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롱테크] 평균 길이 4000m, 자꾸 늘어나는 자동차 전기 배선...해결책은?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사물인터넷(IoT)이 자동차 기술과 융합되면서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 스마트기기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텔레매틱스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과 GPS 및 각종 센서기술을 활용한 충돌방지 및 지능형 자동주행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상과 연결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로까지 연결성이 확장되고 있지요. 이처럼 최근 자동차시스템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한 차량 안에 탑재된 다양한 전자부품과 제어시스템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탑재됩니다.
이를 통해 엔진과 트랜스미션, 브레이크, 인포테인먼트, 안전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통신을 주고 받으며 동작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의 길이를 모두 합치면 무려 4000m를 훌쩍 뛰어 넘게 됩니다.
문제는 자동차에 탑재된 다양한 파워트레인 및 전장시스템들을 이처럼 직접 전기배선으로 연결하게 되면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지고 배선증가로 인해 차량무게가 증가하거나, 통신오류가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최근 자동차는 각각의 시스템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서로 통신을 주고받는 통신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통신 네트워크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유지보조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텔레매틱스 등과 같이 최신 자동차의 고급 기능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전장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동기화 및 조정이 가능해 짐에 따라 차량의 성능과 안전, 사용자 경험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현재 자동차용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FlexRay, AUTOSAR, Ethernet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자동차 정비업소에서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때 사용되고 있는 고장진단기(스캐너)나 파형진단기는 CAN과 LIN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지요.
CAN은 하이(High)와 로우(Low) 등 두 개의 배선이 필요하고 통신속도도 낮기 때문에 주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전장시스템과 같은 전기-기계시스템에 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자동차를 타고 가면서 라디오나 음악을 듣거나 DMB를 시청하는 등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이용한 인포테인먼트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멀티태스킹은 물론 고해상도의 동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위한 고속 통신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오토사(AUTOSAR), 플렉스레이(FlexLay)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용 통신시스템은 하나의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케이블 등을 이용해 고속(실시간)으로 음성이나 영상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150Mbps의 고속통신이 가능한 표준형 TCP/IP와 같은 이더넷(Ethernet, 무선통신네트워크)을 지원해 MPEG와 같은 비압축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중심차량(SDV) 등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CAN 통신 프로토콜의 단점을 보완한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Flexible Data Rate)를 적용한 차량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국산 전기차와 일부 중대형 승용차에도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자동차에 적용된 각종 시스템이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각각의 시스템 ECU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기존 통신 네트워크보다 더 빠르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함에 따라 기존 CAN으로는 데이터 전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자동차의 각종 시스템 ECU가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더넷과 같은 새로운 고속 통신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지만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도 있습니다. CAN FD는 기존 CAN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CAN FD는 기존 CAN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CAN의 경우 1초당 500키로바이트(500kbps), 최대 1메가바이트(1Mbps)의 속도로 한 번에 약 8바이트(8byte)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반면, CAN FD는 1초에 2Mbps, 최대 8Mbps의 속도로 최대 64바이트까지 전송이 가능해 기존 CAN보다 8배 이상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확장된 데이터 전송량은 센서측정, 비디오 스트림 또는 진단정보와 같은 더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유리합니다. 또한 CAN FD는 향상된 오류감지 메커니즘을 갖춰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 간섭이 있는 경우에도 강력한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비트 전송률을 자동으로 전환해 주지요.
이러한 CAN FD는 차량의 다양한 제어장치 간에 더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해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향상은 물론 파워트레인 제어 및 전기차의 배터리관리, 자율주행 기능을 지원해 줍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기존 CAN의 경우 5V 전원을 사용하지만 CAN FD의 경우 1V 미만의 mV 단위로 동작하므로 정밀하면서도 빠른 제어가 가능하지만,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전원장치나 전자파 등에도 매우 민감해 전원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김아롱 칼럼니스트/webmas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핫클릭 | ||
---|---|---|
![]() |
현대자동차가 상품성을 대폭 개선한 ‘2024 팰리세이드’를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고 2일 밝혔다.2024 팰리세이드는 높은 상품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
조회수 1,478
2023.06.02.
|
오토헤럴드 |
![]() |
궁금하다. 누가 옮을까? 한 마디로 답할 수 없다. 기존 레거시 자동차회사 중 토요타와 BMW는 전동화 전략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다른 관점에서 지금의 자
조회수 1,137
2023.06.02.
|
글로벌오토뉴스 |
![]() |
볼보자동차가 애플 카플레이 사용자들에게 더욱 향상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애플 카플레이로 이용하
조회수 1,127
2023.06.02.
|
오토헤럴드 |
![]() |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총 68만 2274대 차량을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5.4% 증가를 기록한 가운데 국내 친환경차 시장 역시 지난해
조회수 1,189
2023.06.02.
|
오토헤럴드 |
![]() |
국내 5개 자동차 제조업체의 6월 자동차 판매조건이 발표되었다. 업체들은 6월에도 가정의 달 프로모션을 이어가며 다양한 할인 이벤트와 함께 기본 할인 및 저금리
조회수 7,799
2023.06.01.
|
다나와자동차 |
최신소식 모아보기 - 국내 | ||
![]() |
BMW 코리아(대표 한상윤)가 플래그십 세단 뉴 7시리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뉴 750e xDrive’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 BMW 뉴 7시리즈
조회수 143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토요타코리아는 6월 5일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토요타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모델 크라운(CROWN)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토요타 크라운은 지난 2월 ‘먼저
조회수 777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5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4월 2만910대보다 2.1% 증가, 2022년 5월 2만3512대보다 9.2% 감소한 2만13
조회수 540
2023.06.05.
|
오토헤럴드 |
![]() |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가 국내외 시장에서 총 68만 2274대 차량을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5.4% 증가를 기록했다. 국내 판매는 전년 대비 8.8%,
조회수 1,031
2023.06.02.
|
오토헤럴드 |
![]() |
현대자동차가 상품성을 대폭 개선한 ‘2024 팰리세이드’를 2일(금)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2024 팰리세이드는 높은 상품성과 가격 경쟁
조회수 549
2023.06.02.
|
글로벌오토뉴스 |
최신소식 모아보기 - 해외 | ||
![]() |
재규어 랜드로버는 하우스 오브 브랜드(House of Brand) 조직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기업 아이덴티티(CI, Corporate Identity) JLR을
조회수 86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현대자동차가 WRC 이탈리아 랠리에서 올해 첫 승을 신고했다. 현대자동차는 6월 1일(목)부터 4일(일, 현지 시각)까지 이탈리아 사르데냐 (Sardegna)에
조회수 76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미국이 기업 평균 연비(CAFE)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GM과 스텔란티스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했다. 트럼프 전 행정부가 사실상 중단했던 CAFE는 지난해 조 바
조회수 407
2023.06.05.
|
오토헤럴드 |
![]() |
세계 최초로 피칭과 롤링 제어 성능을 갖춘 유압 댐퍼를 결합한 6D 다이내믹스 에어 서스펜션으로 극한의 가속과 제동, 코너링 중에도 차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조회수 487
2023.06.01.
|
오토헤럴드 |
![]() |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모든 신차에 자동긴급제동장치(AEB) 의무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조회수 705
2023.06.01.
|
오토헤럴드 |
최신 시승기 | ||
![]() |
KG모빌리티라는 사명으로 출시된 모델 중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을 시승했다. 앞 얼굴을 대대적으로 성형했다. 오프로더로써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커스터마이
조회수 183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수 년전 이맘때 한계령은 오싹했던 기억이 있다. 함께 길을 나선 이들이 한계령을 타고 도착지 속초로 가자고 했을 때 머뭇머뭇한 것도 추위에 질색하는 체질 때문이
조회수 1,947
2023.05.26.
|
오토헤럴드 |
![]() |
오랫동안 F1의 세계에서 활약해 온 맥라렌. 그 기술을 바탕으로 로드카를 제작하는 맥라렌 오토모티브는 2010년에 창업한 비교적 젊은 브랜드이면서 꾸준히 성공을
조회수 1,130
2023.05.25.
|
글로벌오토뉴스 |
![]() |
시동을 걸고 가속 페달을 밟자 부드럽게 나아간다. 빠른 가속은 아니지만, 차량 성격을 감안할 때 이해 가능한 수준이다. 이러한 주행 성능은 중고속에서도 꾸준히
조회수 1,953
2023.05.25.
|
오토헤럴드 |
![]() |
날로 엄격해지는 환경 규제 영향으로 대배기량 슈퍼카가 하나둘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가운데 사실상 마지막 자연흡기 10기통 엔진의 람보르기니 '우라칸 STO'를
조회수 1,200
2023.05.23.
|
오토헤럴드 |
퓨어드라이브 | ||
![]() |
객관적이고 순수한 자동차 영상정보 - 퓨어 드라이브
조회수 21,917
2021.11.01.
|
다나와자동차 |
![]() |
객관적이고 순수한 자동차 영상정보 - 퓨어 드라이브
조회수 24,319
2021.10.13.
|
다나와자동차 |
![]() |
객관적이고 순수한 자동차 영상정보 - 퓨어 드라이브
조회수 17,892
2021.09.28.
|
다나와자동차 |
![]() |
객관적이고 순수한 자동차 영상정보 - 퓨어 드라이브
조회수 20,533
2021.09.07.
|
다나와자동차 |
![]() |
객관적이고 순수한 자동차 영상정보 - 퓨어 드라이브
조회수 20,932
2021.08.30.
|
다나와자동차 |
전기차 소식 | ||
![]() |
테슬라코리아가 6월 3일부터 6월 30일까지 주문 고객에 한하여 가격 할인, 향상된 오토파일럿 무료 이용을 제공하는 기간 한정 추천 프로그램을 출시한다고 발표했
조회수 146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보쉬가 2023년 6월 2일, 파워셀(PowerCell)에 연료전지 시탁 S3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워셀은 생산 능력을 크게 늘리고 연료 전지 시
조회수 103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미국의 5월 신차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가 업계 평균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세액 공제 혜택에서 제외되며 올들어 고전했던 전기차도 미국 진출
조회수 544
2023.06.05.
|
오토헤럴드 |
![]() |
지난 3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주행 중 스티어링 휠이 분리됐다는 2건의 차량 소유주 신고를 바탕으로 테슬라 '모델 Y' 결함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조회수 388
2023.06.05.
|
오토헤럴드 |
![]() |
지난달 중국 전기차 시장이 뚜렷한 수요 회복을 발판으로 대부분의 전기차 제조사가 전년 동월 대비 눈에 띄는 판매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시간으로
조회수 906
2023.06.02.
|
오토헤럴드 |
이런저런 생각, 자동차 칼럼 | ||
![]() |
*바이젠(Bygen)의 4륜 전기차용 7단 자동변속기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전기차는 이제 대세라 할 수 있다. 작년 글로벌 자
조회수 170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지난 2023 서울 모빌리티 쇼에 전시된 차량 중에는 진짜 차량이 아닌 클레이 모델이 한 대 있었다. 클레이 모델(clay model)은 문자 그대로 진흙으로
조회수 212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70년에 달하는 역사의 토요타 크라운이 국내 출시됐다. 그간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판매되었던 크라운이, 새로운 플랫폼과 새로운 4개 차종으로 거듭났다. 국내
조회수 523
2023.06.05.
|
글로벌오토뉴스 |
![]() |
세계 각국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후 변화에 특히 한국은 무감각하다. 폭염과 홍수, 가뭄으로 수많은 생명체가 사라지고 있는데도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하고 있다
조회수 1,088
2023.06.02.
|
글로벌오토뉴스 |
![]() |
현대자동차가 최근 공개한 포니 쿠페의 복원 차량은 1974년에 등장했던 포니 쿠페 콘셉트 카를 다시 만든 것이다. 현대자동차의 첫 고유모델 포니 승용차와 포니
조회수 370
2023.05.30.
|
글로벌오토뉴스 |
테크/팁 소식 | ||
![]() |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각종 소음 및 진동과 관련해 운전자들이 블만을 제기하거나 정비업소를 찾는 일이 잦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흔히 자동차의 성능을 이야기
조회수 432
2023.06.05.
|
오토헤럴드 |
![]() |
현대오토에버가 실내 주차장 지도 구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차량 내비게이션의 주차장 안내 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서비스의 운영에 필요한 실내 주차장 지
조회수 201
2023.06.02.
|
글로벌오토뉴스 |
![]() |
지난달 강릉 기온이 5월 관측사상 가장 높은 35.5도를 기록하는 등, 올 여름 '슈퍼 엘니뇨'로 인한 역대급 무더위와 폭우가 예상된다. 이상기온을 피해 일찌감
조회수 1,035
2023.06.02.
|
오토헤럴드 |
![]() |
지프가 미국 '자율주행 자동차의 날'에 첨단 오프로드 주행 기술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영상 일부를 공개했다. 스텔란티스 AI & 자율주행 책임자인 네다 시비에
조회수 456
2023.06.01.
|
오토헤럴드 |
![]() |
미국 고속도로안전국(NHTSA)이 신차안전도평가(the New Car Assessment Program, 이하 NCAP)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그중 차
조회수 474
2023.06.01.
|
오토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