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아롱 테크] 전기차 회생제동 시스템과 자유 낙하 아찔한 놀이 기구 자이로드롭

오토헤럴드 조회 수1,916 등록일 2023.03.06.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전동화 차량(xEV, xElectronic Vehicle)이 대중화됨에 따라 회생제동시스템(Regenerative Break)이 브레이크 시스템이 단순 제동 이상 새로운 역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를 주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동화 차량은 내연기관의 유압식 브레이크와 함께 회생제동이라는 혼합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회생제동은 주행 중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때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버려졌던 열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해 주는 것입니다. 전기차는 이러한 회생제동을 이용해 주행중 감속하거나 타력주행 할 때의 구동력으로 모터-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키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기전력(저항)이 발생해 내연기관 엔진 브레이크와 같은 감속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배터리 충전과 제동력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지요. 참고로 회생제동으로 부족한 제동력은 전자제어 마스터실린더를 통해 내연기관과 같이 유압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주행 중에 발생하는 모든 감속상황의 80% 이상이 회생제동구간에서 발생하므로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차보다 브레이크 패드 마모가 훨씬 적은 이유입니다.

전기차 회생제동은 ‘제동(Break)’이라는 단어 때문에 실제 유압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제동장치가 아니라 전기모터가 작동하는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전기모터와 발전기의 작동원리는 서로 반대 개념으로 전기를 모터 몸체에 있는 구리권선에 공급하면 회전로터가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게 되지만 반대로 회전로터를 구동하게 되면 전기가 발생합니다. 

전기차는 전기모터와 발전기를 각각 따로 두지않고 하나의 전기모터로 전기 구동모터와 발전기 역할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모터-제너레이터(Motor-Generator)’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전기차를 움직이는 전기 구동모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고 바퀴구동력(운동에너지)으로 전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면 모터의 회전을 방해하려는 힘(역기전력)과 함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지요. 

회생제동의 작동원리를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과 렌츠의 힘과 같은 전기이론이 필요하지만 회생제동의 원리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놀이공원에 있는 자이로드롭과 롤로코스터 등과 같은 각종 놀이기구입니다. 그중에서도 70m 이상의 고공에서 자유낙하하는 자이로드롭이라는 놀이기구는 전기차의 회생제동과 같은 작동원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자이로드롭은 전 세계 테마파크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고공낙하 놀이기구로 1998년 우리나라 놀이공원에 세계 최초로 설치된 바 있습니다. 국내 한 놀이공원에 있는 자이로드롭의 경우 전기모터를 이용해 지상 25층 높이인 70m 상공까지 탑승좌석을 끌어올린 후 2.5초만에 시속 88km의 속도로 지상으로 떨어지는 놀이기구입니다. 

<br>

이렇게 높은 위치에서 떨어지는 놀이기구가 땅에 직접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멈출 수 있는 이유는 영구자석의 자기장(기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도체(금속)를 넣으면 도체에 순간적으로 전류가 발생하면서 자석과 같은 성질을 띠게 됩니다. 

이때 원래의 자석(N극과 S극)과 순간적으로 자성을 띠게된 도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면서 자석과 도체가 서로 밀어내려는 힘(역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전기용어로 맴돌이 전류라고 합니다. 이러함 맴돌이 전류가 고공에서 떨어지는 놀이기구의 낙하속도를 떨어트려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자리로드롭은 낙하속도에 비례해 맴돌이 전류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놀이기구를 멈출 수 있다고 합니다.

전기차의 회생제동 또한 이러한 자이로드롭처럼 영구자석인 모터와 모터 내부의 회전자(도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합니다. 즉 모터의 회전방향(차량속도)와 반대로 움직이는 회전자(로터)에서 발생하는 맴돌이전류가 커지면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속시켜 엔진브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아롱 칼럼니스트/webmas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최초의 국산 하이브리드 LPG 신차는 나오는가?
*KG모빌리티 토레스 하이브리드 LPG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최근 전기차의 보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
조회수 1,256 2023.06.26.
글로벌오토뉴스
KG 모빌리티,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길 모색한다
쌍용자동차에서 사명을 바꾼 KG모빌리티의 2023년 상반기 실적이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 해 1분기에 25년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
조회수 847 2023.06.22.
글로벌오토뉴스
CTO 체제, 그리고 한국형 어벤저스  현대차그룹의 화두는 무엇인가?
현대차에게 큰 변화가 있었다. 조직의 변화, 그리고 협력의 변화다. 그리고 그것이 보여주는 방향성은 또렷하다. 일단 내부 조직의 변화가 있었다. 그 핵심은 김용
조회수 1,053 2023.06.20.
글로벌오토뉴스
261. 산업혁명과 생산성이 아니라 인구 증가 억제가 필요하다
프랑스는 기차로 두 시간 반 이내의 거리는 항공기 운항을 금지하고 있다. 일부 유럽국가들도 같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파리의 호텔 프론트 옆에는 수도꼭지가 설
조회수 2,312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도둑놈 제쳐두고, 관리 잘못한 주인 보다 물건 판 사람한데 죄 묻는 나라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순수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 모델이 주도하면서 미국 시장 점유율은 10%를 돌파
조회수 1,635 2023.06.19.
오토헤럴드
기아 도난 문제, 미국 정부 차원의 대처가 더욱 문제이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미국 시장에서의 현대차와 기아의 선전은 대단하다. 이미 1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면서 최근의 실적은
조회수 584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
지난 2020년에 북미 전용 모델로 등장했던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2023년형으로 현지에서 공개됐다. SUV의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국내에서
조회수 879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자동차가 점점 더 커지는 진짜 이유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자동차하면 쏘나타와 그랜저가 떠오른다. 대표적인 차량들의 역사를 돌아보면 매년 새로운 세대의 모델이 출시될 때마다 차량의 크기는 커
조회수 2,789 2023.06.14.
글로벌오토뉴스
260. 쉐보레 임팔라, 토요타 크라운, 그리고 포니의 시간
서울 강남. 싸이와 BTS의 활약으로 이제는 지구촌 많은 사람에게 유명해졌다. 그 강남에서 6월 초 세 가지 미디어 대상 이벤트가 있었다. 6월 5일에는 토요타
조회수 1,800 2023.06.13.
글로벌오토뉴스
[공수전환] 플래그십 3열 전기 SUV 대결
기아가 이달 중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으로 플래그십 순수전기 SUV 'EV9' 글로벌 순차 판매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공간과 다목적성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반
조회수 3,186 2023.06.12.
오토헤럴드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