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팬 영향 관심도 뚝, 수입차 사겠다 46.6%에서 36.2%로 폭락
새 차를 살 때 수입차를 선택하겠다는 사람이 눈에 띄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2001년부터 매년 7월 실시하는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를 통해 향후 2년 내에 새 차를 구입할 예정이라는 소비자에게 어떤 차를 살지 1순위, 2순위로 답하게 했다.
2007년 이후 수입차를 구매 1순위 또는 2순위로 고려한 소비자는 약간의 부침은 있었지만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비해 국산차만 구입하겠다는 소비자는 감소 추세가 완연했다. 이에 따라 수입차의 최대 호황기였던 2018년에는 이 비율이 수입차 46.6% 대 국산차 53.4%로, 7%p 이내 차이로 좁혀졌고 이듬해에는 수입차의 역전이 확실해 보였다. 그러나 경기침체와 노재팬 영향으로 구매의향은 64.5% 대 35.5%로 다시 크게 벌어졌고 올해(63.8% 대 36.2%)에도 이어졌다.
1, 2순위 모두 수입차만을 고려한다는 응답자 비율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수입차만 고려한다는 응답은 2018년 19.9%로 최고치를 찍으며 20%대 진입이 눈앞에 보이는 듯했다. 2017년 신정부가 들어서고 최저임금 인상 등 신정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영향이다. 그러나 이 수치 또한 올해 13.1%(-6.8%)에 그치며 3분의2 수준으로 폭락했다.
흥미로운 것은 지난 15년간 이 비율이 실제 수입차 판매 점유율과 거의 일치해 왔다는 점이다. 다만 2015년 디젤게이트 이후 다소 차이를 보이기 시작해 2017년 처음으로 구입의향률이 2%p 이상 높았고 작년과 올해는 반대로 2%p 이상 낮아졌다. 2017년 이후 높아진 경제에 대한 기대만큼 성과가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입차 판매 점유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9%에서 디젤게이트 전인 2015년 15.5%까지 6년간 3배로 늘면서 연평균 1.7%p 이상 성장해 왔다. 하지만 이후에는 5년 동안 단 0.5%p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8년 16.7%로 최고 점유율을 찍기도 했으나, 이후 다소 하락해 16% 안팎에 머물고 있다. 성장세가 벽에 부딪친 것은 분명하지만 최근 2년간 구입의향 하락에 비하면 점유율 자체에는 큰 타격이 없었다.
판매 대수 측면에서는 나름대로 선전을 보이고 있다. 올해 9월까지 수입차 판매(신규등록) 대수는 19만174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만7093대를 크게 앞섰다. 이는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8년 동기의 19만7055대에 근접한 수치다.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입차 점유율 또한 올해 16%(9월까지)를 기록해 지난해의 15.9%를 앞질렀다.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수입차는 구매의향과 판매점유율이 정체하면서 일단 상승 모멘텀은 꺾인 듯하나 급격한 하락 없이 현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수입차 시장 하락에 영향을 끼친 경제-심리적 요인들로는 경기 침체 장기화로 내구재 구입의향이 크게 줄었고 노재팬에 따른 반작용으로 국산 선호 성향이 커졌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활동의 제약이 커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 코로나로 해외여행이 불가능해진 데 따른 한풀이 소비(명품, 고급차 등) 심리, 대중교통 기피 경향에 따른 차량 필요성 증가, 위험자산(부동산 주식) 투자 증가, 개소세 인하 등 소비촉진 정책이 당초 구매의향 이상의 소비를 이끌어냈다. 즉 현재 시장에 상승과 하락 요인이 혼재하면서 소비자의 구매심리가 양극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조사 결과와 시장 추이를 종합하면,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 당분간 과거와 같은 급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정체 추세가 하락세로 반전될 가능성 또한 크지 않은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큰 악재가 있을 때마다 잠시 흔들리기는 했지만 곧 제자리를 되찾아 왔으며, 최근 2년간 대형 악재가 겹쳤음에도 점유율 16%선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종식과 함께 경제가 정상 궤도에 이르면 자동차 시장 전체도 커지고, 수입차도 과거의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매월 일정 비용을 내고 원하는 모델을 소유할 수 있는 '구독형 자동차 프로그램'이 한참인 가운데 BMW가 미국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조회수 471
2021-01-15
|
오토헤럴드 |
![]() |
*1941년, 43일만에 만든 지프를 낙찰 마감시간에 미 국방성으로 몰고 들어 오는 프로브스트 밴텀의 로이 에반스 사장의 기쁨은 하늘을 찌를 것 같았다. 막상
조회수 358
2021-01-15
|
글로벌오토뉴스 |
![]() |
폭스바겐코리아는 상품성을 강화한 2021년형 제타의 공식 사전계약을 금일부터 개시한다.폭스바겐의 ‘수입차 대중화’ 전략의 핵심 모델인 7세대 신형 제타는 지난
조회수 2,159
2021-01-15
|
글로벌오토뉴스 |
![]() |
벤츠 E클래스는 프리미엄 후륜구동 준대형 자동차로 E세그먼트에 위치한 벤츠의 대표 모델 중 하나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언제나 글로벌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지키는
조회수 769
2021-01-15
|
다키포스트 |
![]() |
르노가 2021년 1월 14일, 새로운 전략적 사업계획 'RENAULUTION'을 발표했다. 2025 년까지 새로운 중기 경영 계획으로 연간 생산용량을2025
조회수 280
2021-01-15
|
글로벌오토뉴스 |
![]() |
전국에 기습 폭설이 내리면서 자동차는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퇴근길 시간대 기습적으로 많은 눈이 내리면서 도로가 마비됨은 물론 차량 사고
조회수 991
2021-01-15
|
오토헤럴드 |
![]() |
BMW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1 CES에서 향후 출시될 차세대 전기차 ‘iX’에 탑재되는 최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i드라이브(iDrive)를 공개했다. B
조회수 339
2021-01-15
|
글로벌오토뉴스 |
![]() |
국토교통부는 혼다코리아, 폭스바겐코리아, 스카니아코리아그룹, 포드코리아에서 수입 및 판매한 총 5개 차종 1만421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리콜을 실시한다고
조회수 351
2021-01-15
|
오토헤럴드 |
![]() |
우리나라는 승차정원 15인 이하 또는 엔진 위치, 전방 조종형 구조를 갖추고 있으면 승합자동차로 분류한다. 승합차는 사람을 많이 싣는 것이 목적, 따라서 각이
조회수 1,415
2021-01-15
|
오토헤럴드 |
![]() |
스바루의 아웃백 윌더니스 에디션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최소한의 위장으로 잡은 프로토 타입은 현재 판매중인 다른 아웃백 모델에 비해 지상고가 약간 증가했다.
조회수 272
2021-01-15
|
글로벌오토뉴스 |
돈이 없으면 버스타지 일본차를 차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직 있네. 기잔가?
일본극우에서 아베 싫어하면 반일이라던데 너님이랑 일본극우랑 뭐가 다른가요?
그리고 애초에 일본차가 불매하기 전에는 잘 팔렸나? 이해가 안간다
일본자동차 지점에 있는 직원은 독일차 지점에 있는 직원보다 월급도 적다
하긴 근대 타인에게 대깨문 거리는것 자체가 지 대가리가 정상이 아니라는 거를 반증하는 거니 ㅋㅋㅋㅋ
수입차는 벤츠 렉서스 아니면 국산차로 큰거 사죠.
현기마케팅팀 열일한다 ㅋㅋㅋ
-병튼-
돈없어서 흉기차 사지 돈이 되면 독일차 사지..
그래서 난 bmw 중고로 샀다.. 후회안한다..
흉기차 타다가 타니깐 이건 신세계다.. 타봐라..시승차라도