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기자 수첩] 순수함을 잃은 대가, 지프 랭글러와 글래디에이터 판매 급감

오토헤럴드 조회 수8,888 등록일 2024.09.23.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지프 브랜드의 주력 모델인 랭글러와 글레디에이터 판매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방 격인 미국 시장에서 판매 감소가 더 뚜렷하다는 점에서 스텔란티스 그룹 전체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지프 브랜드의 상반기 북미 시장 판매 대수는 30만 714대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9% 줄었다. 지프의 실적은 국내에서도 다르지 않다. 올 1월부터 8월까지 국내 누적 판매 대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0.7% 줄었다. 

문제는 지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주력 모델인 랭글러의 상반기 판매 대수가 9% 감소한 7만 7024대, 글래디에이터는 14% 감소한 2만 3478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랭글러와 글래디에이터가 지난 6월 기록한 미국 시장 판매 대수는 역대 6월 중 가장 저조한 각각 1만 3134대, 3542대에 그쳤다. 

랭글러는 한 때 연간 24만여 대 가까이 팔리면서 그랜드 체로키와 함께 지프의 간판 역할을 했던 모델이다.

랭글러와 글래디에이터의 판매가 급감한 이유로 미국 현지에서는 사치스러운 첨단 기술을 핑계로 가격을 인상한 것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한다. 한 가격 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지프 브랜드의 평균 가격은 2018년 이후 61%나 급등했다. 

지프의 2024년형 랭글러의 경우 작년보다 400달러 오른 3만 1995달러(약 4276만 원)부터 시작하지만 최고급형은 10만 1890달러(약 1억 3000만 원)까지 상승한다. 랭글러 역시 3만 7895달러(약 5064만 원)부터 시작해 6만 4890달러(약 8672만 원)에 팔고 있다.

지프는 차량 가격 인상이 사양 업그레이드에 따른 불가피한 것으로 해명한다. 그러나 지프 마니아들은 사치스러운 인테리어와 4G 핫스팟 등 오랜 기간 유지해 왔던 제품의 전통에 어울리지 않는 고급 사양을 적용하고 가격을 올리면서 충성 고객이 이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특히 "사치스러운 것보다는 누구나 쉽게 다루고 고칠 수 있는 지프를 원한다"라며 "또다시 오프로더를 구매한다면 첨단 사양이 가능한 덜 적용된 지프의 다른 모델이나 다른 브랜드를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프가 갖고 있던 아날로그의 순수함을 잃은 대가다.

지프가 첨단 사양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고 있지만 기계적 결함 그리고 이에 따른 사용자 불만은 더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프 랭글러와 글래디에이터는 최근 계기반 결함으로 리콜을 발표했다. 

제이디파워(J.D.POWER)가 지난 8월 발표한 첨단기술의 만족도 지수(TXI)에서도 지프는 산업 평균(494점)에 한참을 미치지 못하는 425점으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당시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제네시스(584점)와 차이가 매우 크다.

현지 매체인 더 블레이드는 지프가 갖고 있는 정체성을 첨단 장치로 포장해 가격만 인상해 판매 부진 그리고 글래디에이터의 차기작 출시도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자동차의 첨단 기능 중에는 일상에서 쓰임새가 거의 없는 것들이 수두룩하다. 첨단 기능일수록 오류도 잦다. 그럼에도 완성차들은 차량의 기본 성능보다는 첨단 기능을 교묘하고 경쟁적으로 탑재하면서 이를 가격 인상의 빌미로 삼았다.

하지만 지프의 현재 처지는 소비자들이 이런 꼼수를 무한정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포드는 최근 향후 출시하는 신차의 주차지원시스템 삭제를 발표했다. 개당 60달러 이상의 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불필요한 고가의 사양을 걷어 내 가격을 내릴 방법이 있고 그 반대라면 지프의 꼴이 날 수도 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칼럼] 중국 전기차가 가격만으로 시장을 잠식한다고 보는 건 오판이다.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미래 모빌리티 산업은 국가 경제의 핵심 영역인 자동차는 전기전자 시스템과 반도체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첨단 제품으로 진화했고
조회수 5,150 2024.12.16.
오토헤럴드
[2025 미리 보는 맞수 1] 거대한 순수 전기차, 기아 EV9 Vs 현대차 아이오닉 9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세상이 혼란스럽고 앞도 보이지 않는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더욱 굳게 닫히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조회수 5,050 2024.12.16.
오토헤럴드
디지털 픽셀과 빛의 주파수 색상
최근에는 디지털 이미지를 주제로 하는 디자인이 많이 나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픽셀 이미지로 디자인한 램프 류 일 것입니다. 최신형 전기 동력 차량은 말할
조회수 2,671 2024.12.09.
글로벌오토뉴스
2025년 이후 테슬라가 출시할 새로운 전기차는?
최근 테슬라의 미국 프리몬트 공장 야외에서 흰색 커버로 덮인 여러 대의 차량이 목격되었다. 테슬라 커뮤니티에서는 이 차량들이 테슬라가 개발 중인 신모델일 것이라
조회수 3,470 2024.12.09.
글로벌오토뉴스
혼다, 전고체 배터리 실증 공장 공개... 양산 가능성은?
지난 11월 21일, 혼다는 2025년 1월부터 전고체 배터리 실증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일본 도치기현 사쿠라시에 위치하며, 레이싱 팬
조회수 2,898 2024.12.06.
글로벌오토뉴스
330. BYD의 세계 6위, 중국의 제로섬 게임 본격화
2025년 BYD의 한국시장 진출에 대해 가장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은 가격인 것 같다. 그에 대해 BYD측은 한국시장에서 저가로 팔지 않겠다고 했다. 두고 봐야
조회수 3,229 2024.12.05.
글로벌오토뉴스
또 다시 흔들리는 닛산, 생존 전략은 무엇일까?
2020년 판매 부진으로 국내시장에서 철수한 닛산. 닛산 자동차가 다시 한 번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최근 발표된 2024년 4~9월기 연결 실적에 따르면, 영
조회수 3,038 2024.12.05.
글로벌오토뉴스
찬반 엇갈리는 재규어의 급진적인 변화, 무엇을 위한 도전인가?
재규어는 최근 마이애미 아트 위크에서 새로운 전기차 '타입 00(Type 00)'를 공개했다. 이 차량은 판매용이 아닌 '디자인 비전 콘셉트'로, 향후 출시될
조회수 2,841 2024.12.05.
글로벌오토뉴스
노이어 클라쎄의 티저인가 - BMW 4세대 X3
BMW의 전통적인 대표 모델은 3 시리즈이다. 그렇다면 크로스오버 SUV BMW에게는 스포츠 액티비티 비히클 (SAV) 의 시대인 21세기 초의 대표 모델은
조회수 3,094 2024.12.02.
글로벌오토뉴스
포드 뉴 익스플로러의 디자인
요즈음은 그야말로 대형 SUV가 물밀듯이 등장한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미국 본토에서 온 또 하나의 차량이 등장했습니다. 그것은 포드의 중형 SUV 익스
조회수 2,609 2024.12.02.
글로벌오토뉴스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