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김흥식 칼럼] "세상에 공짜가 어딨어" 고 정주영 명예회장...32년 전 전기차 특명

오토헤럴드 조회 수679 등록일 2023.03.21.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현대모터스튜디오 서울, 2021년 말경 방문했을 때 1991년식 2세대 쏘나타가 전시돼 있었다. 쏘나타 신화가 시작한 모델이기도 하다. 놀라운 것은 이 쏘나타가 순수 전기차였다는 사실이다. 테슬라가 첫 순수 전기차 로드스터를 출시한 때는 2008년이다. 테슬라보다 17년 앞선 32년 전, 현대차는 순수 전기차를 만들기 시작했다.

현대차는 여기서 끝내지 않았다. 1992년 엑셀 기반 2호 전기차, 1993년 쏘나타와 스쿠프를 기반으로 한 3호, 4호 전기차로 개발을 이어갔다. 현대모터스튜디오 서울에 전시됐던 3호 전기차 쏘나타 Y2 EV는 1회 충전거리 120km, 최고 130km를 달렸다. 2000년 선보인 싼타페 EV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의전 차량으로 활약했다.

그리고 2010년 i10 기반 전기차 블루온이 등장했고 2011년 마침내 일반 판매가 가능한 기아 '레이 EV'가 양산을 시작했다.  국산 전기차 시대가 열린 순간이다. 레이 EV는 50kW 출력을 내는 모터와 16.4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 1회 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주행 거리는 139km였다.

우리나라 전기차 그리고 배터리가 글로벌 시장 정상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이렇게 30년이 넘는 긴 시간 다듬고 축적한 기술 덕분이다. 기억해야 할 것은 현대차그룹 전기차 역사가 오늘(3월 21일)로 22주기를 맞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 회장의 특명으로 시작했다는 점이다.

고 정 명예회장은 당시 연구소 엔지니어들을 불러 한 때 이차전지 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던 미국 오보닉(OVONIC)사와 협력해 전기차를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1991년 등장한 현대차 최초의 전기차 쏘나타 Y2 EV는 그렇게 탄생했다.

전기차는 189년 전인 1834년 처음 등장했다.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개발 경쟁이 시작됐고 1880년 이후 제법 큰 인기를 누렸다. 전기차가 사라지기 시작한 건 1900년 초 포드의 대량 생산, 점화 플러그의 등장으로 가속화했다. 이후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았던 전기차를 고 정 명예회장이 미래를 내다 보고 무덤 속에서 끌어 낸 것이다. 

그의 예견대로 2000년 대 들어 전 세계는 화석연료의 고갈 우려와 환경 오염에 대한 불안으로 친환경차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유럽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이 자동차 환경 규제를 강화하면서 하이브리드카를 포함한 전동화 모델 개발 경쟁이 붙었다.  토요타 프리우스, 미쓰비시 i-MiEV(2006년), 닛산 리프(2010년)가 세상에 나온 것도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현대차가 미쓰비시, 닛산보다 늦게 글로벌 시장에 전기차를 출시하고도 이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었던 건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선견지명으로 누구보다 앞선 때 시작해 수 십년간 차분하게 기술을 축적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현대차보다 앞서 등장한 미쓰비시 i-MiEV, 닛산 리프는 이제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밀려나 이제는 존재감조차 사라져 버렸다.

쏘나타 Y2 EV로 시작해 기아 레이 EV로 이어진 국산 전기차 계보는 이후 쏘울 EV(2014년), 아이오닉 일렉트릭(2016년), 코나 일렉트릭(2018년), 니로 EV(2018년)로 이어졌다. 그리고 현대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모델이 2021년부터 속속 등장해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의 상품성을 인정 받고 있다. 

고 정주영 명예회장이 32년 전 시작하지 않았다면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완성차 가운데 유일하게 소형에서 대형, 승용에서 상용 모델까지 순수 전기 라인업을 구축하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하이브리드 또 수소 전기차를 아우르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록한 전기차 판매 순위는 6위다. 16만 대를 팔아 130만 대를 판 테슬라와 격차가 아직은 크다. 자국 중심에 초소형 전기차까지 포함한 중국 BYD, SAIC를 제외해도 4위에 머문다. 하지만 올해부터 반전이 있을 전망이다.

현대차와 기아가 E-GMP 기반 SUV를 추가로 투입하고 미국 IRA, 유럽 CRAM 등 외부 장벽을 극복해 올해 3위 자리를 노리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으로 자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험이 없으면 큰 발전도 없다. 세상일에는 공짜로 얻어지는 성과란 절대로 없다.” 32년 전 고 정주영 명예그룹 회장이 시도한 모험의 결실이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259. 일론 머스크가 중국으로 간 까닭은?
일론 머스크가 중국을 방문한 것이 스포라이트를 받고 있다. 세계 정치인은 물론이고 경제인들의 발길은 눈치 안 보고 중국을 향하고 있다. 눈치를 안 보는 것이 아
조회수 117 2023.06.07.
글로벌오토뉴스
왕좌의 게임이 시작되다, 국내 출시된 신형 크라운의 주요 특징은?
70년에 달하는 역사의 토요타 크라운이 국내 출시됐다. 그간 일본 내수 전용 모델로 판매되었던 크라운이, 새로운 플랫폼과 새로운 4개 차종으로 거듭났다. 국내
조회수 1,436 2023.06.05.
글로벌오토뉴스
[칼럼] 게임체인저
자동차 대세로 급부상한 전기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작년 1000만 대, 올해 약 1700만 대 이상이 팔릴 것으로 예상한다. 전기차 구매를 적극 고려하는 소비자가
조회수 1,239 2023.06.05.
오토헤럴드
전기차용 변속기가 핵심적인 게임체인저인 이유는?
*바이젠(Bygen)의 4륜 전기차용 7단 자동변속기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전기차는 이제 대세라 할 수 있다. 작년 글로벌 자
조회수 313 2023.06.05.
글로벌오토뉴스
KR10의 디자인과 KG 모빌리티
지난 2023 서울 모빌리티 쇼에 전시된 차량 중에는 진짜 차량이 아닌 클레이 모델이 한 대 있었다. 클레이 모델(clay model)은 문자 그대로 진흙으로
조회수 408 2023.06.05.
글로벌오토뉴스
258. 토요타의 다양성과 BMW의 멀티 파워트레인
궁금하다. 누가 옮을까? 한 마디로 답할 수 없다. 기존 레거시 자동차회사 중 토요타와 BMW는 전동화 전략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다른 관점에서 지금의 자
조회수 1,493 2023.06.02.
글로벌오토뉴스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산업생태계와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기후 변화에 특히 한국은 무감각하다. 폭염과 홍수, 가뭄으로 수많은 생명체가 사라지고 있는데도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하고 있다
조회수 1,427 2023.06.02.
글로벌오토뉴스
[공수전환] 7세대 그랜저 Vs 16세대 크라운
과거 국내 시장에서 중형세단 '캠리'를 통해 현대차 '쏘나타'와 맞대결을 펼친 토요타가 브랜드 플래그십 세단 '크라운'을 통해 다시 한번 국내 점유율 확대에 나
조회수 1,727 2023.05.30.
오토헤럴드
[칼럼]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 대통령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은 모든 면에서 주목을 받는다. 특히 해외를 순방하는 자리는 대통령의 일거수 일투족에 관심이 쏠린다. 최근 해외 순방이 많은 윤석열 대통령
조회수 884 2023.05.30.
오토헤럴드
257.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중국 시장, 그리고 신흥시장
이쯤에서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 이 시대 자동차산업의 화두는 무엇일까? 2017년 중국의 연간 자동차 판매 대수가 2,888만 대, 생산이 2,972만 대를
조회수 299 2023.05.30.
글로벌오토뉴스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