가 없도록 단단하다. 4웨이 럼버 서포트가 더 좋다.



리어 시트는 40 : 20 : 40 분할 접이식. 신장 170cm인 기자가 앉으면 머리 공간과 무릎 공간에 여유가 있다. 성인 두 명이 충분히 장시간 탑승할 수 있다. 루프라인을 감안하면 의외의 포인트다. 리어 시트를 위한 별도의 공조 시스템 조절 패널이 있다. 선루프를 조절하는 버튼도 있다. 트렁크 적재 용량은 493리터. 리어 시트를 젖히면 최대 1,328리터까지 확대된다.



엔진은 2.9리터 V6 터보차저가 기본이다. 여섯 가지 베리에이션 중 파나메라 터보 E 하이브리드(PHEV)에만 탑재되는 4.0리터 V8 두 가지가 있다. 2.9리터 버전에도 PHEV 버전이 있다. 시승차는 파나메라4로 2.9리터 엔진은 부스트 압력, 연료 분사 유량 및 점화 타이밍을 변경하여 최대출력 353PS, 최대토크 500Nm을 발휘한다. 선대 모델보다 각각 23PS, 50 Nm 증강됐다.

변속기는 8단 PDK(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뒷바퀴 굴림방식 모델은 0~100km/h 가속 성능은 5.1초, 최고속도는 272km/h, 네 바퀴 굴림방식 파나메라 4는 각각 4.8초, 270km/h. 전자제어식 다판 클러치를 사용한 가변식 풀 타임 4WD다.

우선은 기어비 점검 순서. 100km/h에서의 엔진 회전은 1,400rpm. 레드존은 6,800 rpm으로 변함이 없다. 정지 상태에서 풀 가속을 하면 6,400rpm 부근에서 시프트업이 이루어진다. 40km/h에서 2단, 80km/h에서 3단, 130km/h에서 4단으로 변속이 진행된다.



선대 모델에서도 그랬지만 엔진 시동은 물론이고 발진 감각이 아주 부드럽다. 소음도 V6엔진다운 세팅이다. 이럴 경우 배터리 전기차와의 차이를 체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전장이 5미터가 넘는 대형차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경쾌한 거동이 인상적이다. 이는 오늘날 스포츠카가 초고속 역보다는 주변의 차량과 호흡하면서 가감속을 즐기는데 비중을 둔다는 것을 말해 준다. 물론 아우토반에서 숙성된 차답게 고속에서의 안정성은 더할 나위 없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수준이다.

그만큼 엑셀워크가 세밀해야 한다. PDK의 거동과 기어 변속 속도가 포르쉐답다. 911과 같은 것이다. 이는 엔진의 잠재력이 있어야 하고 변속기와 매칭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스포츠카의 필수 조건이다. 펀치력은 필요 충분하다. 라이트사이징을 표방하는 엔진으로서 부족함이 없다. 좀 더 자극적인 주행을 하고 싶으면 주행 모드를 스포츠나 스포츠+로 바꾸면 섀시 전체의 반응이 예민해지며 으르렁거리는 사운드로 응답한다.



서스펜션은 앞 더블 위시본, 뒤 멀티 링크. 댐핑 스트로크는 짧다. 이 대목은 다른 차들과는 차이가 있다. 분명 단단한 하체인데 상체는 쾌적성이 우선이다. 선대 911이 등장했을 때 그랬다. 파나메라도 그런 성격이 부여됐다. 포르쉐 액티브 서스펜션 매니지먼트 시스템(PASM)은 노면 상황과 운전 스타일에 따라 각 댐퍼의 감쇠력을 무단계로 조정한다. 2챔버, 2밸브의 에어 서스펜션은 가변 댐퍼를 갖추고 있다. 선대 모델에서 공기의 양을 60%가량 늘렸다. 이에 따라 노멀모드에서는 부드러운 세단 감각으로 달릴 수 있고 스포츠 +모드에서는 쾌적성을 유지하면서 본격적인 서킷 주행에도 대응할 수 있다. 서킷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주행모드 설정에서 댐퍼의 익스텐션과 컴프레션 단계를 별도로 제어해 원하는 주행성을 설정할 수 있다. 컴포트 모드로 해 요철과 이음매 등에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는 쪽으로 한 상태에서 갑자기 속도를 높여도 필요 충분하다. 물론 써키트 등 와인딩로드에서는 스포츠 모드로 즐기는 것도 권장한다. 그때는 사운드와 속도감이 자극한다.



그것을 보장하는 것이 정확한 스티어링 휠의 응답성이다. 록 투 록 2.6회전의 스티어링 휠을 중심으로 하는 핸들링 특성은 뉴트럴. 토크 벡터링 컨트롤로 하체의 거동을 잡아 주는 효과다. 이는 파나메라의 전체적인 주행성을 911에 가깝게 하는 데 기여한다. 응답성은 즉답식.

옵션으로 뒷바퀴를 최대 2.8도 역위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리어 액슬 스티어가 채용되어 있다. 50km/h에서 앞바퀴를 역위상으로, 그 이상에서는 동위상으로 전환된다. 가끔 4WS와 리어 액슬 스티어 시스템을 채용한 모델들을 시승해 보았으나 일반도로 주행에서 그 효과를 체감하기는 쉽지 않았다. 다만 유턴 시 최소 회전반경의 차이는 실감할 수 있다.



포르쉐는 주행성 향상과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전자제어 안전장비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일반인도 즐길 수 있는 스포츠카를 만드는 요소다. 이번에는 ACC가 표준 장비로 설정됐다. ON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면 10초 후에 계기판에 스티어링 휠을 잡으라는 메시지가 뜬다. 다시 10초 후에는 붉은색 경고 메시지와 경고음이 울린다. 그리고 약 8초 후에 기능이 정지된다. 스티어링 휠을 다시 잡아도 활성화되지는 않는다. 항상 하는 이야기이지만 아직은 이보다는 자동 긴급 제동 장치 등에 더 고마워해야 하는 시대다.



1세대 파나메라 시승에서는 '정장이지만 콤비 스타일의 차'라고 표현했었다. 2세대는 중년 신사가 하의를 진으로 코디내이션 한, 한 걸음 더 캐쥬얼한 분위기로 바뀌었었다. 그리고 3세대는 그런 분위기에 더해 패밀리카로써의 용도도 한층 강조됐다.


주요제원 포르쉐 3세대 파나메라 4

크기
전장Ⅹ전폭Ⅹ전고 : 5,052Ⅹ1,937Ⅹ1,423mm.
휠 베이스 : 2,950mm
트레드 앞/뒤 : 1,671/1,651mm
공차 중량 : 1,960kg(EU 기준)
트렁크 용량 : 495~1,304리터

엔진
형식 : V형 6기통 트윈 터보 가솔린
배기량 : 2,894cc
보어Ⅹ스트로크 : 84.5Ⅹ86.0mm
압축비 : 10.5
최고출력 : 353ps/5,400~6,700rpm
최대토크 : 500Nm(/1,900~4,800rpm
연료탱크 용량 : 프리미엄 75리터

변속기
형식 : 8단 PDK(DCT)
기어비 : 5.97/3.24/2.08/1.42/1.05/0.84/0.68/0.53/R 5.22
최종 감속비 : 3.36

섀시
서스펜션 앞/뒤 : 더블위시본 / 멀티 링크
브레이크 앞/뒤 : V디스크
스티어링 : 랙 & 피니언
구동방식 : AWD
타이어 : 265/45ZR19//295/40ZR19

성능
0->100km/h 가속시간 : 5.3초(스포츠크로노패키지 5.1 초)
최고속도 : 272km/h
복합연비 : 8.8 km/리터
이산화탄소 배출량 : 195 g/km
최소회전 반경 : 5.9m

시판가격
파나메라 4 : 1억7,670만 원
파나메라 터보 E-하이브리드 3억 910만 원

(작성일자 2024년 6월 27일)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핫클릭

“신차 유지비용도 비교한다” 다나와자동차, ‘구매 비용 비교’ 서비스 오픈
이커머스 전문기업 커넥트웨이브의 자동차 정보 서비스 '다나와자동차'가 신차 견적 서비스에 구매 방식별 총 소요 비용까지 비교할 수 있는 ‘구매 비용 비교’ 기능
조회수 607 2025.06.12.
다나와자동차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기아가 브랜드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 ‘더 기아 PV5’ 사양 구성과 가격을 공개하고 10일부터 국내 계약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
조회수 1,617 2025.06.09.
오토헤럴드
폭스바겐, 정통 퍼포먼스 해치백 ‘신형 골프 GTI’ 출시… 가격 5175만원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폭스바겐 정통 핫해치의 헤리티지를 계승한 ‘신형 골프 GTI’가 9일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 골프는 1976년 첫 등장 이후 약 50
조회수 1,695 2025.06.09.
오토헤럴드
KGM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일본에서 토종 브랜드의 소형 전기차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 전기차 수요는 2024년 기준 연간 약 5만 9000여 대 수준으로
조회수 1,548 2025.06.09.
오토헤럴드
[영상] 화려함보다 실속, 아틀라스가 보여준 대형 SUV의 정석
폭스바겐이 북미 시장을 겨냥해 개발한 대형 SUV ‘아틀라스(Atlas)’가 국내에 상륙했다. 이미 신차 발표 현장에서 외형과 구성은 확인했지만, 직접 시승을
조회수 1,836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태안모터스, 아우디 딜러 최초 ISO 45001 전 지점 인증 획득
아우디 공식딜러사인 태안모터스(대표 강형규, 서덕중)가 국내 아우디 딜러 가운데 최초로 전국 모든 서비스 지점에서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450
조회수 202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볼보자동차코리아, 6월 계약 고객 대상 ‘Hej, Juni’ 이벤트 실시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 이윤모)는 6월 한 달간 신규 계약 고객을 대상으로 스웨디시 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는 ‘헤이, 유니(Hej, Juni)’ 이벤트를 진
조회수 187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KG 모빌리티, 무쏘 EV·토레스 HEV 첫 수출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전기 SUV ‘무쏘 EV’와 하이브리드 모델 ‘토레스 HEV’의 해외 수출을 시작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KG
조회수 175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유록스, 트럭커 가족의 삶을 조명한 감동 광고 공개
롯데정밀화학의 요소수 브랜드 유록스(EUROX)가 트럭 운전자와 그 가족들의 삶을 응원하는 감성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유록스가 추구하는 브랜드 철
조회수 206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장마철 타이어 교체 수요 증가…티스테이션닷컴, 온라인 구매 편의성 강화
장마철을 맞아 타이어 교체를 고려하는 운전자들이 늘어나면서, 타이어 제품부터 교체 일정, 장착점 선택까지 운전자가 직접 결정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조회수 171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이베코, 창립 50주년 기념행사 ‘50xBeyond’ 개최
이베코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50xBeyond’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브랜드의 유산을 기념하고, 전기
조회수 178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스텔란티스 회장 “유럽, 일본 경차처럼 저렴한 ‘E카’ 필요”
스텔란티스의 존 엘칸(John Elkann) 회장은 6월 12일, 유럽연합(EU)이 일본의 경차(Kei Car)와 유사한 소형·저가 차량을 수익성 있게 생산할
조회수 173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트럼프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미국 내 공장 유치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월 12일, 자국 내 자동차 제조업체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차 관세를 인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열린 행
조회수 170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BMW, 전 세계 공장에 ‘버추얼 팩토리’ 본격 적용
BMW 그룹이 ‘버추얼 팩토리(Virtual Factory)’ 이니셔티브를 본격 확대하고 있다. 전 세계 30개 이상의 생산 시설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조회수 166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 미일 무역 협상 지원 위해 미국산 차량 일본 판매 검토
토요타자동차가 미일 간 무역 협상 국면에서 일본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일본 국내 판매망을 통해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
조회수 157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최신 시승기

[시승기]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2009년 '300SL'의 전통을 이어 혁신적인 걸윙도어를 접목한 'SLS AMG'를 선보인 메르세데스-AMG는 2014년 2인승 쿠
조회수 2,707 2025.06.02.
오토헤럴드
[시승기] 실용과 공간 활용의 절묘한 조합, 폭스바겐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5m가 넘는 긴 차체는 의외로 비례감을 잘 유지한 외관 디자인과 곳곳의 디테일로 인해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첫인상을 전달한다. 크기와
조회수 3,062 2025.05.30.
오토헤럴드
[시승기] 소리는 아쉽지만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와인딩 코스 업힐과 다운힐에서 민첩한 스티어링 휠 반응은 마세라티 특유의 달리는 맛을 여전히 유지한 모습이다. 특히 순간 가속력 만큼
조회수 2,131 2025.05.29.
오토헤럴드
[시승기] 랜드로버 디펜더 옥타...세상 어디든, 버튼을 누르는 순간 돌변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랜드로버 디펜더 'OCTA(옥타)는 디펜더의 전통적인 실루엣을 유지하면서도 옥타만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내외관 디테일을 비롯해 무엇보다
조회수 3,157 2025.05.26.
오토헤럴드
[영상] 전기차 느낌 물씬,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의 매력
전기차냐, 하이브리드냐를 두고 고민할 필요가 없다. 일상에서 전기차처럼 조용하고 부드럽게 달리면서도, 내연기관차의 익숙함과 연비 효율을 놓치지 않은 하이브리드
조회수 3,984 2025.05.21.
글로벌오토뉴스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애스턴마틴, 하이퍼카
애스턴마틴이 오는 주말 개최되는 제93회 르망 24시간 내구 레이스에서 하이퍼카 ‘발키리(Valkyrie)’를 앞세워 최고 클래스 경쟁에 복귀한다. 이는 195
조회수 195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WRC 이탈리아 사르데냐 랠리에 레이싱 타이어 공급
한국앤컴퍼니그룹 산하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레이싱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는 ‘2025 FIA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 제6
조회수 356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르망 24시 40주년…토요타 가주 레이싱, 여섯 번째 우승 도전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이 오는 6월 14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제93회 르망 24시 레이스에 출전해 여섯 번째 우승에 도전한
조회수 368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세바스티앵 오지에, 사르데냐 랠리 우승…토요타 시즌 6연승 달성
세바스티앵 오지에와 토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팀(TGR-WRT)이 2025 WRC 이탈리아 라운드인 랠리 이탈리아 사르데냐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우승으
조회수 350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2025 오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이 여름 시즌의 본격 개막을 알린다. 오는 6월 14일, 강원도 인제 스피디움에서 열리는 시즌 3라운
조회수 1,666 2025.06.05.
오토헤럴드

전기차 소식

로터스, 축구 국가대표 설영우 선수에 전기 하이퍼 SUV ‘엘레트라’ 후원
로터스자동차코리아는 자사의 전기 하이퍼 SUV ‘엘레트라(Eletre)’를 축구 국가대표 수비수 설영우 선수에게 후원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후원은 로터스
조회수 176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5월 세계 전기차 판매 24% 증가…중국 호조·북미 부진
시장조사업체 로우 모션(Low Motion)에 따르면, 2025년 5월 세계 배터리 전기차(B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판매 대수는 전년 동
조회수 148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포르쉐 · 리막보다 빨라...샤오미 SU7 울트라, 뉘르부르크링 랩타임 신기록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지난해 10월 'SU7 울트라(SU7 Ultra)' 프로토타입으로 독일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 20.8km 구간에서 6분 46초
조회수 800 2025.06.13.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유럽 시장 판매를 확대하고 있는 중국 최대 친환경차 업체 BYD가 현지에 초고속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5분 충전으로 최대 400
조회수 783 2025.06.13.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공도에서 발견된 폭스바겐의 엔트리급 전기차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2023년 3월, 폭스바겐이 2만 5000유로 한화로 약 3000만 원대 순수전기차 'ID.2' 출시 계획을 밝힌 가운데 최근 독일
조회수 458 2025.06.13.
오토헤럴드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전기차에서 하이브리드까지, 제네시스가 노선을 바꾼 이유는?
"10년 내 전기차 100% 전환"이라는 야심 찬 약속은 더 이상 제네시스의 전략 중심이 아니다. 대신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그리고 확장형 전기차(E
조회수 621 2025.06.12.
글로벌오토뉴스
공급망은 천천히 무너지고, 순식간에 붕괴된다
공급망 위기는 언제나 ‘서서히, 그리고 한순간에’ 터진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공장은 점차 멈췄고, 몇 달이 지나 재고 부족이 전방위적으로 터지면서 자동차
조회수 878 2025.06.11.
글로벌오토뉴스
348. 인도는 제2의 중국이 될 수 있을까?
뉴스는 첨단으로 가는데 현실은 후퇴하고 있는 예가 많다. 미국의 상황도 그렇다. 이렇게 망가질지 몰랐다.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의 <힘의 이동>이라는
조회수 1,037 2025.06.11.
글로벌오토뉴스
347. SDV와 인공지능보다 희토류가 우선이다
자동차산업이 간단치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전기차로 바뀌면서 배터리가 중심인 줄 알았는데 지금은 디지털화가 화두다. 커넥티비티를 비롯해 운영체제,
조회수 515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트럼프와 머스크의 동맹 붕괴, 테슬라는 어디로 가는가
동맹 붕괴, 주가 폭락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했을 때만 해도 테슬라 주주들은 낙관적이었다. 테슬라의 주가는 몇 년 만에 최고치를 기
조회수 523 2025.06.09.
글로벌오토뉴스

테크/팁 소식

“중국 스마트 자동차, 해외 시장 잠재력 커… 현지화가 성공 열쇠
독립적인 테스트 및 검사 기관인 독일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의 마티아스 슈베르트 모빌리티 담당 부사장이 중국산 스마트카가 해외 시장에서 큰
조회수 431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NXP–리막 테크놀로지, SDV용 중앙 집중식 차량 아키텍처 공동 개발
NXP 반도체는 고성능 제어 시스템 전문 자동차 공급업체 리막 테크놀로지(Rimac Technology)와 협력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oftware-Def
조회수 158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합작사 모셔널, 로라 메이저 CEO 공식 선임
현대자동차그룹은 13일(현지시간), 자율주행 전문 합작법인 모셔널(Motional)의 신임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로 로라 메이저(Laura Major)를
조회수 174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하만, 타타 해리어 EV에 삼성 Neo QLED 차량용 디스플레이 첫 적용
하만(Harman)은 인도 타타 모터스의 전기 SUV ‘해리어 EV(Harrier.ev)’에 삼성의 Neo QLED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최초로 선
조회수 132 2025.06.13.
글로벌오토뉴스
포드 브롱코, IIHS 최고 등급 탈락…소형차에도 밀렸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2025년형 차량 대상 충돌 안전성 평가에서 포드의 인기 SUV 모델인 브롱코(Bronco)와 브롱코 스포츠(Bro
조회수 521 2025.06.12.
글로벌오토뉴스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