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세로 떠오르는 CUV' 그 중심에는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글로벌 완성차 판매가 기존 세단 중심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빠르게 변화되는 가운데 뛰어난 상품 구성을 바탕으로 합리적 가격을 앞세운 크로스오버(CUV)의 신선한 등장으로 또 한번의 트렌드 변화가 시작됐다.
최근 엔트리급 세단의 자리는 소형 SUV보다 CUV로 대체되는 상황이다. 이미 소형 SUV의 인기에 밀려 세가 약해져 있던 엔트리급 세단 판매는 CUV라는 매력적 대체재가 등장하며 변화를 보이고 있다.
CUV는 크로스오버 유틸리티 비히클(Crossover Utility Vehicle)의 약자로 쉽게 말해 세그먼트의 선을 넘나드는 다양한 매력을 지녔다. 지난해 CUV 트렌드를 이끌며 국내외 시장에서 메가 히트를 기록한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살펴보면 이러한 특징이 더 잘 파악된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SUV 수준의 다목적성과 공간 활용성을 갖췄지만, 동시에 도심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를 통해 엄청난 성공을 거두는 중이다. 오프로드 퍼포먼스 대신 도심 주행에서의 성능 및 효율과 뛰어난 승차감 등 세단의 장점을 대거 흡수했다.
또 많은 소비자가 SUV의 넓은 실내 공간과 다목적성을 선호하지만, 아웃도어보다 도심 라이프스타일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은 CUV에게 더 이점으로 작용한다.
CUV는 마치 SUV의 특징을 흡수한 세단 혹은 세단의 편안함을 갖춘 SUV와 같이 황금비율로 두 세그먼트의 장점을 믹스해, 침체되고 있는 세단을 대체하는 차량으로 떠오르고 있다.
합리적 가격 역시 CUV의 주요 성공 요인 중 하나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2000만 원대 초반부터 시작하는 가격을 내세워 단숨에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경쟁사 경차부터 준중형 세단까지 가격대가 겹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왕이면 보다 공간이 넓고 활용도가 높은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구입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으로 느꼈을 것으로 분석된다.
차체 크기도 CUV 장점 중 하나이다.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경우 전장 4540mm, 전폭 1825mm, 전고 1560mm로 소형을 뛰어넘어 준중형 SUV와 견줄 만한 크기다. 또 2700mm의 넓은 휠베이스를 바탕으로 2열 레그룸까지 여유로울 정도로 넉넉한 실내 공간과 적재 공간까지 갖췄다.
여기에 '트레일블레이저'와 공유하는 1300kg의 고강성 경량 차체는 기대 이상의 뛰어난 주행퍼포먼스와 안전성을 갖췄다는 평가다.
중형차급 파워를 내는 터보 엔진도 매력으로 GM의 최신 E-Turbo Prime엔진이 탑재돼 최고 출력 139마력, 최대 토크 22.4kg.m를 발휘한다. 이는 실주행에서 2.0리터 자연흡기 엔진 못지 않은 동력성능을 만끽할 수 있다.
유려한 디자인과 최신 사양의 인테리어 역시 CUV 인기를 견인하는 주요 요소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세단의 슬릭한 스타일과 함께 SUV보다는 낮은 전고를 통해 낮고 넓은 공격적인 차체 스탠스를 취하며 시선을 끌었다.
기본 모델 외에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RS Plus와 ACTIV Plus 트림의 디자인을 달리한 것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도심 주행에서의 스포티함을 원하는 소비자에겐 RS Plus를, 아웃도어에서의 터프함을 즐기는 소비자에게는 ACTIV Plus라는 선택지를 제공하면서 하나의 차로 전혀 다른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유채색을 포함한 다양한 외장 컬러와 실내 구성 역시 호평받는 중이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총 7개의 외장 컬러 중 유채색 컬러가 무려 4개나 돼 톡톡 튀는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밖에 운전자 중심의 플로팅 타입 8인치 컬러 클러스터와 11인치 컬러 터치스크린이 연결된 듀얼 스크린으로 구성된 최신 인테리어 디자인 역시 세련미를 더하며 뛰어난 상품성을 구성한다.
한편 올해도 CUV의 강세는 계속될 조짐이다. 엔트리 세단의 훌륭한 대체재로서, 경차부터 중형 세단까지 다양한 세그먼트 범위의 소비자들을 흡수할 수 있는 매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여기에 걸출한 히트 모델인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등장은 CUV 세그먼트의 흥행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회사명
- 쉐보레
- 모기업
- General Motors
- 창립일
- 1955년
- 슬로건
- Find New Roads

![]() |
KG 모빌리티가 성장하는 하이브리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며 첫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선보였다. 이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토레스 하이브리드
조회수 2,849
2025.03.14.
|
글로벌오토뉴스 |
![]() |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르노코리아가 13일 용인시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구,르노코리아 중앙연구소)에서 지난해 영업 성과를 축하하고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르노
조회수 2,194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전쟁으로 발발로 자동차를 비롯한 산업계에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독일 BMW가
조회수 2,300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 등 현대차그룹에 속한 신차 12종이 미국에서 가장 안전한 차로 선정됐다. 완성차 그룹별로는 최다 차종이 가장
조회수 2,164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슈퍼레이스가 국내 최상위 클래스인 슈퍼 6000 클래스의 공식 명칭을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로 변경하며, 2025 시즌
조회수 2,500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기아는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의 리뉴얼을 완료하고 다양한 고객 참여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기아
조회수 2,236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2025년 첫 두 달 동안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모델 판매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수 2,494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르노코리아가 오는 15일부터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에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상시 시승 프로그램을
조회수 2,235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지난해 베이징 모터쇼를 통해 최초 공개된 BYD의 럭셔리 브랜드 양왕(YangWang)의 세 번째 플래그십 모델 'U7'이 오는 27
조회수 2,625
2025.03.14.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폭스바겐코리아가 8세대 '골프'의 부분변경모델 '신형 골프(The New Golf)'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조회수 3,526
2025.03.14.
|
오토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