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반값 전기차를 구현하는 방법은?

글로벌오토뉴스 조회 수1,002 등록일 2023.03.06.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전기차 시대에 접어들면서 더욱 치열한 시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작년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는 약 980만대 수준으로 거의 1,000만대에 이른다. 올해는 1,500만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8,000만대 정도를 생각하면 얼마나 빨리 전기차가 판매되는 지 알 수 있다.

최근에는 전기차 완성도가 좋아지면서 더욱 시장은 치열해지고 있고 훌륭한 전기차가 더욱 많아지고 있는 부분은 소비자에게는 좋은 현상이나 제작자들에게는 더욱 생존경쟁으로 벌써 치 닿고 있다. 더욱이 테슬라의 경우 독보적인 위치의 전기차 혁신의 아이콘이었으나, 최근에는 경쟁력 높은 전기차가 다수 등장하면서 춘추전국 시대로 접어드는 것이 아닌가 언급되고 있기도 하다.

벌써 테슬라를 필두로 가격 인하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이제는 전기차 가격이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원래 전기차는 아직 내연기관차에 비하여 가격이 약 1.5~2배 정도 고가이어서 보조금 등으로 경쟁여건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었다, 아직은 시기상조다. 그러나 최근 테슬라의 가격 인하 정책과 더불어 배터리 원자재의 안정된 공급과 가격 인하는 물론이고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통한 전기차 가격 인하 요건이 성숙해 지면서 전기차의 가격이 훨씬 빠르게 인하되는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 뉴욕타임즈에서도 올해 후반에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격이 유사해지는 요소가 커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테슬라의 가격 인하 정책으로 글로벌 제작사들은 연속으로 가격을 인하하고 있다. 물론 높은 영업이익률을 가진 테슬라는 약 20%의 가격을 인하하여도 흑자 유지가 가능하나 다른 일반 글로벌 제작사들은 영업이익률이 약 5~6%에 불과하여 낮출 수 있는 요소가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포드도 전가차의 가격을 약 8.8% 인하하겠다고 발표를 하였고 다른 제작사들도 인하 정책에 동조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GM 등은 동결을 선언하여 상대적인 모급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차 그룹도 고민되기는 마찬가지다. 작년 현대차 그룹은 어느 해보다 높은 이익률로 고무되어 있는 부분도 프리미엄 브랜드의 선전과 친환경차 판매가 한몫을 하였다. 그러나 어느 제작사 모두 전기차의 가격을 낮춘다면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는 공식은 누구나 같다고 할 수 있다. 쉽지 않은 방법이나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반값 전기차'는 가능할까? 방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우선 고가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가격이 저렴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바꾸는 부분이다. 전기차의 가격 중 약 40%가 배터리 비용인 만큼 배터리의 가격 인하는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당장 물론 인산철 배터리는 중국 CATL 등이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지고 지난 중국 시장의 선점과 더불어 이제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발돋음하고 있는 배터리다. 물론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고 무게나 부피가 큰 한계가 있으나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약 30% 낮은 가격이 무기다.

이에 발맞추어 포드가 먼저 중국산 인산철 배터리 탑재를 공식화하였다. 물론 인산철 배터리의 한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셀투팩(Cell to Pack) 공법 등 다양한 기술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법도 병행하고 있다. 최근 포드가 그 동안 배터리 동맹을 벌였던 SK온과의 사이가 벌어진 부분도 바로 중국산 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전기차 가격 인하를 위한 포석이라는 것이다.

테슬라는 가격 인하와 함께 최근 모델2 등 3,000만대 초반대의 전기차 출시 등 더욱 강력한 가격 인하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다른 전기차의 의지를 꺾고 다시 한번 독보적으로 성장하겠다는 포석이다. 미중간의 경제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차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한계가 큰 상황이다.

배터리 가격이 낮은 만큼 에너지 밀도도 떨어져 일반 보급형 스탠다드 모델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아직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의한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어서 생산 단가를 낮추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 방법 중 미래 게임체인저라 하는 전고체 배터리도 있지만 대량 생산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030년을 훌쩍 넘겨야 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아직은 요원하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게임체인저 기술로 언급되는 전기차 자동변속기 탑재다.

약 7년 전 필자가 처음 언급할 당시에 전기차 변속기가 왜 필요하냐고 반문하였으나 최근 포르쉐 타이칸 2단 변속기 탑재, 아우디 e트론 2단 변속기 탑재, 대만 고고로의 전기이륜차 2단 변속기 탑재가 이어져 양산형으로 판매되고 있고 올해는 미국 이튼의 4단 변속기가 전기버스에 탑재된다.

전기차용 변속기를 탑재하면 단수가 높을수록 경제성이 뛰어나 같은 배터리로 주행거리 연장 30~50%가 나타나고 등판능력의 획기적 개선, 모터 등 각종 장치의 온도 유지 등으로 냉각장치가 필요 없는 1석 10조의 효과가 나타난다.

물론 전기차용 변속기 개발은 이제 시작이어서 글로벌 제작사가 덤벼든 상황이나 아직은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난 11년간 전기차용 변속기 개발에 뛰어든 국내 벤처기업이 전기이륜차용 7단 자동변속기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소형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당장 올해 후반부터 동남아 시장의 대표 모델인 인도네시아에 5만대부터 공급한다.

이미 지난 1년간 현지의 여러 기업에서 현지 테스트를 진행하여 완벽하고 놀라운 실적으로 자리매김하여 글로벌 이륜차 시장부터 접수하기 시작했다. 이미 일반 전기차용 변속기로 응용하는 방법까지 개발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당장의 효과의 실적은 전기이륜차인 만큼 더욱 앞으로가 기대된다.

이러한 변속기를 전기차에 응용할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를 작은 용량 그대로 사용하면서 주행거리의 획기적 연장 등 다양한 장점으로 우리가 앞서 언급한 '반값 전기차'가 구현될 수 있다. 전기차의 격은 물론 무게가 낮아지면서 타이어 수명 연장, 모터 내구성 유지는 물론 기계식 주차장이나 정비용 리프트 유지, 아스팔트 수명 유지 등 다양한 인프라적 장점도 부각될 수 있다.

더불어 꼭 기능이 떨어지는 중국산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경쟁력 높은 우리의 전기차를 최고의 가성비로 자래매김할 수 있다.

초격차 기술을 보유한 국내 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여 하루속히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길 바란다. 동시에 일반 전기차 석권도 가능하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최초의 국산 하이브리드 LPG 신차는 나오는가?
*KG모빌리티 토레스 하이브리드 LPG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최근 전기차의 보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
조회수 1,256 2023.06.26.
글로벌오토뉴스
KG 모빌리티,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길 모색한다
쌍용자동차에서 사명을 바꾼 KG모빌리티의 2023년 상반기 실적이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 해 1분기에 25년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
조회수 847 2023.06.22.
글로벌오토뉴스
CTO 체제, 그리고 한국형 어벤저스  현대차그룹의 화두는 무엇인가?
현대차에게 큰 변화가 있었다. 조직의 변화, 그리고 협력의 변화다. 그리고 그것이 보여주는 방향성은 또렷하다. 일단 내부 조직의 변화가 있었다. 그 핵심은 김용
조회수 1,053 2023.06.20.
글로벌오토뉴스
261. 산업혁명과 생산성이 아니라 인구 증가 억제가 필요하다
프랑스는 기차로 두 시간 반 이내의 거리는 항공기 운항을 금지하고 있다. 일부 유럽국가들도 같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파리의 호텔 프론트 옆에는 수도꼭지가 설
조회수 2,312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도둑놈 제쳐두고, 관리 잘못한 주인 보다 물건 판 사람한데 죄 묻는 나라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순수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 모델이 주도하면서 미국 시장 점유율은 10%를 돌파
조회수 1,635 2023.06.19.
오토헤럴드
기아 도난 문제, 미국 정부 차원의 대처가 더욱 문제이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미국 시장에서의 현대차와 기아의 선전은 대단하다. 이미 1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면서 최근의 실적은
조회수 584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
지난 2020년에 북미 전용 모델로 등장했던 기아 텔루라이드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2023년형으로 현지에서 공개됐다. SUV의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국내에서
조회수 879 2023.06.19.
글로벌오토뉴스
자동차가 점점 더 커지는 진짜 이유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자동차하면 쏘나타와 그랜저가 떠오른다. 대표적인 차량들의 역사를 돌아보면 매년 새로운 세대의 모델이 출시될 때마다 차량의 크기는 커
조회수 2,789 2023.06.14.
글로벌오토뉴스
260. 쉐보레 임팔라, 토요타 크라운, 그리고 포니의 시간
서울 강남. 싸이와 BTS의 활약으로 이제는 지구촌 많은 사람에게 유명해졌다. 그 강남에서 6월 초 세 가지 미디어 대상 이벤트가 있었다. 6월 5일에는 토요타
조회수 1,800 2023.06.13.
글로벌오토뉴스
[공수전환] 플래그십 3열 전기 SUV 대결
기아가 이달 중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으로 플래그십 순수전기 SUV 'EV9' 글로벌 순차 판매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공간과 다목적성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반
조회수 3,186 2023.06.12.
오토헤럴드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