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김흥식 칼럼] 현대차 아이오닉 5, 작년 일본에서 기록한 '526대'의 가능성

오토헤럴드 조회 수1,731 등록일 2023.01.12.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526대.' 현대차가 2022년 다시 도전한 일본에서 거둔 성적이다. 2001년 처음 진출해 2009년 굴욕적인 철수를 결정할 때까지 현대차가 기록한 일본 누적 판매 대수는 1만 5000대였다. 절치부심하고 지난해 12년 만에 다시 도전했지만 그때 연평균 실적에 미치지 못했다.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생소한데다 주목받기 어려운 순수 전기차 아이오닉 5, 수소 전기차 넥쏘로 라인업을 단촐하게 짜고 하반기 본격 인도가 시작됐다는 점, 그리고 일본 내수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보면 저조한 성적이 아니다. 

지난해 일본 신차 내수는 전년 대비 5.6% 감소한 420만 1321대로 마감했다. 이 가운데 순수 전기차는 3만 1592대에 그쳤다. 승용모델 총판매량에서 전기차 비중은 1.4%에 불과했다. 대부분 선진국에서 전기차 비중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은 여전히 하이브리드(49.0%)와 가솔린(42.3%)이 시장을 지배한다. 

우리나라만 해도 지난해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16만 대, 승용차 비중으로 보면 11.5% 이상에 달했다. 미국, 중국, 유럽 3대 시장의 작년 전기차 비중 역시 낮게는 5.8%, 높게는 11% 이상을 기록했다. 올해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전년 대비 25% 증가한 1195만 대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일본은 정부와 기업, 소비자까지 전기차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전기차를 바라보는 인식과 선호도가 이렇게 낮은 일본에서 현대차는 526대를 팔았다. 시장점유율은 1.16%로 미미하다. 올해 처음으로 1만 대를 돌파하며 작년 대비 66% 증가한 1만 4348대가 팔린 수입 전기차간 경쟁에서 현대차는 시장점유율 3.66%를 기록했다. 출시 첫해 한 개 모델, 반기 영업으로 거둔 기록치고는 괜찮은 성적이다. 

일본 브랜드까지 통틀어 전기차를 가장 많이 판 곳은 닛산(1만 6017대)이다. 토요타는 618대, 혼다는 371대의 순수 전기차를 팔았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는 재진출 원년, 아이오닉 5 하나로 포드를 제치고 전체 판매량 순위 38위를 기록했다. 넥쏘가 작년 1대를 팔았으니까 현대차가 일본에서 거둔 성과는 따라서 전적으로 아이오닉 5의 공(功)이다. 

일본은 60여 개(상용차 포함)에 달하는 완성차 브랜드가 경쟁하는 시장이다. 일본을 수입차 무덤이라고 얘기하지만 최근 상황은 조금씩 빗장이 풀리는 분위기다. 상위권 전체를 일본 브랜드가 독식하고는 있지만 벤츠는 5만 2000여 대로 톱 10 범위에 위치해 있다. 2021년 대비 줄기는 했어도 폭스바겐과 BMW도 3만 대를 넘겼다. 이를 두고 일본의 수입차 장벽이 조금씩 허물어지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기회를 노려 현대차는 올해 르노와 푸조, 쉐보레 등이 자리한 20위권 진입을 노리고 있다. 작년 하반기 기록한 500여 대로는 버거운 순위인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아이오닉 5를 1500대 이상 팔아야 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일본 올해의 수입차로 선정된 이후 현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아이오닉 5는 지난해 12월, 까다롭기 유명한 일본 올해의 차(JCOTY, Car of the year Japan)에서 최고의 수입차로 선정됐다. 1980년 시작한 JCOTY에서 국산차가 선정된 것은 처음이다. 아이오닉 5는 르노 아르카나(70점. XM3), BMW iX(45점), 랜드로버 레인지로버(30점)를 제치고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고 현대차, 또 전기차를 바라보는 일본 소비자들의 인식이 단박에 바뀔리는 만무하다. 하지만 수상 직후 "일본차는 꿈도 꾸지 못할 혁신적인 차"라는 극찬이 쏟아져 나오면서 올해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526대, 숫자는 보잘 것 없어 보이지만 올해 '아이오닉 5'가 어떤 성과를 낼지 궁금해진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수입 디젤 승용차, 자국은 퇴출시키면서 한국서 파격적 가격 할인에 밀어내기까지
세계 자동차 시장에 전기차 흐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전기차와 같은 무공해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다. 우리나라도 선도적인 전기차 국가다. 작년 누계 전기차
조회수 1,075 2023.03.13.
오토헤럴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만화와 자동차
며칠 전 TV의 저녁 뉴스에서 1980년대의 일본 애니메이션 '은하철도999’의 원작 만화 작가 마쓰모토 레이지(松本零士)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스쳐 지나가듯 나
조회수 454 2023.03.13.
글로벌오토뉴스
폭스바겐 그룹의 앱스토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의 핵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편의성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내 현지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국내 제조사들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비교해, 수입브랜드의 인포테인먼
조회수 1,400 2023.03.10.
글로벌오토뉴스
[아롱 테크] 학대와 폭력으로 상처 받은 아동 치료
정순신 변호사가 아들 학폭 문제로 초대 경찰청 수사본부장에서 낙마했습니다. 인천의 한 초등학생이 지속적인 아동 학대에 시달리다 세상을 뜨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죠
조회수 936 2023.03.09.
오토헤럴드
전기차, 종류 만큼 가격 천차만별...2억 원대 BMW i7 1대 값이면 초소형 모델 14대
주행 거리 연장을 위해 배터리 용량을 늘리고 첨단 디지털 사양 경쟁으로 순수 전기차 가격은 내리기는커녕 오르기만 하고 있다. 테슬라를 중심으로 일부 브랜드가 가
조회수 2,326 2023.03.08.
오토헤럴드
자율주행, 전동화로 대표되는 자동차 산업의 혁신은 우리에게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의 확대는 운송부문에서의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조회수 1,042 2023.03.08.
글로벌오토뉴스
국내 업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 기술 하나면
전기차 시장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 대수는 약 980만 대 수준에 달했고 올해 1500만 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전 세계 자동차
조회수 1,134 2023.03.06.
오토헤럴드
[아롱 테크] 전기차 회생제동 시스템과 자유 낙하 아찔한 놀이 기구 자이로드롭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전동화 차량(xEV, xElectronic Vehicle)이 대중화됨에 따라 회생제동시스템(Regenerative Break)이 브레이
조회수 1,239 2023.03.06.
오토헤럴드
반값 전기차를 구현하는 방법은?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전기차 시대에 접어들면서 더욱 치열한 시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작년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는 약 980만대
조회수 747 2023.03.06.
글로벌오토뉴스
243. 테슬라 투자자의 날-투자자 실망시킨 생산 비용 50% 절감?
테슬라가 2023년 3월 1일 투자자의 날을 개최했다. 당일 1.4% 하락한 202.77달러, 다음날 5.8% 하락한 190.90달러라는 주가가 말해 주듯이 실
조회수 685 2023.03.06.
글로벌오토뉴스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리스트광고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