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미드 니켈 CTP - 배터리 한중전쟁의 주요 전장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3,698 등록일 2024.12.20.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아쉽지만 일단 선점에는 실패한 듯 하다. 미드 니켈 NCM 배터리 셀과 셀투팩(CTP) 시장 이야기다.

우리 나라와 중국은 이차전지 강국이다. 비록 시장 점유율과 규모에서는 중국이 앞서 나가고 있지만 양국의 이차전지 산업은 분명하게 각자 또렷한 강세 분야를 점유하고 있다.

바로 한국의 삼원계 배터리, 중국의 LFP 배터리다.

초기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의 삼원계 배터리 기술에 앞선 우리 나라가 앞서 나갔다. 하지만 A123시스템즈가 갖고 있던 LFP 배터리의 핵심 특허가 2022년 공개되면서 기술적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LFP 배터리의 개발과 급속한 보급에 성공하였다. 즉, 한국은 고성능 배터리 시장에, 중국은 가성비 배터리 시장에 또렷한 강점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일단은 중국의 기세가 높다.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고성능 삼원계 배터리는 얼리어답터 시장은 신규 시장 초기 진입에는 효과적이지만 시장 규모를 본격적으로 성장시키는 대중화 단계에서는 이보다는 접근성이 좋은 가격이 중요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구매력이 낮은 중국 대중 시장의 입장에서는 더욱 가격이 중요했다. 이 시점에서 대두된 것이 바로 LFP 배터리다. LFP 배터리는 코발트나 니켈 등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했다. 그리고 제조 공정이 삼원계 배터리에 비하여 단순했기 때문에 빠르게 기술을 발전시켜 양산에 돌입하기에도 유리했다. 그 결과, 중국은 LFP 배터리의 보급을 통하여 이차전지 및 전기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쥘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상대의 주력 시장의 공략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중국의 고성능 삼원계 배터리 시장 진출에는 한국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촘촘한 특허 장벽이 문제였다. 실제로 현재로 NCM811급 이상의 하이 니켈 배터리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수율이나 성능 등에서 한국 기업의 제품에 비하여 열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대로 한국이 LFP 등 저렴한 배터리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노력은 중국의 빠르고 강력한 LFP 시장 선점과 절대적 가격 경쟁력에서 제한적 결과에 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한동안 한국과 중국은 각자의 강점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시장을 각각 형성해 왔다. 즉, 강점은 강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향의 기술 개발로 자신이 강한 시장의 장악력을 강화하는 방향이었던 것. 고가 고성능 제품 시장에 강세였던 한국의 삼원계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더 끌어올리면서 코발트 등 고가 원료의 비중을 낮추는 하이 니켈 배터리 셀의 개발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BMS의 고도화 등이 주된 트렌드였다. 셀의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고 안전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장의 요구에 따라 에너지 밀도에 유리했던 기존 파우치 형태의 셀 중심에서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각형 셀과 범용 규격의 원통형 배터리로의 트렌드 변화가 두드러졌다.

중국 LFP 진영의 발전은 보다 공격적이었다. 대표적 예가 바로 셀-투-팩(CTP) 구조의 적극적 채용이다. 기존의 배터리 팩은 셀-모듈-팩 구조로 이중 구조를 사용한다. 모듈이라는 중간 구조가 존재하므로 안전도 및 안정성은 우수한 반면 당연히 전체 팩 기준에서는 에너지 밀도에 희생이 따를 수 밖에 없다. LFP 셀의 CTP 배터리 팩은 열폭주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기본적으로 각형 셀이 주류인 LFP 배터리의 안정성을 활용하여 모듈 단계를 삭제하고 배터리 셀을 팩에 직접 담는 방식으로 LFP 셀의 낮은 에너지 밀도를 보완하는 것이다.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와 CATL의 기린 CTP가 대표적이다. CTP 구조는 셀-모듈-팩 구조에 비하여 단위 부피 당 에너지 밀도가 20~30%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FP의 CTP로의 진화는 무슨 뜻일까? 그것은 중핵 시장으로의 접근이다. 즉, 저가 전기차 시장을 출발점으로 LFP 배터리가 중앙의 가장 두터운 시장으로 다음 방향을 정한 것이다. 삼원계 배터리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 등 배터리 기술의 고도화에 집중하면서 기술적 외연을 밀어 올리는 사이 중국은 시장 점유율과 제조업 기반을 바탕으로 주류 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다.

가장 두터운 시장이 될 바로 이 중핵 시장은 한국 삼원계와 중국 LFP 배터리의 직접적 충돌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곳이다. 즉, 한국 배터리는 가성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중국 배터리는 LFP의 에너지 밀도 등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시작한다.

바로 여기에서 미드 니켈 CTP가 치열한 전장이 될 전망이다. 중국은 이미 성숙된 CTP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LFP 배터리 셀을 대신하여 에너지 밀도도 높고 비교적 기술적 장벽을 극복한 미드 니켈 삼원계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접근법으로 중급 배터리 팩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반대로 고도의 하이 니켈 포뮬러로 기술적 수준을 높인 한국은 이제는 셀 단위의 에너지 밀도는 다소 희생하지만 높은 수준의 안정성과 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 미드 니켈 삼원계 셀을 중국보다 훨씬 잘 만들 수 있다. 하이 니켈 배터리 셀보다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드 니켈 셀은 충분히 CTP로도 안정성을 기술을 접목한다면 한국은 자신의 강점인 삼원계 기술을 바탕으로 성능과 가격의 균형이 좋은 우수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코발트 등 원자재의 가격이 안정된 지금이 적기다.)

하지만 최근 출시된 중국 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차들이 국내에 도입되면서 우리가 한 발 늦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게다가 성능 또한 상당하다. 400마력의 폴스타 4가 NCM523 기반의 CTP를 사용하고, 600에서 900마력대의 초고성능 GT인 로터스 에메야 / 엘레트라가 NCM523 또는 NCM622 셀을 사용하는 CTP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미드 니켈 배터리로도 충방전 성능이 우수하다는 의미다. 심지어 로터스는 800V 아키텍쳐를 구현하였다. 또한 배터리 팩의 용량이 모두 100kWh 이상으로 절대 용량에서도 하이 니켈 대비 미드 니켈의 단점을 CTP 기술로 완벽하게 커버하였다. 즉, 최소한 제원상으로는 우리 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하이 니켈 셀-모듈-팩 방식에 뒤처지는 부분을 찾기가 어렵다.

게다가 CATL의 기린 3.0 CTP 기술은 LFP와 NCM 셀을 모두 지원하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개발비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더 넓은 제품군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본격적인 중핵 시장용 솔루션이다.

물론 전고체 배터리 등 근본적으로 기술적 장벽을 넘는 방법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최근 국제적 경기 침체와 전기차 수요 둔화에서 체험했듯이 제품의 대중화는 대중의 눈높이에 맞는 보편성을 갖는 제품을 필요로 한다.

우리의 대책은 무엇인가. 미드 니켈 NCM 셀의 개발과 CTP 기술의 개발이 진행중이라는 소식이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안된다. 중국의 미드 니켈 CTP와 차별화할 수 있는 섬세한 제품 사양의 확정이 매우 중요하다. 거기에는 우리의 강점이 잘 녹아들어야 하고 그것을 고객들이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핵 시장에서 싸워보지도 못하고 중국 쓰나미에 떠내려갈 수도 있다.
시간이 별로 없다.

글 / 나윤석 (자동차 전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전고체 배터리의 대중화,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
최근 현대자동차가 3월 중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할 계획을 발표하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차는 경기도 의왕시에 구축한 신규 연구소에서 파일럿 생산 라인
조회수 7,801 2025.02.14.
글로벌오토뉴스
[김흥식 칼럼] 중국은 전기차만 수출한다? 알고 보면 내연기관차 강국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중국에서 자동차를 판매 사업자들이 전기차를 우대하는 정부 정책의 전면 수정을 주장하고 나섰다. 각종 세제를 전기차와 동등하게 부과하고
조회수 4,562 2025.02.12.
오토헤럴드
한국의 클래식 카-4: 1990년~1994년
1990년대의 클래식카 이야기부터 다시 이어겠습니다. 1990년은 대우자동차가 최고급 승용차 시장 회복을 위해 1987년에 내놓았던 수퍼 살롱보더 더 윗급의 고
조회수 2,439 2025.02.07.
글로벌오토뉴스
‘야만의 시대’로의 회귀.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2월 1일, 미국 트럼프 정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게 25%의 포괄적 수입관세를 부과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국가간 문제 수준이 아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북미 자
조회수 3,713 2025.02.04.
글로벌오토뉴스
[칼럼]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연일 행정 명령을 쏟아내고 있다. 불법 이민자 추방, 에너지 관련 보조금 집행 일시 중단, 멕시코와
조회수 4,524 2025.02.03.
오토헤럴드
2세대 팰리세이드의 디자인
지난 2019년에 등장했던 팰리세이드의 2세대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매번 신형 차가 나올 때마다 시간이 참 빠르다고 느껴집니다. 1세대 모델이 여전히 신차의 느
조회수 5,042 2025.01.31.
글로벌오토뉴스
플랫폼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끼다 - 도쿄 오토살롱
아주 오랜만에 도쿄 오토살롱을 다녀왔다. 개인적으로도 오래 전에 튜닝 사업을 했던 적도 있었지만 솔직히 요즘은 관심을 크게 갖고 있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조회수 4,881 2025.01.31.
글로벌오토뉴스
미국과 유럽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며 미래 기술의 주도권을 잡아가는 지금, 예상하지 못한 경쟁자가 등장했다. 어찌보면 익숙한 이야기다. 이번에는 자동차가 아니라
조회수 3,151 2025.01.31.
글로벌오토뉴스
트럼프의 정책에도 미국 전기차 산업이 성장하게 될 이유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12대 중 1대가 EV였다. 이는 미국 자동차 시장 또한 전기차의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전
조회수 11,529 2025.01.24.
글로벌오토뉴스
100년 전 개발된 인휠 모터, 포르쉐의 유산과 현대적 부활
전기차 기술에서 인휠 모터는 최근 고성능 전기차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의 기원은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전기차와 내연기관
조회수 5,640 2025.01.22.
글로벌오토뉴스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