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테슬라 '내우외환' 中 갈팡질팡 가격에 집단행동, 美 모호한 IRA 규정은 청원 운동

오토헤럴드 조회 수1,067 등록일 2023.01.09.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테슬라가 갈팡질팡한 가격 정책으로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해 부진한 실적이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과 함께 최근 '머스크 리스크'로 주가 폭락 사태까지 겪고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이례적으로 매우 공격적인 가격 할인 정책을 내 놨지만 효과는 커녕 부담으로 작용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과 다르게 테슬라 최대 시장 가운데 하나인 중국 가격 할인은 현지 소비자의 분노를 유발하고 이다. 테슬라는 지난 10월 모델3와 모델Y 가격을 각각 5%, 9% 내렸다. 이어 작년 12월 영업을 시작한 6일에도 모델3와 모델Y 가격을 각각 13.5%, 10% 추가로 인하해 고시했다. 

불과 3개월 사이 두 차례나 가격이 내리면서 이전 차량 구매자들은 현재 기준 최대 22% 비싼 값에 테슬라 차량을 구입한 꼴이 됐다. 가격 추가 할인 소식이 전해진 직후 테슬라 차량을 먼저 구매한 소비자들은 전시장으로 몰려가 "왜 우리 한테만 비싼값에 차를 팔았냐"고 크게 반발하고 항의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 차주들은 베이징과 상하이 전시장을 찾아가 격렬하게 항의하며 보상과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불과 한 달 사이 신차 가격이 떨어지면서 손해를 봤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신차 가격 할인으로 중고차 시세도 크게 떨어지고 있어 던 큰 손해를 입게 됐다"며 항의하고 있다.

시위의 강도가 워낙 커 현장에 중국 공안이 출동하는 일까지 벌어졌지만 중국 소비자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현지 공안 중재에 따라 테슬라는 오는 10일까지 답변을 내 놓겠다고 약속했지만 뾰족한 해결책이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현지 분석이다. 테슬라는 가격 인하에도 지난해 12월, 전월 대비 44%, 2021년 12월 대비 21% 감소한 5만 5796대를 파는데 그쳤다. 

테슬라는 미국에서도 곤란한 상황을 맞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현지산 순수 전기차에 7500달러(약 930만 원)의 연방 세액 공제가 가능해졌지만 테슬라 주력 모델은 대상에서 빠져 있다. IRA는 세액 공제 전기차를 SUV·픽업트럭·승합차 그리고 승용차로 분류해 각각의 가격, 중량 기준에 따라 대상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SUV·픽업트럭·승합차는 총중량 2.7~6.3t 사이, 가격은 8만 달러 미만, 승용차는 5만 5000달러 미만인 경우만 세액 공제를 받는다. 하지만 테슬라 라인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델 Y는 SUV로 분류하기에는 중량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기타 승용으로는 5만 5000달러 이하 가격 조건에서 벗어나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모델Y 북미 판매 가격은 5만 8190달러부터 시작하며 공차 중량은 2톤을 넘기지 못한다. SUV로 분류되기에는 중량이 부족하고 승용차는 가격을 초과해 세액 공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청원인들은 합리적이지 못한 규정으로 모델 Y와 가격이 비슷하거나 순수 전기차가 아닌 경우도 세액 공제를 받는 받을 수 있다라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BMW X5 x드라이브45e, 지프 랭글러 4Xe 등은 100%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 수정을 요구하는 청원까지 이뤄지고 있다. 이 청원은 미국 청원 사이트에서 지난 주말 기준 4만 5000여 명이 동의했을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전기차가 지나치게 과도한 효율성(중량)으로 세액 공제 대상에서 제외되는 불합리한 일이 발생한 셈이다. 특히 모델 Y가 직면한 문제는 지엠(GM)과 포드, 신생 업체들도 비슷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어 향후 미 정부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수입 디젤 승용차, 자국은 퇴출시키면서 한국서 파격적 가격 할인에 밀어내기까지
세계 자동차 시장에 전기차 흐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전기차와 같은 무공해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다. 우리나라도 선도적인 전기차 국가다. 작년 누계 전기차
조회수 1,075 2023.03.13.
오토헤럴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만화와 자동차
며칠 전 TV의 저녁 뉴스에서 1980년대의 일본 애니메이션 '은하철도999’의 원작 만화 작가 마쓰모토 레이지(松本零士)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스쳐 지나가듯 나
조회수 454 2023.03.13.
글로벌오토뉴스
폭스바겐 그룹의 앱스토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의 핵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편의성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내 현지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국내 제조사들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비교해, 수입브랜드의 인포테인먼
조회수 1,400 2023.03.10.
글로벌오토뉴스
[아롱 테크] 학대와 폭력으로 상처 받은 아동 치료
정순신 변호사가 아들 학폭 문제로 초대 경찰청 수사본부장에서 낙마했습니다. 인천의 한 초등학생이 지속적인 아동 학대에 시달리다 세상을 뜨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죠
조회수 936 2023.03.09.
오토헤럴드
전기차, 종류 만큼 가격 천차만별...2억 원대 BMW i7 1대 값이면 초소형 모델 14대
주행 거리 연장을 위해 배터리 용량을 늘리고 첨단 디지털 사양 경쟁으로 순수 전기차 가격은 내리기는커녕 오르기만 하고 있다. 테슬라를 중심으로 일부 브랜드가 가
조회수 2,326 2023.03.08.
오토헤럴드
자율주행, 전동화로 대표되는 자동차 산업의 혁신은 우리에게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의 확대는 운송부문에서의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조회수 1,042 2023.03.08.
글로벌오토뉴스
국내 업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 기술 하나면
전기차 시장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 대수는 약 980만 대 수준에 달했고 올해 1500만 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전 세계 자동차
조회수 1,134 2023.03.06.
오토헤럴드
[아롱 테크] 전기차 회생제동 시스템과 자유 낙하 아찔한 놀이 기구 자이로드롭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전동화 차량(xEV, xElectronic Vehicle)이 대중화됨에 따라 회생제동시스템(Regenerative Break)이 브레이
조회수 1,239 2023.03.06.
오토헤럴드
반값 전기차를 구현하는 방법은?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전기차 시대에 접어들면서 더욱 치열한 시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작년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는 약 980만대
조회수 747 2023.03.06.
글로벌오토뉴스
243. 테슬라 투자자의 날-투자자 실망시킨 생산 비용 50% 절감?
테슬라가 2023년 3월 1일 투자자의 날을 개최했다. 당일 1.4% 하락한 202.77달러, 다음날 5.8% 하락한 190.90달러라는 주가가 말해 주듯이 실
조회수 685 2023.03.06.
글로벌오토뉴스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보기
리스트광고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