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수입 디젤 승용차, 자국은 퇴출시키면서 한국서 파격적 가격 할인에 밀어내기까지

오토헤럴드 조회 수1,461 등록일 2023.03.13.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세계 자동차 시장에 전기차 흐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전기차와 같은 무공해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다. 우리나라도 선도적인 전기차 국가다. 작년 누계 전기차 대수는 약 40만 대, 충전기는 20만 기에 이른다. 전기차 구매를 적극 고려하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

올해 보급하는 전기차 보급 대수는 약 27만 대 수준이다. 올해 말 전기차 누계는 약 67만 대로 예상한다. 내연기관차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리튬 공급 안정화로 전기차 대량 생산, 이에 따른 제작사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기차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 2550만 대 가운데 친환경차는 약 200만 대 수준에 불과하다. 내연기관차 점유율이 여전히 높다. 특히 생계형 디젤차를 비롯한 노후 경유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 정부와 지자체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환경 오염 물질인 배출가스 관리에서 가장 집중해야 할 차가 바로 디젤차이기 때문이다. 

또 하나 문제는 수입 디젤차다. 10여 년 전 정부는 유럽산 디젤차를 중심으로 '클린 디젤차'라는 홍보문구를 내세운 유럽산 디젤차가 친환경차로 분류돼 국내 시장에 활성화된 기종이 바로 디젤 승용차다. 그러면서 국내에는 상당한 수의 유럽 디젤차가 운행되고 있다. 

국내 운행차 가운데 수입차의 약 40%는 디젤차로 파악되고 있다. 디젤차는 신차도 시간이 지나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국내 제작사는 이미 약 3년 전 디젤 세단을 중단한 데 이어 최근 SUV도 점차 생산을 줄이고 있다. 건설기계나 대형 트럭도 수소나 전기 트럭으로 대체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수입차는 머지않아 수입차 점유율이 2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에서 점차 줄여 나가고 있는 디젤차를 수입사들은 우리나라에 지속해 내놓고 있다. 최근에도 다양한 유럽 디젤차를 출시하고 믿기 힘든 가격 할인에 밀어내기 판매까지 하고 있다. 가성비에 주목하는 소비자들이 유럽산 디젤차에 관심을 두는 이유다. 

우리 소비자들의 반응이 중요한 때다. '물건이 저렴하면 장물도 좋다'라는 인식으로는 우리 환경을 지킬 수 없다. 소비자 단체도 이에 대한 경계심을 가지고 시대가 지난 수입 디젤 승용차 판매를 막는 홍보나 캠페인 활동을 벌여야 한다. 정부가 조기에 디젤차 판매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오는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지할 가능성이 있지만 당장 환경 영향이 많은 디젤차를 우선 규제하는 방안이다. 그전에 소비자도 디젤 승용차 구매를 지양해야 한다. 환경 파괴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 후세에게 '암 같은 존재'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규제 대상 중 최우선이 바로 디젤차다.


김필수 교수/webmas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최초의 국산 하이브리드 LPG 신차는 나오는가?
*KG모빌리티 토레스 하이브리드 LPG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최근 전기차의 보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
조회수 1,256 2023.06.26.
글로벌오토뉴스
KG 모빌리티,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길 모색한다
쌍용자동차에서 사명을 바꾼 KG모빌리티의 2023년 상반기 실적이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 해 1분기에 25년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
조회수 847 2023.06.22.
글로벌오토뉴스
CTO 체제, 그리고 한국형 어벤저스  현대차그룹의 화두는 무엇인가?
현대차에게 큰 변화가 있었다. 조직의 변화, 그리고 협력의 변화다. 그리고 그것이 보여주는 방향성은 또렷하다. 일단 내부 조직의 변화가 있었다. 그 핵심은 김용
조회수 1,053 2023.06.20.
글로벌오토뉴스
261. 산업혁명과 생산성이 아니라 인구 증가 억제가 필요하다
프랑스는 기차로 두 시간 반 이내의 거리는 항공기 운항을 금지하고 있다. 일부 유럽국가들도 같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파리의 호텔 프론트 옆에는 수도꼭지가 설
조회수 2,312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도둑놈 제쳐두고, 관리 잘못한 주인 보다 물건 판 사람한데 죄 묻는 나라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순수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 모델이 주도하면서 미국 시장 점유율은 10%를 돌파
조회수 1,635 2023.06.19.
오토헤럴드
기아 도난 문제, 미국 정부 차원의 대처가 더욱 문제이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미국 시장에서의 현대차와 기아의 선전은 대단하다. 이미 1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면서 최근의 실적은
조회수 584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
지난 2020년에 북미 전용 모델로 등장했던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2023년형으로 현지에서 공개됐다. SUV의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국내에서
조회수 879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자동차가 점점 더 커지는 진짜 이유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자동차하면 쏘나타와 그랜저가 떠오른다. 대표적인 차량들의 역사를 돌아보면 매년 새로운 세대의 모델이 출시될 때마다 차량의 크기는 커
조회수 2,789 2023.06.14.
글로벌오토뉴스
260. 쉐보레 임팔라, 토요타 크라운, 그리고 포니의 시간
서울 강남. 싸이와 BTS의 활약으로 이제는 지구촌 많은 사람에게 유명해졌다. 그 강남에서 6월 초 세 가지 미디어 대상 이벤트가 있었다. 6월 5일에는 토요타
조회수 1,800 2023.06.13.
글로벌오토뉴스
[공수전환] 플래그십 3열 전기 SUV 대결
기아가 이달 중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으로 플래그십 순수전기 SUV 'EV9' 글로벌 순차 판매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공간과 다목적성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반
조회수 3,186 2023.06.12.
오토헤럴드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