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오프로더 옵션. KG모빌리티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2,422 등록일 2023.06.05.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KG모빌리티라는 사명으로 출시된 모델 중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을 시승했다. 앞 얼굴을 대대적으로 성형했다. 오프로더로써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장비를 옵션으로 설정했다. 인테리어에서는 대시보드의 레이아웃을 바꿨다. 센터패시아의 디스플레이창을 독립적으로 설계해 디지털 감각을 살린 것이 포인트다. 부분변경 모델이지만 큰 폭의 변화를 추구했다. KG모빌리티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 노블레스의 시승 느낌을 적는다.


글 / 채영석 (글로벌오토뉴스 국장)


KG모빌리티라는 이름이 쌍용을 대신하게 됐다. 우여곡절이 계속되고 있다. 어쨌거나 알 수 있는 것은 규모의 경제의 지배를 받는 자동차산업에서 2016년 15만 5,844대를 판매한 쌍용자동차는 사실상 수익성을 낼 수가 없는 구조였다. 그것을 살려 보겠다고 외부의 자본을 끌어들였지만 사회주의 국가 중국 상하이자동차는 자본주의 국가의 노조체제를 이해하지 못해 손을 뗐고 인도의 마힌드라 역시 문화적인 차이와 자동차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헤어졌다.

그런 과정을 거쳐 다시 KG모빌리티가 인수하게 됐고 먼저 뛰어들었다가 물러난 에디슨모터스와의 자본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쌍용자동차가 버틸 수 있었던 것은 메르세데스 벤츠의 엔진을 유용하는 등 파워트레인의 개발비를 절감하는 형태로 비용저감을 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마저도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했다.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없었고 그렇다고 가격을 인하할 수도 없었다. 그런 속에서도 유럽에서는 쌍용이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제법 강한 존재감을 구축했다는 것이 신기한 상황이다.

그냥 피상적으로 살펴보면 쌍용자동차는 상하이 자동차와 마힌드라가 경영에 참여했을 때보다는 그사이 법정관리 상태에서 오히려 실적이 좋았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있다. 어떤 형태라 해도 결국은 개발과 생산 단가의 절감을 달성하지 못하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수익성을 낼 수 없는 구조인 것은 분명하다.

지금 세계적으로 지금의 KG모빌리티처럼 소규모의 자동차회사가 자체적인 힘으로 수익을 내는 경우는 없다. 그래서 베트남의 빈 패스트와 최근 국내에 소개된 영국의 오프로더 브랜드 이네오스 등에 대해서도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이 존재하는 것이다.



어쨌거나 지금은 KG모빌리티가 이런 어려운 상황을 어떤 방식으로 타개하고 자립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장에는 2023년 1분기에 25년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를 달성했다.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이 동시에 흑자로 돌아서며 긍정적인 출발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명을 KG모빌리티라고 명명한 것과는 달리 첫 번째로 개최한 이벤트는 튜닝 페스티벌이었다. 그리고 커스터마이징, 특수차량, 엔지니어링 등을 담당하는 특수 목적 법인 KG S&C를 설립했다. 두 가지 모두 전통적인 자동차산업에서 라인업 다양화가 어려운 브랜드가 고객의 니즈에 맞는 드레스업이나 파워업 튜닝에 관련된 것들이다. 이런 초기 이벤트로 일단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끄는 데는 효과를 보고 있다.

그렇다면 다음 행보는 차명에 걸맞은 디지털 시대의 이동성을 제시할 수 있는 그 무엇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페이스부터 커넥티비티, 구독서비스 등 다양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KG모빌리티만의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생산 기술의 개발로 비용 저감을 할 방안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대응을 마련해야 한다.

어쨌든 KG모빌리티는 렉스턴 스포츠와 스포츠칸, 스포츠 쿨멘, 스포츠칸 쿨멘 등으로 세분화 전략을 통해 포트폴리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고 있다.




역시 자동차는 앞 얼굴을 바꾸면 이미지가 크게 달라진다. 8각형 프레임으로 아우디의 싱글 프레임을 연상시킨다. KHAN이라는 로고는 그대로다. 브랜드 엠블럼을 같이 삽입해 상대적으로 정리된 맛이 덜하기는 하다. 그런데도 신선함을 살리는 데는 일조하고 있다. 거기에 헤드램프 하우스를 좀 더 직선적으로 바꿨다. 위아래로 C자 형태였던 안개등을 가로 일자형으로 바꿨다. 범퍼의 그래픽도 도톰한 형태에서 플랫하게 변화를 주었다.

2022년형에서도 그랬듯이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의 선 처리로 터프함을 살리려 하고 있다. 오프로더로써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특면에서는 20인치 휠에 장착된 올터레인 타이어가 눈길을 끈다. 뒤쪽에서는 KG모빌리티라는 새로운 브랜드명이 도드라진다. 뒤쪽 적재칸으로의 탑승을 위해 별도의 풋스탭을 만든 것도 보인다.



기본적으로 렉스턴 스포츠가 있고 그 적재 용량을 더 늘린 스포츠칸이 있다. 오프로더로써의 이미지를 강조한 쿨멘이 추가됐다. 그런데도 이 차가 추구하는 바는 전용 화물 트럭은 아니라는 얘기이다. 이 시대에는 픽업트럭도 큰 범주에서 SUV 로 분류되고 있다. .

시승차에는 오프로드 주행을 위한 어드밴처 패키지가 채용되어 있다. 데크에 커스터마이징으로 하드쉘 루프탑 텐트와 벙커롤 바가 장착되어 있다.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인테리어에는 변화의 폭이 크다. 더 간결한 터치로 바뀐 것이 포인트다. 대시보드의 레이아웃을 약간 바꿨다. 센터패시아의 12.3인치 디스플레이창이 독립적으로 설계됐다. 그 좌우에 있던 에어벤트는 그 아래 좌우로 길게 배치됐다. 훨씬 디지털 감각이 살아난다. 그 아래 에어컨 컨트럴 패널도 각도에 변화를 주었다.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바뀌었다. 쌍용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인포콘도 적용됐다. eSIM 카드가 탑재됐다는 것이다. 디지털 키는 물론이고 음성인식 카투 홈 서비스도 가능하다. 와이파이 풀 미러링은 물론이고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 등에도 대응해 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나파 가죽 시트와 1열과 2열 모두 열선시트 적용, 운전석 및 동승석에 통풍 시트의 채용 등은 한국의 소비자들에게는 어필할 수 있는 기능이다.




엔진은 2,157cc 직렬 4기통 터보 디젤로 최고 출력 202마력, 최대토크 45.0kgm를 발휘한다. 것과 같다. 연비 성능이 향상됐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었다.

변속기는 아이신제 6단 AT 그대로다. 아이들링 스톱&고가 있다. 구동 방식은 뒷바퀴 굴림 방식을 기본으로 네 바퀴 굴림 방식 두 가지. 시승차는 4WD. 2H/4H/4L 트랜스퍼 다이얼이 있다.

우선은 기어비 점검 순서. 100km/h에서의 엔진회전은 1,500rpm을 약간 웃돈다. 레드존은 4,500rpm부터로 같다.



정지 상태에서 풀 가속을 하면 4,200rpm 부근에서 시프트 업이 이루어진다. 40km/h에서 2단, 70km/h에서 3단, 100km/h에서 4단으로 변속이 진행된다. 발진 감각은 부드럽다. 차체 크기를 감안하면 의외로 매끄럽다. 물론 처음부터 이 차를 세단이나 크로스오버와는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는 차체 크기에 비해 공차중량이 2,065kg으로 생각보다는 가볍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 적재 용량 500kg을 모두 탑재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냥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토크 감의 부족을 느낄 수 없다. 뒤쪽 데크에 짐을 실었을 경우는 다를 수 있다. 500kg을 모두 탑재했을 경우 출력 대비 중량아 13.2kg/PS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서스펜션은 앞 더블 위시본, 뒤 5링크. 리프 스프링 버전도 있다. 댐핑 스트로크는 길게 느껴진다. 하지만 흔히 정통 오프로더의 말랑한 승차감은 아니다. 크로스오버만큼은 아니지만 감쇠력 제어도 나쁘지는 않다. 시승이기는 하지만 과격하게 다루지 않은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도 트럭 느낌의 주행성과는 뚜렷이 구분된다는 점이 장점이다. 올터레인 타이어를 장착했지만,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는 특별히 불편하지 않다.



록 투 록 3.1회전의 스티어링 휠을 중심으로 한 핸들링 특성은 언더 스티어. 네바퀴 굴림방식의 전형적인 거동이기는 하지만 원심력은 뚜렷하다. 기존 유압식에서 R-EPS 방식으로 바뀐 것으로 인한 거동의 변화가 있다. 코너링에서의 거동도 이런 장르의 차로서는 충분하다. 뒤쪽에 더 길어진 데크가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고 달려도 안정성이 심하게 나빠지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데크에 짐을 실었을 때는 다를 것이다.

안전장비도 크루즈 컨트롤을 비롯해 긴급 제동 보조, 전방 추돌 경보, 차선 이탈 경보, 사각지대 감지, 차선 변경 경보, 후측방 경보, 앞차 출발 알림 시스템 등에 더해 2022년형에서 후측방 접근 충돌보조, 안전거리 경고, 부주의 운전경고, 안전 하차 경고 기능 등이 추가됐었다.

ACC을 ON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면 약 20초 후에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가 뜨고 경고음이 울린다. 다시 약 20초 후에는 기능이 해제된다. 다시 스티어링 휠을 잡아도 활성화되지 않는다.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



2002년 무쏘 스포츠를 출시한 지 21년째 새로운 브랜드에서도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의 생명력은 견고하다. 20년 동안 누계 35만 대 판매를 돌파한 유일한 한국산 픽업트럭인 렉스턴 스포츠 칸은 오프로더들을 위한 SUV로써의 성격을 강조하며 새로운 길을 나섰다. 브랜드가 바뀐 상황에서 시장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다. 일단 결정을 했으면 그에 걸맞은 소통을 해야 한다.


주요제원 렉스턴 스포츠 칸 쿨멘


크기
전장×전폭×전고 : 5,405×1,950×1,885mm
휠 베이스 3,210mm
트레드 : 1,640 / 1,640
공차중량 : 2,175kg (5링크, 4륜구동)
연료탱크 용량 : 75리터
트렁크 용량 : 1,262리터

엔진
형식 : 2,157cc e-XDi220 LET 디젤
보어 x 스트로크 : -- mm
압축비 : --
최고출력 : 202ps/3,800rpm,
최대토크 45.0kgm/1,600~2,600rpm

트랜스미션
형식 : 토크컨버터 6단 자동
기어비 : ---
최종감속비 : ---

섀시
서스펜션 : 앞/뒤 더블 위시본/5링크
브레이크 : V. 디스크/디스크
스티어링 : 랙&피니언
타이어 : 255/50 R20
구동방식 : RWD/4WD

성능
0-100km/h : ---
최고속도 : ---
연비: 9.7km/L(도심 8.9/고속 10.8)
CO2 배출량 : 191g/km


시판 가격
스포츠칸 쿨맨
프레스티지 : 3,709만원
노블레스 : 4,046만원

(작성 일자 2023년 5월 29일)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핫클릭

[시승기] 아이오닉 5 N...고성능 내연기관차, 뺨을 때려 버리는 운전의 재미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태안] '런치 컨트롤' 왼발과 오른발로 브레이크와 악셀을 100% 압박했다. "자 이제 악셀을 빠르게 놔 주세요". 액셀레이터에서 발을
조회수 1,389 2023.09.22.
오토헤럴드
KG 모빌리티, 내년 6월 쿠페형 신차 선 보일 것...하이브리드 버전 기대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오늘 발표를 하지 않았는데 새로운 차종이 내년 6월, SUV가 아닌 쿠페형 신차가 선을 보일 예정이다. 그때 나오면 아마 또 멋있는
조회수 1,342 2023.09.22.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현대차 캐스퍼 EV 올 연말 공개
[오토헤럴드=김훈기 기자] 기아가 최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레이 EV'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 가운데 현대차 엔트리급 소형 SUV '캐스퍼
조회수 1,150 2023.09.22.
오토헤럴드
[시승기] 토요타 알파드, 미니밴으로 만나는 매우 특별한 쇼퍼드리븐
[원주=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보통 자동차 업계에서 '쇼퍼드리븐(Chauffeur-driven)'은 브랜드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세단에 주로 사용되는 단어였다.
조회수 1,443 2023.09.22.
오토헤럴드
양왕 1200마력의 U8 프리미엄 에디션 출시, PHEV 탑재하고 최대 1000Km 주행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BYD가 하이엔드 서브 브랜드 ‘양왕(Yangwang)’ U8 프리미엄 에디션을 22일 공식 출시했다. 양왕 U8 프리미엄 에디션 가
조회수 1,121 2023.09.22.
오토헤럴드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오토헤럴드=김필수 교수] 법인차 규제가 시작된다. 법인차가 무분별하게 세제 혜택을 크게 받으면서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컸던 국민적 관심을 연두색 번호판으로 규
조회수 591 2023.09.25.
오토헤럴드
한자연, 자율주행 주제 제1회 자산어보 행사 개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모빌리티 산업 구성원 간 정기 교류의 장 개최를 통해 산업 상생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한자연은 2023년 9월 21일, 서울시 강남구에 위
조회수 1,057 2023.09.22.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 출범 8주년 N 성능 체험 ‘2023 N 버스데이’ 개최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현대차가 10월 6일 스타필드 하남 야외 주차장에서 고성능 브랜드 N의 출범 8주년을 기념하는 행사 ‘2023 N 버스데이’를 개최한
조회수 451 2023.09.21.
오토헤럴드
혼다코리아, ‘올 뉴 CR-V 하이브리드’ 국내 공식 출시
혼다코리아(대표이사 이지홍)가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드라이빙 다이내믹을 극대화한 6세대 ‘올 뉴 CR-V하이브리드(All-New CR-V Hybrid)’를
조회수 1,087 2023.09.21.
글로벌오토뉴스
벤틀리, 최상의 웰빙과 우아함 플라잉스퍼 ‘아주르’ㆍ 반전 매력의 고성능 ‘S’ 출시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벤틀리모터스가 ‘플라잉스퍼 아주르’, ‘플라잉스퍼 S’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하고, 럭셔리 그랜드 투어링 플래그십 세단 라인업을 본
조회수 1,034 2023.09.21.
오토헤럴드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Q&A] 도마고 듀케 BMW그룹 디자이너 인터뷰
BMW가 IAA 모빌리티 2023을 통해 비전 노이에 클라쎄(Vision Neue Klasse)을 공개했다.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배터리 전기차의
조회수 655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기아 EV6 GT·제네시스 GV60, 獨 유력 전문지 비교 평가서 압도적 1·2위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기아 EV6 GT, 제네시스 GV60이 독일의 유력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 모토 운트 슈포트(Auto Motor und Sport)가
조회수 483 2023.09.25.
오토헤럴드
미국 자동차회사의 파업 지속
미국 자동차회사들의 파업이 계속되고 있다. GM은 2023년 9월 20일, 미국 캔자스 주에 있는 차량 조립 공장 생산을 일시 중지했다고 발표했다. 전미자동차노
조회수 207 2023.09.22.
글로벌오토뉴스
영국,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2035년으로 연기
영국 정부가 결국 2030년부터 판매 금지하기로 했던 기존 결정을 2035년까지 연기하기로 번복했다. 리시 수낙 영국 총리는 최근 이와 같은 정보가 미디어에 등
조회수 208 2023.09.22.
글로벌오토뉴스
좀 모자라도 국산차 타! 러시아, 정부 및 국영 기업 수입차 금지 황당 조치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러시아가 정부 및 국영 기업에 수입차 금지령을 내릴 전망이다. 현지 언론들은 러 정부가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정부
조회수 729 2023.09.20.
오토헤럴드

최신 시승기

[시승기] 테슬라 모델 X 플래드
[오토헤럴드=김훈기 기자] 2017년 테슬라가 한국 시장에 첫 진출한 이후 모델 S를 시작으로 모델 X, 모델 3, 모델 Y 등으로 라인업을 꾸준히 확장 중인
조회수 567 2023.09.21.
오토헤럴드
인상적인 첫 단추, 렉서스 RZ 450e 시승기
렉서스 최초의 BEV 전용 모델로 등장한 RZ는 전기차로서의 성능 뿐만 아니라 렉서스 특유의 주행감각이 녹아든 차량이다. 2035년의 100% 전기화를 위한 첫
조회수 432 2023.09.18.
글로벌오토뉴스
[시승기] 볼보 C40 리차지, 교차로 진입했는데 황색등 들어오면?...이런 고민하지 마
[고성=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중 누구보다 빠르게 전동화 전환을 추진 중인 볼보자동차가 오는 11월 엔트리급 순수전기차 'EX30' 국내
조회수 981 2023.09.15.
오토헤럴드

광란의 질주, 모터스포츠

슈퍼 6000 클래스 6라운드 이찬준 우승, 시즌 3승 챙기며 전남GT 대미 장식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챔피언의 향방을 가를 슈퍼 6000 클래스 6라운드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 3승째를 챙긴 이찬준(21, 엑스타 레이싱)이 최연소 챔
조회수 393 2023.09.25.
오토헤럴드
람보르기니, 원메이크 레이스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 시리즈 5라운드 성료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가 주관하는 원메이크 레이스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 시리즈 제5라운드가 지난 9월 8일부터 10일 중국 상하이 인터
조회수 386 2023.09.21.
오토헤럴드
한국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한국 24시 바르셀로나’ GT4 클래스 정상 등극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이수일, 이하 한국타이어)가 후원하는 ‘한국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레이싱팀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현지시간) 스페인 바
조회수 648 2023.09.18.
글로벌오토뉴스
마세라티, 1953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우승 후 70년 모터스포츠 미래 준비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1953년 9월 13일,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후안 마누엘 판지오(Juan Manuel Fangio)는 마세라티 A6GCM을 몰고 몬
조회수 577 2023.09.14.
오토헤럴드
전남GT 개최, 최상위 클래스 슈퍼 6000 6라운드 무료 관람 및  다양한 볼거리로 구성
[오토헤럴드=정호인 기자] 국내 모터스포츠 축제 ‘2023 전남GT(Grand Touring)’가 1년 만에 돌아온다. 전남GT가 오는 23일과 24일 전라남도
조회수 1,047 2023.09.13.
오토헤럴드

전기차 소식

쎄보모빌리티, 2024년까지 UAE에 전기차 KD 공장 건설
전기차 전문기업 쎄보모빌리티(대표이사 박영태)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2024년까지 전기차 KD 공장을 건설한다고 25일 밝혔다. 쎄보모빌리티는 지난
조회수 23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컨슈머인사이트] 레이 EV, 구입의향 상승세…‘토레스 EVX’ 앞질러
○ 기아의 경형 전기차 ‘레이 EV’ 구입의향이 출시 직전 상승세를 보이면서 앞서 가던 KG모빌리티의 ‘토레스 EVX’를 추월했다. 차급은 다르지만 같은 LFP
조회수 702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휴맥스이브이, 정부청사관리본부와 업무협약 체결
휴맥스모빌리티의 전기차 충전 솔루션 자회사 휴맥스이브이는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와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조회수 616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쿨사인-에디슨파워, EV충전 사업 협력 MOU 체결
쿨사인과 에디슨파워는 전기차 충전 사업 관련 제품, 기술 및 영업에 대한 포괄적인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쿨사인과 에디슨파워는
조회수 55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EV 트렌드] 도요타, 전기차 생산 가속
[오토헤럴드=김훈기 기자]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렉서스 브랜드 전동화 전환을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현지 언론들은 도요타가 전기차 생산을 올해 15만
조회수 610 2023.09.25.
오토헤럴드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276. 테슬라, 토요타, 현대차의 생산 기술 혁신 누가 먼저 완성할까?
본격적으로 자동차 생산방식의 변화가 시작됐다. 20세기 초 포드의 대량 생산방식 도입과 20세기 말 토요타 생산방식에 이어 세 번째다. 지금은 독일의 인더스트리
조회수 48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에서 전원을 활용하는 V to L 기능, 단점을 최소화하라.
전기차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다. 최근 전기차의 판매가 주춤한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그리 큰 문제는 아니라 판단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글로벌
조회수 90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포르쉐 월드 로드쇼, 그리고 아이오닉 5N의 공통점은?
지난 두 주 사이에 수많은 자동차 관련 행사가 있었다. 그 가운데에서 인상적인 시사점을 공유하고 있는 행사가 있었다. 그것은 포르쉐의 전 세계 순회 서킷 시승
조회수 101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LK-99가 초전도체 개발의 동기부여가 되고 있는 이유만으로도 대단하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최근 약 두 달간 가장 국내에서 이슈가 되고 있었던 부분은 아마도 세계 잼버리대회와 LK-99라는 상온
조회수 828 2023.09.19.
글로벌오토뉴스
275. 배터리 전쟁 2라운드, 2030년 전후로 전기차 수요 폭발적 증가?
지금 전 세계 배터리 생산 용량은 수요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그래서 생산과잉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지만 투자는 더 증가하고 있다. 보조금 정책의 변화로 전기차
조회수 235 2023.09.18.
글로벌오토뉴스

테크/팁 소식

내연기관과 전기차가 조금 다른
[오토헤럴드=김아롱 칼럼니스트] 영화 속 고성능 스포츠카를 탄 주인공이 악당들 추격을 피해 달아나기 위해 혹은 납치당한 친구나 연인을 구하기 위해 휠스핀을 일으
조회수 427 2023.09.25.
오토헤럴드
중국 베이징에서 세계 지능형 커넥티드카 컨퍼런스 열려
2023년 세계 지능형 커넥티드카 컨퍼런스가 2023년 9월 20일부터 24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베이징 시장은 축사를 통해 지능형 커넥티드카는 글로
조회수 42 2023.09.25.
글로벌오토뉴스
셰플러, VDL 그룹과 “자율주행 레벨4 전기 셔틀” 개발 협력 가속도
글로벌 자동차 및 산업기계용 정밀 부품과 시스템 공급업체인 셰플러 그룹이 네덜란드 기업 브이디엘그룹(VDL그룹)과 파트너십을 맺고 차세대 자율주행 전기 셔틀의
조회수 123 2023.09.22.
글로벌오토뉴스
온세미, 하이퍼룩스 이미지센서 엔비디아 자율주행차 성능 개선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나스닥: ON)는 자율주행 차량의 시야를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개선하는 하이퍼룩스(Hyperlux™) 이미지 센서
조회수 733 2023.09.21.
글로벌오토뉴스
[아롱 테크] M/T 연비 좋은 건 옛말, A/T 다단화와 첨단 기술로 극복
[오토헤럴드=김아롱 칼럼니스트] 자동차 변속기(트랜스미션)는 엔진의 출력과 회전수(토크)를 구동바퀴에 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조회수 955 2023.09.21.
오토헤럴드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