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포드 뉴 익스플로러의 디자인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2,606 등록일 2024.12.02.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요즈음은 그야말로 대형 SUV가 물밀듯이 등장한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미국 본토에서 온 또 하나의 차량이 등장했습니다. 그것은 포드의 중형 SUV 익스플로러(Explorer)입니다. 물론 포드 익스플로러는 이번에 처음 들어온 것이 아니라 1996년에 2세대부터 들어왔고, 2019년부터 판매하던 6세대 모델에 이은 2025년형으로 새로이 변경 된 신형 모델이 나온 것입니다.



익스플로러는 1세대 모델이 1990년에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는데요, 포드가 만든 첫 4도어 SUV였습니다. 사실 미국은 SUV의 종주국 같은 느낌인데, 1990년에 첫 모델이 나왔다는 게 믿기지 않는 일면이 있긴 합니다.



물론 포드가 그때 SUV를 처음 만든 건 아니고요, 기존의 2도어 모델 브롱코(Bronco)를 대체하는 신형이면서 롱 바디 모델로 나왔었습니다. 익스플로러는 미국에서는 중형급 SUV에 속하는데요, 새 모델의 차체 길이는 5,050mm이고, 휠베이스는 3,025mm입니다. 차체 폭은 2,005mm, 높이는 1,780mm입니다. 물론 국산 대형 SUV들과 치수를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큽니다. 펠리세이드는 휠베이스 2,900m에 전장 4,980mm이고, G4렉스턴은 2,865mm에 4,850mm입니다. 모하비 마스터피스가 각각 2,895mm에 4,930mm이니, 국내 메이커들이 판매 중인 대형 SUV들과 100mm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익스플로러는 1세대부터 4세대 모델까지는 6기통 4,000cc와 8기통 4,600cc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는데요, 이 정도 크기의 엔진은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실용적 콘셉트의 차량에서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크기입니다. 익스플로러는 2011년에 등장한 5세대 모델부터 터보를 사용한 에코부스트(EcoBoost) 엔진을 채택하면서 배기량을 2,000cc와 3,500cc등으로 크게 낮춥니다. 숫자로 본다면 그야말로 반 토막 배기량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익스플로러는 도시 지향 크로스오버 콘셉트의 차량이므로 프레임 구조(body on frame)가 아닌 모노코크 차체이며, 5세대 모델에서는 앞 바퀴 굴림 방식의 포드 D4플랫폼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포드 토러스 승용차도 함께 썼던 것입니다. 또한 5세대부터 A필러와 B-필러, 그리고 D-필러를 블랙아웃 처리해서 마치 지붕이 띄워져 있는 것 같은 인상의 플로팅 루프(floating roof) 디자인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 시기는 포드가 잠시 동안 랜드로버를 합병했던 시기 이었으므로, 익스플로러 차체 디자인이 어딘가 랜드로버와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도 했는데요, 사실 지금도 얼핏 그런 인상이 남아 있습니다.



플로팅 루프 디자인은 6세대 익스플로러에서도 그대로 계승됐는데요, 오히려 한 걸음 더 나아가 C-필러 윗부분에 분할 선을 만들어서 루프 색을 다르게 칠할 가능성까지 만들어 놓았습니다.



한편 6세대 모델은 후륜 구동 기반의 새로운 CD6라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다고 알려졌었습니다. 익스플로러의 차체 측면 이미지를 비교해보면 역시 휠 아치 디자인을 크게 강조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커다란 20인치 휠을 끼웠음에도 검은색 플라스틱 클래딩을 붙여서 차체에서 휠 아치의 인상이 더욱 더 육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익스플로러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수평적 인상인데요, 운전석 클러스터와 센터 페시아에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이 쓰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수평 기조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최근의 디지털 기술에 의한 거의 모든 자동차 메이커에서 나타나는 경향이지만, 그 속에서도 익스플로러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아래쪽 크러시 패드를 두툼하게 강조해서 특이한 인상입니다.



3열로 구성된 좌석 배열은 승객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했는데요, 미국 시장 모델은 분리형 2열 좌석으로 전체 6인승이지만, 만약 국내 모델이 일체형 3인승 좌석으로 나온다면 전체 7인승입니다. 2열 좌석의 다리 공간은 비교적 여유롭습니다.



3열 좌석을 접으면 수납공간의 크기는 1,356 리터의 적재 공간이라고 합니다. 3열 시트에 승객을 태우면 트렁크 공간은 515리터, 그리고 2열과 3열 좌석을 모두 접었을 때에는 2,486 리터에 이르는 공간이 확보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의 대형 SUV의 등장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자동차 사용 환경과 의식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도시형 SUV이지만 공간의 활용성이 큰 대형 SUV의 구매가 늘어나는 것은 실질적으로 레저 활동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의 증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것입니다. 이제 자동차를 정말로 다양한 용도로 쓰기 위해 타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이유로SUV의 선호도가 더 다양한 유형으로 변화될 걸로 보입니다.

글 / 구상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교수)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100년 전 개발된 인휠 모터, 포르쉐의 유산과 현대적 부활
전기차 기술에서 인휠 모터는 최근 고성능 전기차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의 기원은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전기차와 내연기관
조회수 704 2025.01.22.
글로벌오토뉴스
테슬라의 1조 달러에 달하는 주식 시장 평가액은 팬들과 투자자들에게 마치 명예의 배지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거대한 숫자는 사실 테슬라가 지닌 인공지능(
조회수 153 2025.01.22.
글로벌오토뉴스
[칼럼] 문턱 사라진 전기차 시장, 파운드리 산업으로 2라운드 시작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전기차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로 차량 가격을 좌우한다. 제조사들은 내연기관차 대비 비싼 전기차 가격을 낮추기 위해 다
조회수 1,575 2025.01.20.
오토헤럴드
한국의 클래식 카-3: 1980년대
앞의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클래식 카의 기준을 30년 이상 된 차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2025년 현재를 기준으로 1995년 이전의 차들을 클래식 카 라고 구분할
조회수 371 2025.01.20.
글로벌오토뉴스
[김흥식 칼럼] 푸조보다 못한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으로 노리는 반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일본은 수입차에 잔인한 시장이다. 지난해 신차 판매량 예상치는 약 460만 대, 이 가운데 수입차는 22만 5000대에 불과하다. 일
조회수 2,111 2025.01.14.
오토헤럴드
한국의 클래식 카-2: 1970년대
1950~60년대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시작되는 시기였다면 1970년대는 발전의 첫 걸음을 뗀 시기였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진자동차는 차체가 더 커진
조회수 2,589 2025.01.13.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332. 새로운 인터페이스 혁명 BMW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이 온다
BMW 가 CES 2025 를 통해 OS X 기반 파노라믹 비전을 공개했다. 2001년 4세대 7시리즈를 통해 처음 선보였던 다이얼식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디
조회수 2,088 2025.01.08.
글로벌오토뉴스
한국의 클래식 카-1: 1950년대~1960년대
2025년 새해를 맞으면서 우리나라의 클래식 카에 관해 정리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앞으로 다섯번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글을 쓰고자 합니다.
조회수 1,507 2025.01.06.
글로벌오토뉴스
다양한 모빌리티의 안전과 속도
2024년을 마무리하면서 너무나 큰 항공 사고로 모든 분들의 마음이 무거우신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뉴스를 보면서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금하기 어려웠습니다. 자동
조회수 1,587 2024.12.31.
글로벌오토뉴스
자율주행, 2025년 자동차 산업의 핵심 경쟁 무대
자율주행 기술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2025년에 본격화될 전망이다. 맥킨지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시장은 2035년까지 약 4,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
조회수 1,916 2024.12.31.
글로벌오토뉴스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