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칼럼] "우리 배터리 100% 충전해도 안전?" 불안감을 호도하는 현대차

오토헤럴드 조회 수9,449 등록일 2024.08.27.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김필수 칼럼] 인천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로 '전기차 포비아'가 전국적으로 번지고 있다. 전기차 지하주차 및 충전 시설은 지상 공간이 부족한 우리에게 어쩔 수 없는 숙명적인 조건이지만 이러한 현상이 우리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전기차 화재 요인을 확실히 제거하고 혹여 또다시 지하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진화해 확산을 막는 완벽한 방안이 요구된다.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완성차 업체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잘못된 상식으로 호도하는 일도 있다.

특히 자사 배터리는 100% 충전을 해도 안전하고 과충전은 있을 수 없다는 식으로 소비자들이 오해를 할 수 있게 하는 일이 대표적 사례라 하겠다. 과충전은 100% 이상 충전한다는 뜻보다는 원하는 충전율을 채우지 못하고 무리하게 지속적으로 충전을 한다는 의미가 크다.

전기차 화재는 과충전과 과방전, 배터리셀 불량, BMS 불량, 전기차 운전자의 과도한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여기에 융합적으로 피로가 누적되고 과충전이 반복되면서 발생하기도 한다.

문제는 전기차 화재는 열폭주 등으로 온도가 높고 전소되면서 원인불명의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결국 책임소재가 불명확하게 되면서 논란의 여지가 커지는 경우도 많다고 하겠다. 따라서 현재의 핵심은 지하 공간에서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확실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 중 하나가 충전율 조정이다. 지하공간에서 100% 충전하지 말고 낮게 충전하여 운행하라는 지침이다. 충전율 하락 조정은 확실히 열폭주를 줄이고 에너지 집중도를 낮추며, 화염 전이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다.

해양수산부가 전기차를 카페리 등 선박에 실을 때 50% 미만으로 충전율을 낮추게 하고 국제 물류 분야에서 신형 전기차를 실어 나을 때 암암리에 30% 미만 충전율을 고수하는 이유다.

현대차도 4년 전 코나 전기차가 화재가 자주 발생하자 충전율을 80~90%로 낮출 것을 공식적으로 권장했다. 환경부가 과충전 방지 장치가 없는 전국 아파트의 완속 충전기에 대해 보조금을 조정한 것도 같은 이유다. 

약 5년 전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인 ESS에 22건 이상의 화재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이후 더 이상 비슷한 사고가 보고 되지 않는 것도 충전율을 80~90%로 낮게 조정한 덕분이다. 

충전율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대차그룹과 BMW 등은 자사 전기차는 100% 완충을 해도 위험하지 않다고 홍보하고 있다. 이는 매우 부적절한 것으로 불안감을 해소하기보다는 자사의 전기차는 무조건 안전하다는 주장에 불과하다. 

지금으로서는 지하공간 전기차 충전율을 80% 정도로 운영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완성차 업계가 "우리 전기차는 100% 충전해도 안전하다"라고 홍보할 때가 아니다. 그렇다면 연이어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의 원인은 무엇이란 말인가. (외부 기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테슬라 사이버 캡과 밴의 디자인
최근에 테슬라가 자율주행 차량 두 종류를 발표했습니다. 바로 사이버 밴(Cyber Van)과 사이버 캡(Cyber cab), 혹은 로보 택시(Robo-taxi)
조회수 10,458 2024.10.24.
글로벌오토뉴스
아날로그 축음기와 디지털 자율주행 자동차
저는 10년쯤 전에 인도에서 만들어진 축음기(蓄音機, gramophone)을 하나 구해서 지금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인도에서 산 건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산
조회수 6,249 2024.10.17.
글로벌오토뉴스
328. 현대차그룹, GM과 웨이모, 삼성과 제휴, 그리고 토요타는?
현대차그룹이 올 초 CES 2024를 통해 삼성전자와 카투홈홈투카 서비스 제휴를 선언한 데 이어 이번에는 SDV로 그 폭을 넓혔다. 해외업체보다 더 어렵다는 국
조회수 4,714 2024.10.10.
글로벌오토뉴스
애스턴 마틴의 최신 모델 뱅퀴시의 디자인
소량 생산의 초 럭셔리 GT스포츠카 브랜드 애스턴 마틴(Aston Martin)에서 2025년형 뱅퀴시(Vanquish)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애스턴 마틴은 모
조회수 5,490 2024.10.10.
글로벌오토뉴스
[김흥식 칼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그 이상...이것 고치면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하루가 멀다고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고 소식이 들린다. 가장 최근 서울 강남 아파트 단지에서 차량 여러 대를 파손한 벤츠 사고에서도
조회수 6,297 2024.10.07.
오토헤럴드
[칼럼] 전기차 화재, 일반 소화기 진화 가능할까?...일률적 의무화 재고해야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일반 승용차(5인승)의 소화기 탑재가 오는 11월부터 의무화된다. 7인승 차량의 소화기 의무 탑재는 이미 시행 중이지만 아는 사람은
조회수 6,325 2024.10.07.
오토헤럴드
르노코리아 그랑 꼴레오스의 디자인
르노코리아에서 실질적인 QM6의 후속 모델인 그랑 콜레오스(Grand Coleos)를 부산 모빌리티 쇼에서 공개했습니다. 르노코리아가 출범하면서 QM6 라는 이
조회수 5,564 2024.10.07.
글로벌오토뉴스
프로모션은 한시적으로, OEM의 충전 사업
최근 한 언론 매체의 뉴스가 있었다. 현대차가 지난해 검토했던 충전소 시범 사업을 연초에 백지화했다는 내용이었다. 기사 내용에 의하면 불확실한 사업타당성과 작년
조회수 4,307 2024.10.02.
글로벌오토뉴스
[칼럼] 배터리 충격 탓...벤츠 전기차 인천 청라 아파트 화재가 남긴 교훈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국과수가 전국을 '전기차 포비아'로 몰아넣었던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차 화재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화재가 배터리 일부에
조회수 5,314 2024.09.30.
오토헤럴드
무게추가 변한다, 현대 ST1의 이베코 진출
우리 나라 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이정표 하나가 터졌다. 지난 달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되었던 국제 상용차 모터쇼 IAA 2024에서 출시된 이베코(IVECO)의
조회수 4,583 2024.09.30.
글로벌오토뉴스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