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년 만의 영광, 맥라렌 2024 F1 챔피언십 제패

2024년 F1 시즌은 총 24라운드로 펼쳐지며 개막 초반부터 레드불과 막스 베르스타펜의 독주로 시작됐다. 그러나 시즌 중반 이후 맥라렌과 페라리가 강력히 부활하며 혼전 양상으로 바뀌었다. 막스 베르스타펜이 드라이버 부문 4연패를 달성했지만, 팀 챔피언십은 최종전까지 승부를 예측할 수 없었다. 결국 맥라렌이 1998년 이후 26년 만에 팀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는 F1 역사상 가장 긴 공백기를 깨고 우승을 차지한 사례로 기록됐다.
1998년 당시 맥라렌은 미카 하키넨, 페라리는 미하엘 슈마허를 앞세워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당시의 F1은 3리터 자연흡기 엔진, 경주 중 급유 허용, 홈이 파인 '그루브드 타이어' 의무 장착 등 현재와는 완전히 다른 규정 속에서 운영됐다. 26년이 지난 지금, F1 상위권 팀들의 면모와 구조는 크게 변화했다.

21세기 들어 새로운 강팀으로 부상한 메르세데스와 레드불이 주도권을 잡았으며, 2001년부터 2024년까지의 컨스트럭터스 챔피언십 결과에서도 그 흐름이 드러난다. 메르세데스가 8회(2014~2021년), 페라리와 레드불이 각각 6회, 르노가 2회, 브라운 GP와 맥라렌이 각각 1회씩 우승을 차지했다. 1958년 컨스트럭터스 챔피언십이 도입된 이래 페라리는 총 16회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맥라렌과 윌리엄스는 각각 9회로 그 뒤를 잇는다.

맥라렌은 지난 26년간 수많은 도전과 변화를 겪었다. 1997년 에이드리안 뉴이의 합류로 큰 성과를 거뒀지만, 그는 2005년 레드불로 떠났다. 팀의 스타 드라이버였던 루이스 해밀턴도 2013년 메르세데스로 이적했다. 또 한때 황금기를 함께했던 혼다와의 재결합도 2015~2017년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관계를 정리해야 했다.
2024년 맥라렌의 우승은 이러한 과거 실패를 극복한 결과로, 새로운 리더십과 체계적 전략이 빛을 발한 사례다. 2016년 팀을 떠난 론 데니스 이후, 마케팅 전문가 출신인 잭 브라운이 새로운 리더로 부임하며 팀은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로 탈바꿈했다.
맥라렌은 2023년부터 팀 대표로 아드레아 스텔라를 임명하며 승리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2024 시즌에 등장한 'MCL38' 머신은 6라운드 마이애미 GP 이후 업그레이드를 통해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며, 시즌 중반부터 꾸준히 포인트를 쌓아 올렸다. 드라이버 랜도 노리스와 오스카 피아스트리가 각각 4승과 2승을 기록하며 팀의 부활을 이끌었다.
맥라렌의 부활은 ‘워크스 엔진’이 필수가 아니라는 점을 증명하기도 했다. 2021년 메르세데스 파워 유닛으로 전환한 이후, 2024년에는 메르세데스와 페라리를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현재 파워 유닛 개발이 동결된 상황에서 엔진 성능 차이가 제한적이라는 점과 규정 상 동일 파워 유닛 사용이 의무화된 덕분이다.

2024년 시즌 3연패를 노리던 레드불은 맥라렌과 페라리에 밀리며 3위에 그쳤다. 막스 베르스타펜이 9승을 기록하며 팀의 중심을 지켰지만, 팀 동료인 세르히오 페레즈의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 페레즈는 시즌 초반 5라운드까지 4차례 포디움에 올랐지만, 이후 급격히 페이스가 떨어지며 포인트 획득에 어려움을 겪었다.
레드불의 3위는 단순한 실패로 끝나지 않는다. "공기역학 테스트 제한(ATR)" 규정에 따라 하위 팀일수록 더 많은 테스트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25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규정에 대비해 3위라는 위치가 개발 측면에서 유리한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레드불은 시즌 후반기 페르스타펀의 회복세와 함께 반등의 가능성을 보였다. 2025년부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레드불의 행보는 다시 한번 경쟁 구도를 뒤흔들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2024년 시즌은 F1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했다. 맥라렌의 부활은 과거 강팀들의 귀환을 알렸고, 레드불과 페라리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규정과 팀 전략 속에서 F1은 앞으로도 팬들에게 놀라움과 흥미를 선사할 것이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파워링크

![]() |
최근 현대자동차가 3월 중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할 계획을 발표하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차는 경기도 의왕시에 구축한 신규 연구소에서 파일럿 생산 라인
조회수 7,799
2025.02.14.
|
글로벌오토뉴스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중국에서 자동차를 판매 사업자들이 전기차를 우대하는 정부 정책의 전면 수정을 주장하고 나섰다. 각종 세제를 전기차와 동등하게 부과하고
조회수 4,560
2025.02.12.
|
오토헤럴드 |
![]() |
1990년대의 클래식카 이야기부터 다시 이어겠습니다. 1990년은 대우자동차가 최고급 승용차 시장 회복을 위해 1987년에 내놓았던 수퍼 살롱보더 더 윗급의 고
조회수 2,438
2025.02.07.
|
글로벌오토뉴스 |
![]() |
2월 1일, 미국 트럼프 정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게 25%의 포괄적 수입관세를 부과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국가간 문제 수준이 아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북미 자
조회수 3,711
2025.02.04.
|
글로벌오토뉴스 |
![]() |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연일 행정 명령을 쏟아내고 있다. 불법 이민자 추방, 에너지 관련 보조금 집행 일시 중단, 멕시코와
조회수 4,523
2025.02.03.
|
오토헤럴드 |
![]() |
지난 2019년에 등장했던 팰리세이드의 2세대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매번 신형 차가 나올 때마다 시간이 참 빠르다고 느껴집니다. 1세대 모델이 여전히 신차의 느
조회수 5,041
2025.01.31.
|
글로벌오토뉴스 |
![]() |
아주 오랜만에 도쿄 오토살롱을 다녀왔다. 개인적으로도 오래 전에 튜닝 사업을 했던 적도 있었지만 솔직히 요즘은 관심을 크게 갖고 있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조회수 4,878
2025.01.31.
|
글로벌오토뉴스 |
![]() |
미국과 유럽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며 미래 기술의 주도권을 잡아가는 지금, 예상하지 못한 경쟁자가 등장했다. 어찌보면 익숙한 이야기다. 이번에는 자동차가 아니라
조회수 3,151
2025.01.31.
|
글로벌오토뉴스 |
![]() |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12대 중 1대가 EV였다. 이는 미국 자동차 시장 또한 전기차의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전
조회수 11,525
2025.01.24.
|
글로벌오토뉴스 |
![]() |
전기차 기술에서 인휠 모터는 최근 고성능 전기차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의 기원은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전기차와 내연기관
조회수 5,639
2025.01.22.
|
글로벌오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