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다나와 앱
  • 다나와 홈

자동차 백과

  • 차량정보
  • 기아
    국산
    수입
  • RV/MPVRV/MPV
    승용
    RV
    상용
  • 모델비교
  • 판매실적
공유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기아 기아 대형MPV 히스토리

RV/MPV A
RV/MPV B
RV/MPV C

카렌스 1세대

카렌스(RS) (1999~2002)

더보기
카렌스(RS)
세피아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카니발보다 작은 미니밴이다. 개발 당시 토요타 입섬을 벤치마킹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7인승 승합차로 분류돼 저렴한 자동차세와 LPG 연료의 낮은 가격 등 경제성이 뛰어나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00년에는 대한민국 내에서 연간 판매 순위 3위에 올랐다.[2] 2000년 1월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리어 램프의 형상이 바뀌고, 새로운 원형 엠블럼이 달렸다. 같은 해 6월 7일에는 2.0ℓ LPG 엔진이 추가됐다. 2001년 5월에는 바디 컬러 일체형 아웃 사이드 미러, 화이트 컬러의 측면 방향 지시등, 180도 회전이 가능한 조수석 시트, 키 일체형 무선 도어 잠금 장치, 운전석 높이 조절 장치, 2열 컵 홀더 내장형 암 레스트, 5:5 분할 3열 시트 등이 추가됐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렌스 2(RS) (2002~2006)

더보기
카렌스 2(RS)
2년 4개월간 총 1,500억원의 개발비를 투자해 개발했으며, 2002년 3월 27일 출시되었다. 2002년 9월 18일에 출시된 2003년형은 3열 시트의 격납식 헤드 레스트,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 ECM 룸미러, TCS, 진주색이 새로 적용됐다. 2004년 1월 5일에 출시된 2004년형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휠 커버 및 알루미늄 휠의 형상이 바뀌고, 전동 접이식 아웃 사이드 미러가 새로 적용됐다. 2005년 4월 19일에 출시된 2005년형은 발수 코팅 글라스, 크롬 도금 인사이드 도어 핸들 등이 적용됨과 동시에 원형 엠블럼이 타원형 엠블럼으로 바뀌었다. 2005년 10월 26일에 출시된 2006년형은 크롬 도금 인사이드 도어 핸들, 발수 코팅 글라스, ECM 룸미러, 세이프티 키 등이 적용됐다. 출처 : 위키피디아

엑스트렉(RS) (2003~2006)

더보기
엑스트렉(RS)
2003년 4월 17일에 카렌스 Ⅱ의 차체에 2.0ℓ 디젤 엔진을 얹고, LSD를 장착해 출시되었다. 차명인 X-트렉은 최상을 뜻하는 Extra와 험로를 통한 긴 여정을 뜻하는 Trek의 합성어로, 험로를 극복하는 특별한 여행을 의미한다. 높아진 최저 지상고와 투톤 컬러 정도가 카렌스 Ⅱ와의 차이점이다. 2004년 1월 5일에 출시된 2004년형은 휠 커버와 알루미늄 휠이 바뀌고, 전동 접이식 아웃 사이드 미러가 적용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다. 2005년 10월 26일에 출시된 2006년형은 원형 엠블럼이 타원형 엠블럼으로 바뀌고, 크롬 도금 인사이드 도어 핸들, 블랙 베젤 헤드 램프, 발수 코팅 글라스, ECM 룸미러, 세이프티 키 등이 적용됐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렌스 2세대

뉴 카렌스(UN) (2006~2013)

더보기
뉴 카렌스(UN)
2006년 4월 13일에 출시되었으며, 축거는 구형에 비해 130㎜ 길어져 실내 공간이 더욱 넓어졌고, 미국과 캐나다에는 론도라는 차명으로 수출을 개시했다. 핸드 파킹 브레이크에서 풋 파킹 브레이크로 변경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였고, 차체 자세 제어 장치, DVD AV&내비게이션 및 JBL 사운드 시스템, 1열 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 등을 갖췄으며, 역대 카렌스 중 최초로 센터 콘솔 박스가 적용되었다. 자동변속기는 칼럼 시프트 타입에서 플로어 시프트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6월 21일에 출시된 2011년형은 패밀리 룩이 가미된 라디에이터 그릴, 메탈 루프 랙, 크롬 머플러 팁 등이 적용됐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렌스 3세대

올 뉴 카렌스(RP) (2013~2016)

더보기
올 뉴 카렌스(RP)
2013년 3월 28일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됨과 동시에 판매가 개시되었다.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1열 통풍 시트와 2열 열선 시트가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고, 모든 트림에 6개의 에어백과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가 기본 적용되었다. 2013년 10월 28일에는 사양 조정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디럭스 트림이 삭제된 2014년형이 선보였다. 또한 1.7ℓ 디젤 엔진에는 정차 시 엔진을 자동 정지시켜 연료 사용량을 줄여주는 ISG 시스템이 장착된 에코 다이나믹스 트림이 새롭게 추가됐다. 2015년 6월 2일에 선보인 2016년형은 1.7ℓ 디젤 엔진 장착 트림이 4개에서 2개로 단순화됨과 동시에 에코 다이나믹스 트림에서만 운영되던 ISG 시스템을 모든 트림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7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가 새로 탑재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스타 1세대

카스타(DS-2) (1999~2002)

더보기
카스타(DS-2)
현대정공이 생산하고, 기아자동차가 판매한 차량이다. 프로젝트 명 DS Ⅱ로 개발된 카스타는 원래 현대정공이 싼타모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하던 차량이었으나, 카렌스, 카니발 등 RV에 입지를 다진 기아자동차를 통해 카스타를 판매하게 되었다. 2.0 시리우스 SOHC LPG 엔진과 2.0 시리우스 DOHC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6인승과 7인승이 판매되었다. 라인업은 보급형인 GX와 고급형인 LX가 있으며, LX에는 AQS 전자동 에어컨, 이퀄라이저 기능 CDP 오디오, 전자식 주행 정보 시스템 등이 장착되었다. 2001년형에는 선루프와 우드 그레인 스티어링 휠이 옵션으로 추가되었고, 모든 트림에 운전석 에어백을 기본 장착하였다. 2002년 10월에 현대 싼타모와 함께 새로운 배기가스 규정으로 인하여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1세대

카니발(KV-2) (1998~2001)

더보기
카니발(KV-2)
중형 세단인 크레도스 플랫폼으로 개발된 카니발은 1998년 1월부터 시판하기 시작한 1.5박스 형태의 미니밴이다. 본넷 메인 프레임 밑에 보조 프레임을 덧대 높은 차체 강성을 자랑하였으며, 좌우 양쪽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175마력의 V6 2.5ℓ 가솔린 엔진과 135마력의 2.9ℓ 디젤 엔진을 얹었다. 카니발 판매 대수의 절반은 경제성이 높은 디젤 차량이었으며, 가솔린 차량은 전체 판매 대수의 3%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인기가 없었다. 1999년에는 150마력의 V6 2.5ℓ LPG 엔진을 추가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같은 해 7월에는 2000년형이 출시되었고, 2000년 1월에는 6인승 밴을 더한 밀레니엄형은 파크 사양에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 장착되었다. 카니발 Ⅱ가 나오기 전인 2001년까지 총 219,400여대가 판매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2(GQ) (2001~2005)

더보기
카니발 2(GQ)
3년 만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카니발Ⅱ는 한국산 미니밴 최초로 미국에 수출되었다. 도어 트림과 대시보드 등 인테리어를 크게 개선했다. 2002년에는 유로 3 기준을 만족하는 새로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얹었으며, 같은 해 2003년형 이어 모델이 나왔다. 이 때부터 6인승 밴은 단종되었다. 이후 2004년형과 2005년형 등으로 이어 모델을 거쳤다. 2005년 7월에 그랜드 카니발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병행 생산되었고, 같은 해 10월에 단종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2세대

그랜드 카니발(VQ) (2005~2010)

더보기
그랜드 카니발(VQ)
2005년 7월 14일에 출시되었다. 북미 시장을 겨냥해 개발되어 전장이 5,000mm를 돌파하고, 전폭은 국산 자동차 중(중·대형 상용차 제외) 가장 넓은 1,985mm이다. 승합차로 분류되기 위하여 대한민국에서는 11인승으로 출시되었으나, 4열 시트이기 때문에 레그 룸이 넉넉하지 않아 출고 후에 레일 개조를 통하여 3열 시트까지 장착한 차량도 적지 않다. 새롭게 적용된 사양으로는 오토 슬라이딩 도어, 오토 테일 게이트, VRS 등이 있다. 기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얹었으나, 성능이 향상되었다. 2006년 3월 26일에는 컨버전 밴인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11인승)이 출시되었다. 2007년 10월 4일에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2월 6일에 2.9ℓ VGT 디젤 엔진이 모든 트림에 확대 적용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뉴 카니발(VQ) (2006~2010)

더보기
뉴 카니발(VQ)
실질적인 면에서 카니발 Ⅱ의 후속 차종이며, 그랜드 카니발의 숏 바디로 출시된 뉴 카니발의 기본적인 설계와 메커니즘은 그랜드 카니발과 동일하다. 그랜드 카니발에 들어간 오토 슬라이딩 도어 등의 편의 사양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2007년 2월에는 그랜드 카니발의 차체에 앞 모습만 뉴 카니발인 카니발 리무진(9인승)이 출시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는 현대 엔투리지로도 팔렸다. 같은 해 10월에는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되었다. 이후 카니발 하이 리무진(7인승)이 추가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R(VQ) (2010~2014)

더보기
카니발 R(VQ)
2010년 1월 6일부터 쏘렌토 R의 2.2ℓ 디젤 엔진을 얹어 판매되었다. 2010년 12월 2일에 1~2열 커튼 에어백과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었고, 카니발 리무진(9인승)에는 V6 3.5ℓ 가솔린 엔진이 추가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 이 때부터 카니발 하이 리무진(7인승)은 판매가 중단되었다. 2013년 3월 5일에는 17인치 신규 알로이 휠, 전 좌석 3점식 시트 벨트, 신규 2~3열 시트(뉴 카니발) 등이 적용된 2013년형이 선보였다. 같은 해 9월에는 숏 바디인 뉴 카니발(9인승)이 단종되었고, 롱 바디인 카니발 리무진(9인승)은 2014년 6월 22일에 단종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3세대

올 뉴 카니발(YP) (2014~2018)

더보기
올 뉴 카니발(YP)
2014년 4월에 개최된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2014년 6월 23일에 출시되었다. 2세대가 2가지 차체로 나뉜 것과 달리, 3세대는 다시 롱 바디의 단일 차체만 있다. 52%의 초고장력 강판이 적용됐으며, 차체 구조간 결합력 강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제가 121m로 대폭 증가했다.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비롯해 6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등이 기본으로 적용됐다. 이 외에도 듀얼 선루프, 버튼 시동 스마트 키, 220V 인버 등이 적용돼 편의성을 높였다. 2015년 3월 30일에는 2015년형이 선보였고, 동시에 V6 3.3ℓ 가솔린 엔진과 2열 VIP 라운지 시트가 적용된 7인승(리무진)이 추가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카니발 4세대

브랜드 선택

비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