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자동차 백과

  • 차량정보
  • 기아
    국산
    수입
  • 중형SUV중형SUV
    승용
    RV
    상용
  • 모델비교
  • 판매실적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기아 기아 중형SUV 히스토리

중형SUV A
중형SUV B
중형SUV C
중형SUV D

EV5


EV6 1세대


스포티지 1세대

스포티지(NB-7) (1993~2002)

더보기
스포티지(NB-7)
1991년 10월에 도쿄 모터쇼에서 세피아와 함께 처음 발표되었다. 1993년 7월 9일에 출시되었고, 생산은 화성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처음에는 5도어만 출시되었으나, 1996년 1월 19일에 트렁크룸을 늘린 long body 사양인 그랜드와 2도어가 추가되었다. 1997년 8월 23일에는 그랜드를 기본으로 한 밴 사양인 빅밴이 출시되었다. 베스타와 공유하였던 2.2ℓ HW 디젤 엔진은 1995년 7월 1일에 2.0ℓ RT 터보 인터쿨러 디젤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1998년 2월 25일에는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가 개선되어 기존보다 범퍼가 80mm 늘어났다. 2002년 9월에 단종된 1세대 스포티지는 내수 시장인 대한민국보다 해외에서 높은 관심과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도심형 SUV라는 앞선 컨셉트는 토요타 RAV4, 혼다 CR-V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스포티지 2세대

뉴 스포티지(KM) (2004~2010)

더보기
뉴 스포티지(KM)
2004년 8월 17일에 출시되었다. 프로젝트명 KM으로, 생산은 광주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당초 1세대 스포티지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었던 것은 쏘렌토(1세대)였으며, 이 차종이 본래 스포티지의 이름을 달고 2세대로 출시될 계획도 있었다. 하지만 쏘렌토(1세대)는 1세대 스포티지의 후속 차종이 아닌 한 등급 높은 차종에 위치되었고, 현대 아반떼 XD(2세대)의 플랫폼을 통해 별도로 개발되었던 투싼(1세대)과 플랫폼을 공유한 차종이 2세대 스포티지가 되었다. 결론적으로는 기존의 1세대 스포티지의 후속 차종이 아닌 전혀 다른 신차이나, 앞선 컨셉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끈 스포티지의 명성을 고려해 차명을 계승하게 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스포티지 3세대

스포티지 R(SL) (2010~2013)

더보기
스포티지 R(SL)
2010년 3월 23일에 출시되었으며, 쏘렌토 R(2세대)과 같이 서브 네임 R을 더해 차명은 스포티지 R이 되었다. 기아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직선의 단순화 개념이 반영되었다. 투싼 ix(2세대)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성능과 연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2.0ℓ R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2011년 3월 1일부터는 모든 트림에 1열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고, 최고 출력 261마력, 최대 토크 37.2kg·m의 성능을 갖춘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이 추가되었다. 기존 트림과 익스테리어를 차별화했으며, 인테리어에서도 자동변속기의 인디케이터 판넬의 컬러와 재질을 변경했다. 2012년 7월 20일에 LED 포지셔닝 헤드 램프와 스티어링 휠 정렬 알림 기능이 추가된 2013년형이 출시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더 뉴 스포티지 R(SL) (2013~2015)

더보기
더 뉴 스포티지 R(SL)
2013년 7월 23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가 아닌 2014년형 이어 모델에 불과하나, ‘더 뉴’라는 서브 네임이 붙었다. 슈퍼비전 클러스터에는 4.2인치 컬러 TFT LCD 창이 적용되었고, 동승석 통풍 시트와 이중 접합 차음 유리, 2열 에어 벤트 및 시트백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 라인업은 LX, TLX, 리미티드에서 럭셔리, 트렌디, 프레스티지, 노블레스로 바뀌었고, 2.0ℓ R 디젤 엔진의 6단 수동변속기(4륜구동)와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의 4륜구동이 삭제되었다. 2014년 7월 2일에는 벨트 라인과 변속 부분을 감싼 인디게이터 판넬의 재질이 스테인리스로 변경되고,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가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된 2015년형이 선보였다. 출처 : 위키피디아

스포티지 4세대

더 SUV 스포티지(QL) (2015~2018)

더보기
더 SUV 스포티지(QL)
기아 스포티지R의 후속 모델로, 풀 체인지를 거친 4세대 버전이며, 준중형 SUV급이다. 4세대 스포티지는 44개월 동안 총 3,900억원의 R&D 비용이 투입되었으며, 차량의 전장과 축간거리를 각각 40mm, 30mm 늘렸다. 이전 모델인 스포티지R이 다수의 디자인상을 획득하며 세련된 외관으로 호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아차는 스포티지의 외관의 안정/유지 대신 변화를 택했다. 전면은 대형 그릴을 중심으로 높은 위치에 자리한 헤드램프와 화려한 LED 안개등을 적용하여 공격적인 성향을 풍긴다. 후면은 얇은 리어램프와 수평 크롬바로 안정감을 주었고, 면발광과 직접발광을 함께 사용하는 리어램프를 적용하였다. 인테리어는 운전자 중심의 수평적 레이아웃을 통해 편안함을 추구했다. 기존 패밀리룩 대시보드 및 상향된 시트, 넓어진 전방 시야 등 운전에 집중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파워트레인은 R2.0 디젤 엔진과 새로운 UⅡ 1.7 디젤 엔진으로 구성됐는데, R2.0 디젤 엔진은 최고출력 186마력, 최대토크 41.0kg·m의 성능을 발휘하며, 유로6를 만족하는 고효율 터보차저를 적용했다. UⅡ 1.7 디젤 엔진 모델은 7단 DCT가 조합되어 빠른 변속 반응과 연비 개선이 나타난다.

스포티지 5세대


쏘렌토 1세대

쏘렌토(BL) (2002~2006)

더보기
쏘렌토(BL)
2002년 2월 27일에 출시되었다. 당초 스포티지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어 스포티지의 윗급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익스테리어에서는 볼륨 있는 높은 후드와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 입체적인 하이테크형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 등을 적용하여 강인한 SUV의 이미지를 추구했다. 인테리어에서는 자외선 차단 글라스, 속도 감응식 파워 스티어링, 운전석 8방향 파워&히팅 시트, 6장 CD체인저, 터치 스크린 AV 시스템, 음성 경보 시스템 등을 적용하여 세련된 세단의 이미지를 추구했다. 핸즈프리 통화 스위치와 마이크를 스티어링 휠 안쪽에 설치해서 조작성을 높였다. 2003년 7월에 미국의 NHTSA가 실시한 측면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획득했다. 2005년 2월부터는 2.5ℓ A VGT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뉴 쏘렌토(BL) (2006~2009)

더보기
뉴 쏘렌토(BL)
2006년 4월 3일에 출시되었다. 기존 쏘렌토에 비해 라디에이터 그릴에 간결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4륜구동에만 적용하던 2.5ℓ A VGT 디젤 엔진을 후륜구동에도 확대 적용했다. 새로운 전·후륜 서스펜션을 적용해 승차감을 개선시켰고, 차체 자세 제어 장치, 브레이크 보조 시스템 등도 신규 적용되었다. 레그룸을 890mm로 30mm 늘려서 실내 공간을 넓혔고, 3열 시트 쿠션부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해 공간 활용도도 높였다. AV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차량 진단 기능까지 추가된 모젠 250과 독립 제어 풀 오토 에어컨, 후방 경보 장치, MP3 오디오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새로 적용되었다. 2007년 4월 6일에는 7인승보다 가격이 저렴한 5인승을 추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출처 : 위키피디아

쏘렌토 2세대

쏘렌토 R(XM) (2009~2012)

더보기
쏘렌토 R(XM)
2009년 4월 2일에 출시되었으다. R 엔진을 사용하는 첫 차종이고, 기존의 프레임 차체에서 현대 싼타페(2세대)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모노코크 차체로 변경되었다. 2.2ℓ R VGT 디젤 엔진, 2.4ℓ 세타 Ⅱ MPI 가솔린 엔진, 2.7ℓ 뮤 LPI 엔진이 장착되었고, 2009년 6월부터는 2.0ℓ R VGT 디젤 엔진도 추가되었다. 내수 시장인 대한민국에서는 모든 엔진에 미션 오일을 교환할 필요가 없는 6단 자동변속기만 장착되었고, 수요가 적은 6단 수동변속기는 수출용만 장착되었다. 전고가 15mm 낮아지고, 전장이 95mm 길어져 주행 안정성이 개선됐다. 2011년 7월에는 미국 현지 공장에서 쏘렌토의 30만대 생산을 돌파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뉴 쏘렌토 R(XM) (2012~2014)

더보기
뉴 쏘렌토 R(XM)
2012년 7월 10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K7(전기형)과 비슷한 형상의 새로 디자인된 리어 램프가 적용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고, 후측방 경보 시스템, 7인치 컬러 TFT-LCD 패널 내장 슈퍼비전 클러스터, 기아자동차의 최첨단 텔레매틱스 서비스 유보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페이스 리프트 차종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플랫폼이 바뀌었는데, 현대 싼타페(2세대)의 플랫폼에서 현대 싼타페(3세대)의 플랫폼으로 바뀌었다. 전륜구동만 있던 2.0ℓ R VGT 디젤 엔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2013년 6월 3일에는 LED 리어 램프, 인조 가죽 시트, 풀 오토 에어컨,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등이 기본 적용되고, 19인치 크롬 스퍼터링 알루미늄 휠이 추가된 2014년형이 선보였다. 출처 : 위키피디아

쏘렌토 3세대

올 뉴 쏘렌토(UM) (2014~2017)

더보기
올 뉴 쏘렌토(UM)
2014년 8월 28일에 출시되었다. 국산 SUV 최초로 유로 6 기준을 달성했고, 모든 트림에 고급형 ISG 시스템이 달렸다. 전장과 축거가 각각 95mm, 80mm 늘었고, 트렁크 공간은 동급 최고 수준인 605ℓ(7인승, 3열 시트 폴딩 기준)이다. 국산 SUV 최초의 전방 추돌 경보 장치를 비롯해 어라운드 뷰 시스템과 후측방 경보 시스템, 스마트 파워 테일 게이트 등이 적용되었다. 초고장력 강판 적용 비율이 기존의 24%에서 53%로 확대되어 안전성과 주행 성능을 높였고, 구조용 접착제 역시 기존의 60m에서 134m로 확대되었다. 차체 측면부 핫 스탬핑 공법이 적용되고, 차체 주요 부위의 연결부를 강화해 차체 비틀림과 굽힘 강성을 향상시켰다. 출처 : 위키피디아

쏘렌토 4세대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